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가 기초연금 수급 자격에 ‘국내 거주 기간’ 요건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제도의 형평성과 재정 지속가능성을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노인에게 지급되는 제도로 2014년 7월 도입 이후 노인 빈곤 완화와 소득 불평등 개선에 크게 기여해 왔다.

도입 첫해 435만 명이던 수급자는 2023년 약 651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기준연금액도 월 20만 원(2014년 기준)에서 2024년에는 33만 5000원으로 인상됐다. 같은 기간 관련 예산도 6조 8000억 원에서 24조 4000억 원으로 급증했다.

이처럼 기초연금은 고령화 시대의 핵심 복지제도로 자리매김했지만 빠른 제도 확장 속에서 형평성과 효율성에 대한 문제 제기도 이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쟁점은 ‘국내 거주 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점이다. 복수국적자, 해외 장기 체류자 등 국내 기여도가 낮은 경우에도 연금 수급이 가능한 사례가 알려지면서 사회적 논란이 확산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연금개혁 추진계획을 통해 기초연금 수급 요건에 ‘국내 거주 요건’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만 19세 이후 국내에 최소 5년 이상 거주한 이들에게만 수급 자격을 부여하는 방향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가 “국내 사회에 기여한 국민에게 더 공정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고령화로 인한 복지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 등 대다수 OECD 국가들은 기초연금과 유사한 제도에 거주 요건을 명시하고 있다. 호주와 캐나다는 최소 10년, 노르웨이는 5년, 스웨덴은 3년 이상 거주해야 연금 수급이 가능하다.

하지만 거주 요건 도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여전히 OECD 최고 수준이며, 기준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설정할 경우 복지 사각지대가 오히려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향후 연금 구조 개혁 논의와 사회적 합의 과정을 거쳐 최종 제도 설계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94 어린이날에 어린이가 없다?…완구·문구업계 직격탄 랭크뉴스 2025.05.05
48593 "무역이 무기 되면 안 돼" 美 전설의 투자자, 트럼프 관세 비판 랭크뉴스 2025.05.05
48592 윤석열 한강 ‘개 산책’ 목격자 “속 터져…나다니는 꼴 보니” 랭크뉴스 2025.05.05
48591 7일까지 미복귀시 제적·유급 최후통첩에도…의대생들 ‘또 봐줄텐데’ 랭크뉴스 2025.05.05
48590 "우크라, 북한·러시아군에 밀려났던 러 쿠르스크 재공격" 랭크뉴스 2025.05.05
48589 쏟아진 개헌 공약…87체제 넘어설까? [공약검증] 랭크뉴스 2025.05.05
48588 '대선 전 이재명 확정 판결 가능하다' 억측까지 나오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587 3년 전엔 아무것도 없었는데…위성사진에 포착된 中 거대 시설은 랭크뉴스 2025.05.05
48586 한덕수, 내일 이낙연과 회동…반명·개헌 빅텐트 추진 ‘잰걸음’ 랭크뉴스 2025.05.05
48585 타 죽고 떠돌고…반복되는 산불에 동물도 ‘시름’ 랭크뉴스 2025.05.05
48584 중국서 폭우에 돌풍으로 유람선 전복…1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05
48583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는 ‘내란연대’”…양평 고속도로 의혹 직격 랭크뉴스 2025.05.05
48582 김문수·국힘 의원들 충돌…“당무우선권 침해 마라” “군림하려 하나” 랭크뉴스 2025.05.05
48581 국민의힘 지도부, 김문수에 “4~5일 안에 단일화 이뤄내야…결단 필요” 랭크뉴스 2025.05.05
48580 국민의힘 의원총회…단일화 압박에 김문수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5.05
48579 ‘경선 1위’ 김문수에게 “내려놓을 용기, 먼저 희생”…권영세의 압박 랭크뉴스 2025.05.05
48578 한덕수∙손학규 110분 회동…"개헌해 위기 극복" "단일화 잘해야" 랭크뉴스 2025.05.05
48577 홍준표 ‘미국행’·한동훈 ‘침묵’·안철수 ‘사과 요구’…경선 3인방 ‘원팀’에 미지근 랭크뉴스 2025.05.05
48576 [속보]‘장애인 탈시설 요구’ 고공농성 전장연 활동가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5.05
48575 이스라엘 내각, 가자작전 확대 승인…"영토 점령 포함"(종합)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