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밀컨콘퍼런스서 연설·대담…"美정부 신용위험 없애면 국채금리 내릴 것"
관세 협상 관련 "일부 합의 가까워져…이번주중 타결 가능"


5일 밀컨 콘퍼런스 참석해 발언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미국에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거듭 자신하면서 "미국 경제가 강하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 2025'에서 "트럼프 경제 의제는 각 부분의 합계 그 이상"이라며 "무역, 감세, 규제 완화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정책일 수 있지만,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면서 글로벌 자본의 본거지로서 미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투자자 중 한 명인 워런 버핏은 미국에 반대하는 투자는 절대 하지 말라는 문구를 만들었고, 이것은 역사적인 진리로 검증됐다"며 "대공황과 두 차례의 세계대전, 9·11테러, 코로나19 경기 침체 등 자본시장이 흔들릴 때마다 미국 경제는 다시 일어섰고 전보다 더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장은 깨지지 않고(anti fragile) 장기적으로는 우상향으로 요약될 수 있다"며 "미국에 투자하기 나쁜 때가 절대 아니라, 특히 미국은 지금 메인스트리트(Main Street)와 월스트리트 양쪽에서 경제적 번영의 새로운 황금기로 접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는 미 뉴욕에 있는 금융 중심부로, 미국의 거대한 금융·자본 시장을 뜻하며 이와 대조적인 의미의 메인스트리트는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 즉 평범한 소비자와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의 실물 경제를 지칭한다.

'밀컨 콘퍼런스' 참석해 연설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5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 2025'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5.6 [email protected]


베선트 장관은 그동안 여러 차례 밝혀온 대로 국채 10년물 금리를 주시하고 있다면서 지난달 급등 사태에 대해서는 "많은 레버리지 플레이어들이 매우 큰 포지션을 쌓았고, 불확실성과 충격이 발생하며 시장에서 나갔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가 시도하는 것은 인플레이션 없는 성장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내가 여기 있는 이유는 미국 정부의 신용 위험을 없애는 것이고, 그렇게 하면 금리가 자연스럽게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한쪽의 목표는 정부 차입을 느리게 줄여나가며 매년 적자를 1%씩 줄이고, 그렇게 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퇴임할 때까지 장기 평균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3.5%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정부 지출과 고용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 중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금융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부문의 레버리지를 재조정하고 정부에서 감축된 과도한 고용이 민간 부문에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규제 완화 정책에 관해서도 "우리는 규제 대상 금융 기관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안전하고 건전하며 현명한 접근을 취할 것"이라며 "진정한 동력은 모든 산업 분야의 허가 절차에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인공지능(AI) 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만약 미국이 주도권을 잡지 못한다면 다른 모든 것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이 추격하고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나는 우리가 그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기업가들이 지적재산권 도용을 막는 데 성공할 수 있도록 최상의 환경을 조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콘퍼런스 대담이 끝난 뒤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일부 합의에 매우 가까워졌다"(very close to some deals)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언급했듯이, 이번 주중에도 (타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도 앞으로 몇 주 내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27 베트남서 '고임금' 한국 파견 노동자 선발에 2만3천명 몰려 랭크뉴스 2025.05.06
48926 ‘찬성률 100%’ 이사회 뒤에 숨는 SKT [한겨레 프리즘] 랭크뉴스 2025.05.06
48925 ‘유심 해킹’ SKT, 불과 반년 전 정부 보안 심사 통과…제도 실효성 논란 랭크뉴스 2025.05.06
48924 美 의회,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中 밀수 차단 목적” 랭크뉴스 2025.05.06
48923 서울 시내버스 노조, 7일 첫차부터 준법운행 재개 랭크뉴스 2025.05.06
48922 김문수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제2의 옥새 나르샤’ 파동 벌어지나 랭크뉴스 2025.05.06
48921 "주식을 왜 사? 금 사야지"…골드뱅킹 잔액 1.1조원 돌파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06
48920 이재명 "조봉암도 사법 살인"… 민주당은 '공판 연기' 여론전 사활 랭크뉴스 2025.05.06
48919 국힘 ‘쌍권’, 단일화 압박하러 대구행···김문수 “일정 중단, 난 서울로 간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8 "베트남산 새우를…" 警, 백종원 '덮죽' 허위광고 논란 수사 랭크뉴스 2025.05.06
48917 메르츠, 의회 과반수 못 얻어 총리 선출 실패… 獨 역사상 처음 랭크뉴스 2025.05.06
48916 홍성수 교수 “대법원, 상고이유서 제출 기일 보장 약속해야” 랭크뉴스 2025.05.06
48915 대학 캠퍼스 돌아다니며 책·이불에 불붙인 中 유학생, 실형 선고 랭크뉴스 2025.05.06
48914 법원, 이재명 파기환송심 서류 7일 송달 시도…9일까지 안 되면 재판 연기 랭크뉴스 2025.05.06
48913 이재명 “의대생, 돌아와 달라…정치가 반드시 답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2 대법 파기환송 이후에도 50% 안팎···흔들리지 않은 이재명 대선 지지율 랭크뉴스 2025.05.06
48911 15일 파기환송심 불출석한다는 이재명···재판부, 대선 전 선고 강행할까 랭크뉴스 2025.05.06
48910 “내가 볼 때만 안보이던 ‘도착역’”, 이제 상시 노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6
48909 이재명 "의대생 여러분, 의료교육 현장으로 돌아와 달라" 랭크뉴스 2025.05.06
48908 국힘 권영세 “내일 전 당원 단일화 찬반 투표”…김문수 압박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