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뉴스분석 - ‘탄핵 정권 총리·장관 단일화’ 된 국민의힘 ]
김문수 | 한덕수


‘책임론’ 김문수·한덕수 누가 돼도 ‘윤 파면’ 대선 의미 퇴색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김문수 후보가 승리하면서 6·3 대선에 나설 구 여권 대표주자를 두고 윤석열 정부 장관 출신인 김 후보와 정부 2인자였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경쟁 구도가 확정됐다. 누가 되든 ‘윤석열 그림자’를 벗기 어려워 12·3 불법계엄에 따른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대선의 의미를 훼손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선 한 달을 앞두고 ‘계엄 대 반계엄’ 구도가 선명해졌다.

국민의힘은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김 후보를 대선 후보로 선출했다. 김 후보는 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합산한 전체 득표율에서 56.53%로 과반을 얻었다. 경쟁자였던 한동훈 후보는 43.47%에 그쳤다.

당내 경선은 끝났지만 국민의힘이 지지할 후보를 뽑는 과정은 이제 시작이라는 말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4일 당 선거대책위원회 내에 김 후보와 한 전 총리의 단일화를 추진하는 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와 친윤석열(친윤)계 인사들은 경선 도중에도 국민의힘 후보와 한 전 총리의 단일화를 언급해왔다.

두 사람은 불법계엄으로 중도퇴장한 윤석열 정부의 총리와 장관으로 일해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들 중 어느 쪽으로 단일화하든 ‘윤석열 정부 2기’를 꾀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일 때 국회 본회의장에서 구 야권의 불법계엄 사과 요구를 유일하게 거부했고, 전날 수락 연설서도 계엄과 탄핵을 사과하지 않았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를 소집하고 계엄 선포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한 구 여권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 자체가 극우화하고 자유한국당 때보다 더 안 좋은 길로 가고 있다”며 “이런 후보들로 무슨 캠페인으로 대선을 치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친한동훈(친한)계 박상수 전 대변인은 SNS에 “계엄에 대해 사과를 하지 않고 자리를 지킨 후보나 국무회의도 아닌 회의에서 대통령을 말리지 못한 후보를 지지했다는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적었다.

윤 전 대통령 의중이 경선과 단일화 논의에 반영된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보수 논객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은 지난 2일 SBS 라디오에서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를 피할 수 없고, 결국 보수 진영 최종 후보는 한 전 총리가 될 것”이라며 “이는 윤 전 대통령의 뜻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국민의힘 경선은 본격적인 경쟁 단계부터 의미를 잃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론이 핵심 쟁점이 되면서 불법계엄 사태에 대한 당내 반성과 쇄신이 주요 토론 주제로 부상하지 못했다.

당 지도부는 경선 도중 단일화론에 힘을 싣는 발언들을 여러 차례 내놨다. 결국 ‘8인→4인→2인→1인’으로 당 후보를 좁히는 과정에서 탄핵 찬성파 후보들이 차례로 떨어지고 단일화에 적극적인 탄핵 반대파 김 후보가 선출됐다. 이를 두고 사실상 ‘김덕수’(김문수+한덕수)가 선출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당선을 막겠다는 명분으로 당내 민주주의는커녕 정당정치 자체를 포기해버렸다. 정당으로서의 존재 의의를 스스로 저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매번 외부 수혈로 당을 유지하면서 당의 정체성이 약화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경선을 치르지 않은 후보와의 단일화가 논의되는 건 정당정치의 실종”이라고 했다.

불법계엄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주자들이 대선 레이스 중심에 서면서 계엄 대 반계엄 구도가 한층 뚜렷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채 교수는 “한동훈 후보가 선출됐다면 민주당 입장에서 찬탄(탄핵 찬성) 대 반탄(탄핵 반대) 프레임으로 가기 어려웠을 텐데, 김 후보가 선출되면서 명분을 만들어줬다”며 “이런 프레임으로 인해 단일화에 따른 중도 확장성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24 불심·동심 동시 공략… 이재명·김문수·한덕수 한자리에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23 친구보다 공부…한국 학생, 수학∙과학은 '톱' 교우관계는 '꼴찌권'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22 김문수·한덕수, 이르면 오늘 만나나… 단일화 두고 입장차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21 트럼프 "시진핑과 금주 통화계획 없다…中 포함 국가들과 협상중"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20 “반목 내려놓고 화합”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 전국서 봉축 법요식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9 대선 후보 현장 라이브 05.05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8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7 SKT “유심 교체 100만명…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6 '정계 은퇴' 홍준표 "당이 날 버렸다…인생 3막 위해 미국행"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5 이재명 46.5 한덕수 34.3 이준석 5.9…이재명 46.6 김문수 27.8 이준석 7.5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4 보수 단일후보 한덕수 30.0% 김문수 21.9%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3 '김문수 자강론' 김재원 "대선 투표용지에 한덕수 이름 없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2 [속보] SKT "유심 교체 100만명…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1 보수 단일후보 적합도 한덕수 30.0% 김문수 21.9%[리얼미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10 어린이날, 연휴 중 가장 막힌다…오후 12~1시 최대 혼잡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09 3자 가상대결…이재명 46.5% 한덕수 34.3% 이준석 5.9%[리얼미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08 “환청 들려”…환각상태서 집주인 둔기로 살해한 세입자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07 3자 가상대결 지지도…이재명 46.6% 김문수 21.9% 이준석 7.5%[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06 이재명 “화합·공존·상생하라는 부처님 말씀 등불 삼겠다” new 랭크뉴스 2025.05.05
48305 지갑 닫은 서민들...식당도 마트도 "이런 적은 처음" new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