메뉴 건너뛰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OpenAI DALL·E 제작


고령의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이 GDP(국내총생산)의 6.4% 수준인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50년에는 488조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투명한 관리 및 보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등에서 이미 사회 문제로 대두된 이른바 ‘치매머니’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첫 시도다. 치매머니는 ‘잠자는 돈’이라고도 불리는데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환자의 금융 거래에 제한이 걸리며 사망으로 인한 상속 전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묶이는 돈을 의미한다. 일본의 경우 2030년이면 치매머니 규모가 230조엔(약 2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사회문제가 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는 약 124만 명으로 확인됐다. 이중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전체의 61%인 76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이들이 보유한 총 자산이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1인당 평균 자산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이다. 고령 치매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2.4% 수준이지만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전체 GDP의 6.4% 수준으로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저고위 제공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부동산 자산으로 전체의 74.1%인 약 114조원에 달했다.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약 33조4000억원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자산은 치매환자의 금융소득(이자, 배당 등)을 토대로 추정한 값이라는 한계가 있고, 건보공단 자료에는 연간 2000만원 미만의 금융소득 발생자는 포함되지 않아서 실제보다 적게 추정됐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전체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이 더욱 많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간이 갈수록 치매머니로 인한 사회문제는 심각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국의 치매환자는 2030년 178.7만명, 2040년 285.1만명, 2050년에는 396.7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나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조사를 주도한 저고위 관계자는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처음으로 파악하게 됐다”며 “치매머니는 환자 개인적으로는 자산을 스스로 관리하지 못해 가족이나 제3자에 의한 무단 사용 또는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사회적으로는 자산이 동결돼 투자 및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해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연말에 발표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14 법원, 이재명 파기환송심 서류 7일 송달 시도…9일까지 안 되면 재판 연기 랭크뉴스 2025.05.06
48913 이재명 “의대생, 돌아와 달라…정치가 반드시 답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2 대법 파기환송 이후에도 50% 안팎···흔들리지 않은 이재명 대선 지지율 랭크뉴스 2025.05.06
48911 15일 파기환송심 불출석한다는 이재명···재판부, 대선 전 선고 강행할까 랭크뉴스 2025.05.06
48910 “내가 볼 때만 안보이던 ‘도착역’”, 이제 상시 노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6
48909 이재명 "의대생 여러분, 의료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달라" 랭크뉴스 2025.05.06
48908 국힘 권영세 “내일 전 당원 단일화 찬반 투표”…김문수 압박 랭크뉴스 2025.05.06
48907 이재명 “육영수 여사도 정치적 이유로 살해 당해…그런 세상 아니었으면” 랭크뉴스 2025.05.06
48906 이재명 대선 기간 재판 땐 위법? 법조계 "명문 규정 없어 판사 재량" 랭크뉴스 2025.05.06
48905 김문수·한덕수 누가 나오든 이재명 50% 이상 지지율…“빅텐트 효과 제한적” 랭크뉴스 2025.05.06
48904 [단독] LG, 가정용 휴머노이드 만든다…'가사노동 해방' 한발짝 더 랭크뉴스 2025.05.06
48903 李, 민생행보 여론전…"2·3차 내란도 국민이 진압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902 김문수-국힘 지도부 이틀째 충돌…"날 끌어내리려해" "국민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8901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단일화’ 놓고 이틀째 대혼란 (종합) 랭크뉴스 2025.05.06
48900 이석연 "대선 전 이재명 선고 강행은 위헌이자 무효‥범죄 행위" 랭크뉴스 2025.05.06
48899 김문수-국민의힘 단일화 충돌... 대선 후보와 당이 맞선 초유의 사태 랭크뉴스 2025.05.06
48898 후보일정 중단 김문수, 짙어지는 ‘이준석·김기현·한동훈’의 길[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5.06
48897 서울 봉천동 길거리서 흉기 휘두른 20대... 3명 병원 치료 중 랭크뉴스 2025.05.06
48896 육영수 거론한 李 “정치적 피살, 지금도 그런 시도 있어” 랭크뉴스 2025.05.06
48895 한동훈, 金·韓 단일화 갈등에 "이렇게 될 줄 모르고 날 막았나"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