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만장일치로 가야 할 필요…
빠른 사람이 느린 사람 기다려야”
김장하 선생과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문화방송(MBC) 경남 제공, 연합뉴스

지난달 18일 퇴임한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자신에게 장학금을 주며 지원한 ‘평생의 은인’ 김장하 선생을 2일 경남 진주시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문 전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만장일치로 결정하기까지 역대 대통령 탄핵 사건에 견줘 오랜 시간이 걸렸던 이유를 밝혔다. “재판관들끼리 이견이 있는 상태에서는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5일 문화방송(MBC) 경남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문 전 권한대행은 2일 김장하 선생과 만난 자리에서 “(탄핵 선고가) 오래 걸린 건 말 그대로 만장일치를 좀 만들어 보려고…. 시간이 조금 늦더라도 만장일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는 2월25일 변론 종결부터 38일 만인 지난달 4일 이뤄졌다. 변론 종결 뒤 노무현 전 대통령(14일), 박근혜 전 대통령(11일) 사건과 비교해도 2배가 넘는 최장기간 심리를 지속했다.

문 전 권한대행은 헌재 선고 결과를 두고 국민 간 갈등이 격화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만약에 몇 대 몇으로 나가면 어떻게 공격하냐면, 그 소수 의견을 가지고 다수 의견을 공격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주제를 가지고 재판관끼리 이견이 있는 상태에서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 저는 그렇게 생각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이 헌재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우려했던 폭력 난동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파면 선고 직후 일부 지지자들은 ‘국민 저항권’을 강조하며 격앙된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으나, 경찰의 삼엄한 경계 속에 집단적인 난동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문 전 권한대행은 “사건을 보자마자 결론이 서는 사람들이 있지만, 모든 것을 다 검토해야 결론을 내는 사람도 있다”며 “그 경우에는 당연히 빠른 사람이 느린 사람을 기다려야 한다. 빠른 사람, 급한 사람들이 인내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일 경남 진주시 남성당 한약방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김장하 선생(가운데)과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오른쪽에서 두 번째). 문화방송(MBC) 경남 유튜브 갈무리

김장하 선생은 문 전 권한대행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다수결이 민주주의 꽃이라 그러는데 요란한 소수가 조용한 다수를 지배한다. 그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가”라고 물은 것. 그러자 문 전 권한대행은 “요란한 소수를 설득하고 다수의 뜻을 세워나가는 지도자가 나타날 거라고 저는 생각한다. 그런 체제가 가능한 게 저는 민주주의라 생각하고 이번에 탄핵도 그런 연장선상으로 진행된 거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장하(81) 선생은 경남 진주에서 ‘남성당 한약방’을 운영하며 39살이던 1983년 진주에 세운 명신고등학교를 1991년 국가에 헌납했고, 1000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었다. 그중 한 명이 문 권한대행이었다. 문 전 권한대행은 고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4학년까지 이른바 ‘김장하 장학생’으로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2019년 국회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서 “김장하 선생 덕분에 학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고 사법 시험에도 합격할 수 있었다”며 “제가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인사하러 간 자리에서 선생은 ‘내게 고마워할 필요는 없다. 나는 이 사회의 것을 너에게 주었으니 갚으려거든 내가 아닌 이 사회에 갚아라’ 하였고, 그 말씀을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54 이재명 유죄 파기환송에…"잘된 판결" 46% "잘못됐다" 42% [중앙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6
48653 국민의힘, 이틀째 의원총회서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논의 랭크뉴스 2025.05.06
48652 완주? 빅텐트? 고민 커진 이준석…캐스팅보터 가능성은 여전 [중앙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6
48651 "어른이 주는 술은 괜찮다? 한 모금도 안돼"…15세 이전 음주, 알코올 중독 위험 랭크뉴스 2025.05.06
48650 고속도로 달리던 트럭 갑자기 '쾅'… 동전 800만 개 '10억 원' 흩어졌다 랭크뉴스 2025.05.06
48649 한덕수, 오늘 관훈토론회 참석 후 이낙연과 오찬 회동 랭크뉴스 2025.05.06
48648 이재명 49 김문수 33 이준석 9%…이재명 49 한덕수 36 이준석 6% [중앙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6
48647 "김 없는 주먹밥 등장"…천정부지로 오른 쌀값에 특단의 조치 내놓는 日 편의점 랭크뉴스 2025.05.06
48646 '성추문' 前대통령 체포영장 취소한 볼리비아 판사 구금돼 랭크뉴스 2025.05.06
48645 “강남 빈집만 노린다”…돌반지부터 유품까지 ‘금품 3억’ 훔친 50대 남성 최후 랭크뉴스 2025.05.06
48644 IMF총재 "관세로 中 디플레 우려…中, 수출→소비 주도로 가야" 랭크뉴스 2025.05.06
48643 백악관 "외국영화 관세, 아직 최종결정 안돼…옵션 검토중"(종합) 랭크뉴스 2025.05.06
48642 “신혼여행 성지인데 못 가겠네”…호텔값 오르자 여행 포기한다는 ‘이곳’ 랭크뉴스 2025.05.06
48641 "연봉 낮은 9급 공무원? 관심없어요"…싫다던 Z세대 "500만원이면 고려" 랭크뉴스 2025.05.06
48640 ‘진격의 K방산’ 1분기 매출 첫 8조원 돌파…수주 잔고만 100조원 랭크뉴스 2025.05.06
48639 "남녀 모두 알몸으로 주무세요"…전문가가 밝힌 건강의 비결, 효과는? 랭크뉴스 2025.05.06
48638 수단 반군, 정부군 거점 포트수단 이틀째 공습…연료창고 화재 랭크뉴스 2025.05.06
48637 美재무 "美에 투자하기 나쁜때 아냐…정부적자 매년 1%씩 감축" 랭크뉴스 2025.05.06
48636 ‘윤석열 탄핵 늦어진 이유’ 뒤늦게 밝힌 문형배 “시간이 좀 늦더라도···” 랭크뉴스 2025.05.06
48635 "회사 냉장고서 1000원짜리 과자 먹었는데"…절도죄로 벌금형 선고받은 화물차 기사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