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가계대출 4조 이상 증가
작년 9월 이후 증가폭 가장 커
토허제 여파 시차 두고 반영
증시 변동성 확대에 빚투 증가

[서울경제]

주춤하던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달 4조 원 넘게 불어나며 다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9월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서울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난 데다 증시와 가상자산 시장 등 변동성 확대로 ‘빚투(빚내서 투자)’까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 4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743조 848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사이 4조 5337억 원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9월(5조 6029억 원)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계대출 잔액은 올 1월만 해도 4762억 원 감소했다. 하지만 2월 3조 931억 원 늘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3월(1조 7992억 원)과 지난달(4조 5337억 원)에도 늘어나며 3개월 연속 불어나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는 것은 주택담보대출이다. 지난달 주담대 잔액은 589조 43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3조 7495억 원 늘었다. 전월(2조 3198억 원) 대비 증가폭이 더 커졌다. 이 역시 지난해 9월(5조 9148억 원)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올 2월 서울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으로 증가했던 주택 거래 관련 대출이 시차를 두고 실행된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 역시 9000억 원 가까이 불어났다. 지난달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02조 4931억 원으로 한 달 동안 8868억 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관세정책 여파 등으로 국내외 증시와 가상자산 시장 등이 출렁이면서 빚투 수요가 늘어났다는 게 은행권 분석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저점 매수를 위해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93 백악관 “외국영화 관세 아직 미정…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5.06
48692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선언…백악관 “최종 결정 아냐” 랭크뉴스 2025.05.06
48691 [단독] ‘장애 아이 미래’ 준비 못 해 더 우울하지만…강해져야 했다 랭크뉴스 2025.05.06
48690 국힘, 김문수 요구대로 선대위 구성…“11일까지 단일화” 요청 랭크뉴스 2025.05.06
48689 "'해킹 사태' SKT, 반년 전 정부 정보보호 심사 잇달아 통과" 랭크뉴스 2025.05.06
48688 ‘여성대상범죄’ 미아역 추모공간 찾아와 “꼴페미들” 시비 랭크뉴스 2025.05.06
48687 ‘결혼 절벽’ 中, 보조금 주고 절차도 간소화…“효과는 의문” 랭크뉴스 2025.05.06
48686 국민의힘 내부 ‘단일화’ 힘겨루기…선대위 구성 의결 랭크뉴스 2025.05.06
48685 [속보] 국힘, 김문수 ‘단일화 조건’ 요구 따라 선대위 구성…10~11일에 또 전당대회 랭크뉴스 2025.05.06
48684 "어른이 주는 술은 괜찮다? 한 모금도 안 돼"…15세 이전 음주, '알코올 중독' 위험 랭크뉴스 2025.05.06
48683 국힘, 김문수 후보 3대 요구안 의결…“11일까지 단일화” 요구 랭크뉴스 2025.05.06
48682 이재명은 험지 도는데, 김문수는 TK행…후보돼도 보수 단일화에 갇혀 랭크뉴스 2025.05.06
48681 “노도강으로 묶지마”…학군 좋은 단지는 구 평균 매매가보다 4~5억 높아 랭크뉴스 2025.05.06
48680 청년 전월세 대출로 '공유숙박업'‥주택금융공사 "회수 못 해" 랭크뉴스 2025.05.06
48679 “연휴 끝나면 광클하세요”…7일부터 부산콘서트홀 첫 공연 예매 랭크뉴스 2025.05.06
48678 예금금리 내리는데 대출금리 그대로…고객 울린 관치금융 랭크뉴스 2025.05.06
48677 트럼프 “2주 내로 의약품 관세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676 트럼프 “2주내 의약품 관세 발표…다음주 약값 관련 큰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675 김정은도 무릎 끓고 살펴봤다…北 3.5세대 신형 전차 위력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06
48674 "탈 시설 권리 보장" 고공 농성 전장연 활동가 2명 구속 면했다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