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해 1분기 국내 건설업 생산이 20% 넘게 줄며 27년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건설업 생산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0.7% 감소했다. 감소 폭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크다. 건설기성은 지난해 2분기(-3.1%), 3분기(-9.1%), 4분기(-9.7%)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4분기 연속 내리막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기였던 2020년 2분기~2022년 1분기 이후 가장 긴 기간 줄고 있다.

건설 경기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신호는 이뿐이 아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투자는 57조원으로 전년대비 12% 감소했다. 4분기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가 지속돼, 3월 취업자는 전년대비 18만5000명 감소한 193만명에 그쳤다.
김지윤 기자

수주와 착공 부진 누적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하고, 12ㆍ3 비상계엄 이후 정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신규 분양이 축소된 탓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달엔 과잉투자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량 사고 등 일시적 요인이 겹쳐 감소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한국의 1분기 성장률 -0.2%로 역성장했다고 발표하면서 건설ㆍ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의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건설투자가 작년 2분기부터 성장률 하방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장기 고금리 상황,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미분양 증가에 따른 주택 경기 부진 등 구조적 요인들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건설업 경기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기성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는 올해 1분기에 1년 전보다 7.7% 줄어들며, 작년 1분기(-10.4%) 이후 처음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건설투자는 그간의 수주ㆍ착공 위축 영향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크게 부진할 전망”이라며 “다만 하반기 이후에는 선행지표 개선과 금융 여건 완화의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낮은 수준에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건설업 침체가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리는 가운데, 일각에선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중심의 ‘건설 추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일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수정안에서 건설경기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은 8122억원이 새로 편성됐다. 기존 2025년 예산안 중 SOC 예산은 약 25조5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약 9000억원 감소했다. 12개 예산 분야 중 SOC 분야 예산만 유일하게 줄었다. 이번 추경으로 SOC 재정 투입은 지난해와 겨우 비슷한 수준이 된 셈이다. 하지만 이번 추경안을 뜯어보면 8122억원 가운데 4888억원은 신축매입임대 등 주거정책을 위한 예산이고, 이를 제외한 엄밀한 의미의 SOC 예산은 3234억원에 불과하다.

엄근용 건산연 연구위원은 “추경안에 포함된 SOC 관련 사업은 지하 탐사 비용과 도로 포장 정도인데, 그것만으로 SOC 투자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엄 위원은 “공공사업이 주택 사업 대비 수익성은 크지 않아도, 기업들이 버틸 수 있는 여력을 줄 수 있다”며 “대도시 상하수도 교체, 저수지 재설계 등 사회기반시설 노후화와 기후변화 등으로 안전에 위협이 되는 부분부터 투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25 한국 경제 전망(수정)’ 보고서에서 “SOC 분야 추경으로 경기부양 효과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건설업 경기침체를 일부라도 해소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93 백악관 “외국영화 관세 아직 미정…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5.06
48692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선언…백악관 “최종 결정 아냐” 랭크뉴스 2025.05.06
48691 [단독] ‘장애 아이 미래’ 준비 못 해 더 우울하지만…강해져야 했다 랭크뉴스 2025.05.06
48690 국힘, 김문수 요구대로 선대위 구성…“11일까지 단일화” 요청 랭크뉴스 2025.05.06
48689 "'해킹 사태' SKT, 반년 전 정부 정보보호 심사 잇달아 통과" 랭크뉴스 2025.05.06
48688 ‘여성대상범죄’ 미아역 추모공간 찾아와 “꼴페미들” 시비 랭크뉴스 2025.05.06
48687 ‘결혼 절벽’ 中, 보조금 주고 절차도 간소화…“효과는 의문” 랭크뉴스 2025.05.06
48686 국민의힘 내부 ‘단일화’ 힘겨루기…선대위 구성 의결 랭크뉴스 2025.05.06
48685 [속보] 국힘, 김문수 ‘단일화 조건’ 요구 따라 선대위 구성…10~11일에 또 전당대회 랭크뉴스 2025.05.06
48684 "어른이 주는 술은 괜찮다? 한 모금도 안 돼"…15세 이전 음주, '알코올 중독' 위험 랭크뉴스 2025.05.06
48683 국힘, 김문수 후보 3대 요구안 의결…“11일까지 단일화” 요구 랭크뉴스 2025.05.06
48682 이재명은 험지 도는데, 김문수는 TK행…후보돼도 보수 단일화에 갇혀 랭크뉴스 2025.05.06
48681 “노도강으로 묶지마”…학군 좋은 단지는 구 평균 매매가보다 4~5억 높아 랭크뉴스 2025.05.06
48680 청년 전월세 대출로 '공유숙박업'‥주택금융공사 "회수 못 해" 랭크뉴스 2025.05.06
48679 “연휴 끝나면 광클하세요”…7일부터 부산콘서트홀 첫 공연 예매 랭크뉴스 2025.05.06
48678 예금금리 내리는데 대출금리 그대로…고객 울린 관치금융 랭크뉴스 2025.05.06
48677 트럼프 “2주 내로 의약품 관세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676 트럼프 “2주내 의약품 관세 발표…다음주 약값 관련 큰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675 김정은도 무릎 끓고 살펴봤다…北 3.5세대 신형 전차 위력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06
48674 "탈 시설 권리 보장" 고공 농성 전장연 활동가 2명 구속 면했다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