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떨어지고 있지만 은행들의 대출과 예금금리의 차는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집값 불안을 의식한 금융당국이 대출금리 인하에만 제동을 걸면서다. 시장을 거스르는 ‘관치 금리’가 소비자 부담을 늘리고, 은행 이자 장사를 돕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근영 디자이너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공시한 지난 3월 가계대출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상품은 제외)는 1.38~1.55%포인트였다. 이는 사상 최고 수준이다. 3월 신한(1.51%포인트)·하나(1.43%포인트)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은행연합회가 관련 자료를 공시하기 시작한 2022년 7월 이후 역대 최고였다. 같은 시기 KB국민은행(1.49%포인트)은 2023년 1월 이후, 우리(1.38%포인트)·NH농협(1.55%포인트)은행은 각각 2023년 2월과 12월 이후 대출과 예금 금리의 차가 가장 많이 벌어졌다. 2023년은 고물가를 잡기 위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던 시기다.

예대금리차는 기준금리 인상기에는 보통 벌어지지만, 인하기에는 축소된다. 예금은 만기 때까지 금리가 고정되지만, 변동금리 상품이 많은 대출은 기준금리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추세는 이런 시장 원리와는 상반된다. 5대 은행의 지난 3월 신규 가계대출의 평균 금리는 연 4.31~4.58%로 모두 4%가 넘었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3월 신규 가계대출 평균 금리(연 4.17~4.51%)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소폭 올라간 수치다. 반면에 4일 기준 5대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8~3.1%까지 하락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연 3%대 예금 상품이 있었지만, 현재는 5대 은행 예금 중 연 금리가 3%가 넘는 곳은 NH농협은행의 ‘NH고향사랑기부예금’(3.10%)이 유일하다.

정근영 디자이너
이런 ‘금리 역주행’에는 금융당국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로 4월부터 가계대출이 증가할 조짐이 보이자 금리 인하보다는 가계대출 엄정 관리로 당국의 기조가 바뀌었다”고 했다. 실제 5대 은행의 지난 3월 가산금리는 2.64~3.72%로 지난해 3월(2.33~3.65%)보다 상승했다.

예대금리차가 커지면 은행의 이익도 늘어난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소비자가 아닌 은행들의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이자 이익은 10조642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2.3% 늘어났다. 금리 하락기에는 은행 이자 이익이 줄지만, 정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출금리를 시장 형성 수준보다 높게 유지하면 가계 부담이 늘어나고, 연체율 상승 같은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하다면 금리보다는 대출 규제 같은 비가격 방식도 함께 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355 [속보] 법원, 김문수 '대선 후보 지위 인정·전당대회 개최 금지' 가처분 기각 랭크뉴스 2025.05.09
50354 [속보] '김문수 대선후보 지위 인정·전당대회 금지' 가처분 기각 랭크뉴스 2025.05.09
50353 [속보]법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지위 인정’ 가처분 기각 랭크뉴스 2025.05.09
50352 이재명, 전국법관대표회의 소집 두고 "사법부, 신뢰 깨지 말아야" 랭크뉴스 2025.05.09
50351 단일화 압박에도 '꼿꼿문수'... 권영세, '날인 거부'로 맞설까 랭크뉴스 2025.05.09
50350 “한강 ‘개 산책’ 윤석열, 12일 구속돼야…내란수괴 아직도 사회 활보” 랭크뉴스 2025.05.09
50349 ‘TK 민심 가까이’ 안동 출신 이재명…민주 “30% 득표” 기대감 랭크뉴스 2025.05.09
50348 ‘뽀빠이’ 이상용 별세… 향년 81세 랭크뉴스 2025.05.09
50347 김문수 대선 후보 사퇴?···金 "사실 아냐, 유포자 법적 조치 할 것" 랭크뉴스 2025.05.09
50346 민주 ‘더 세진’ 상법 개정안 내주 당론 발의 랭크뉴스 2025.05.09
50345 “네가 많이 벌었잖아” 근로소득세, 상위 12%가 다 떠맡았다 랭크뉴스 2025.05.09
50344 새 교황 레오 14세, 트럼프 독주 막을 ‘신의 한 수’ 될까 랭크뉴스 2025.05.09
50343 李, 법관회의 소집에 “신뢰 깨지 말라… 총구 우리로 향하면 고쳐야” 랭크뉴스 2025.05.09
50342 [속보] 이재명 "최후 보루 사법부, 우릴 향해 총구 난사하면 고쳐야" 랭크뉴스 2025.05.09
50341 [포커스] 김상욱, 탈당 이유는? "계엄 옹호했던 사람이 대선후보 됐다" 랭크뉴스 2025.05.09
50340 ‘뽀빠이’ 이상용 별세···어린이·군인·노인의 영원한 친구 잠들다 랭크뉴스 2025.05.09
50339 ‘방송중단’에도 끝없는 구설…백종원, ‘닭뼈 튀김기’ 무허가 의혹 랭크뉴스 2025.05.09
50338 선관위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여론조사 공표 불가" 국민의힘에 통보 랭크뉴스 2025.05.09
50337 과기부 장관 “SKT도 해킹 피해자”라는데…위약금 면제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5.09
50336 [속보] ‘뽀빠이’ 방송인 이상용 별세… 향년 81세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