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사는 최모(39)씨는 어버이날(8일)을 앞둔 5일 부모님께 드릴 카네이션을 중고거래 앱 ‘당근’에서 샀다. 판매자는 “꽃 필요 없다고 했는데도 딸이 주고 갔네요. 필요하신 분 저렴하게 가져가세요. 물 잘 주면 어버이날까지 괜찮을 것 같네요”라는 글을 올렸다. 최씨는 “용돈만 드리기는 뭔가 허전했는데 꽃값이 비싸서 혹시 하는 마음에 평소 종종 이용하던 중고거래 앱에 검색했다가 소형 꽃바구니를 시중가의 30%인 1만원에 샀다”며 흡족해했다.

한 중고거래 앱에 게재된 카네이션 생화 판매 글. 캡처
깊어진 불황에 ‘가정의 달’ 소비 풍경이 달라졌다. 카네이션이나 선물을 중고상품으로 장만하고 가족 외식도 줄이고 있다. 일 년 중 가장 소비가 많은 달이라 한 푼이라도 아껴보려는 사람들이 늘어난 영향이다. 농촌진흥청이 지난 1일 발표한 ‘가정의 달 맞이 농식품 소비 행태 변화’ 설문 조사(1000명 대상)에 따르면 어버이날·어린이날·스승의 날 등 가정 행사가 많은 5월이지만, 응답자 10명 중 6명이 ‘평소와 비슷하게 소비하겠다’고 답했다.

중고거래 플랫폼에는 어린이날 선물로 ‘새 상품 같은 중고’ 장난감을 팔고 사는 거래가 활발하다. 대개 로봇이나 블록, 인형 등이다. 어버이날 선물로 받은 꽃이나 선물을 되팔거나 싸게 사려는 거래도 눈에 띈다. 이달 들어 카네이션 관련 거래 제안이 부쩍 늘었다. 조화부터 카네이션 모양의 브로치, 펜, 용돈 박스에 이어 생화까지 등장했다. 한 중고거래 앱 관계자는 “어버이날 전에 주말을 낀 긴 연휴가 있어 생화도 시들기 전에 거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 것”이라며 “장·노년층도 중고 거래에 익숙해지면서 자녀에게 받은 꽃이나 선물을 되파는 이들이 늘었다”라고 말했다.
한 중고거래 앱에 게재된 카네이션 생화 판매 글. 캡처

꽃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화훼 농가 등 꽃시장은 대목에도 풀이 죽었다. 서울 양재꽃시장에서 꽃 장사를 하는 김모(50)씨는 “꽃값이 비싸다며 발길을 돌리는 손님이 많아서 국산보다 40% 정도 저렴한 중국산 카네이션으로 꽃다발·꽃바구니를 만들어 가격을 낮췄는데도 기대만 못 하다"고 말했다.

반면 금값 고공행진에 금으로 만든 현금성 선물은 인기다. GS25가 지난달 28일 선보인 순금 카네이션 배지(1g), 카네이션 골드바(3.75g) 등 순금 상품 10종은 최근 일주일 매출이 1억원에 달했다. 카네이션 골드바 가격은 75만8000원으로,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아예 가성비를 따지거나 현금 혹은 현금을 대신할 선물을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에 맞춰서 기획한 상품"이라고 말했다.

GS25에서 판매하고 있는 순금 카네이션과 골드바. 사진 GS리테일
가족 외식 분위기도 달라졌다. 외식을 자제하거나 가성비 좋은 음식점을 찾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줄어 2년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락 폭도 2023년(-0.7%), 2024년(-1.9%)보다 커졌다. 외식이 줄었다는 의미다.

당장 5월에는 예약이 쉽지 않았던 호텔 뷔페 인기도 시들하다. 서울에 한 5성급 호텔 뷔페는 5일 현재 어버이날 당일 저녁 예약(성인 4인 기준)은 물론이고 5월 주말 저녁 예약을 할 수 있다. 서울의 또 다른 5성급 호텔 뷔페도 5월 주말 저녁 예약이 가능하다. 중고거래 앱에는 1인당 19만8000원인 이들 호텔 뷔페 식사권을 16만원에 팔겠다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

반면 1인당 5만8000원(성인 기준)에 고기·야채를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는 샤브샤브가게(잠실점)는 연휴 내내 예약이 다 찬 데다 어버이날은 물론 주말(10~11일)까지 점심, 저녁 예약이 마감됐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불경기에 소비가 위축된 데다 국내·외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자 필수재인 먹거리 소비까지 줄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32 '탄핵'도 '불경기'도 뚫었다...더 강력해진 ‘프로야구 사랑’ 랭크뉴스 2025.05.05
48531 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30 [여론조사①] "정권교체 56%, 그대로 36%"‥이재명 지지층 93% "계속 지지" 랭크뉴스 2025.05.05
48529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해야”…민주당, 재판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528 이재명, 대선 후가 더 문제···‘헌법 84조’ 판단은 누가? 당선돼도 혼란 계속[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5.05
48527 [여론조사②] 보수 단일화해도 이재명 50%‥김문수는 29%, 한덕수는 32% 랭크뉴스 2025.05.05
48526 한동훈, ‘당원가입’ 독려 “당 버리지 않는다”···당권 행보 조기 시동? 랭크뉴스 2025.05.05
48525 국민의힘 곧 의원총회…단일화 압박에 김문수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5.05
48524 이재명, 조희대 탄핵론에 당과 선긋기…대선 전 ‘투트랙’ 펴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523 "후보 권리 침해" "당헌 위 군림"…김문수∙당지도부, 단일화 전면전 랭크뉴스 2025.05.05
48522 김문수-국힘 지도부, 당무우선권 충돌…단일화 온도차에 갈등 확산 랭크뉴스 2025.05.05
48521 ‘빅텐트와 거리두기’ 이준석 “대선 완주… 내 이름 올리지도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20 정의당, '민주노동당'으로 대선 나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19 이준석 “국힘, 빅텐트 단일화에 내 이름 올리지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18 새벽 시간 고가교 걷던 노인 치어 숨지게 한 운전자...법원, 무죄 선고 랭크뉴스 2025.05.05
48517 [속보] 이재명 “김문수·한덕수 내란연대인가” 단일화 논의 직격 랭크뉴스 2025.05.05
48516 ‘당무우선권’ 카드 빼 든 김문수에 반박, 재반박… 갈등 일파만파 랭크뉴스 2025.05.05
48515 언덕에 흰 페인트칠…‘짝퉁 후지산’ 만든 中관광지 빈축 랭크뉴스 2025.05.05
48514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해야…대법관 탄핵, 당 판단 존중" 랭크뉴스 2025.05.05
48513 이재명, 대법관 탄핵 검토에 “당 판단 존중”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