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뉴스분석 - ‘탄핵 정권 총리·장관 단일화’ 된 국민의힘 ]
김문수 | 한덕수


‘책임론’ 김문수·한덕수 누가 돼도 ‘윤 파면’ 대선 의미 퇴색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김문수 후보가 승리하면서 6·3 대선에 나설 구 여권 대표주자를 두고 윤석열 정부 장관 출신인 김 후보와 정부 2인자였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경쟁 구도가 확정됐다. 누가 되든 ‘윤석열 그림자’를 벗기 어려워 12·3 불법계엄에 따른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대선의 의미를 훼손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선 한 달을 앞두고 ‘계엄 대 반계엄’ 구도가 선명해졌다.

국민의힘은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김 후보를 대선 후보로 선출했다. 김 후보는 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합산한 전체 득표율에서 56.53%로 과반을 얻었다. 경쟁자였던 한동훈 후보는 43.47%에 그쳤다.

당내 경선은 끝났지만 국민의힘이 지지할 후보를 뽑는 과정은 이제 시작이라는 말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4일 당 선거대책위원회 내에 김 후보와 한 전 총리의 단일화를 추진하는 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당 지도부와 친윤석열(친윤)계 인사들은 경선 도중에도 국민의힘 후보와 한 전 총리의 단일화를 언급해왔다.

두 사람은 불법계엄으로 중도퇴장한 윤석열 정부의 총리와 장관으로 일해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들 중 어느 쪽으로 단일화하든 ‘윤석열 정부 2기’를 꾀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김 후보는 고용노동부 장관일 때 국회 본회의장에서 구 야권의 불법계엄 사과 요구를 유일하게 거부했고, 전날 수락 연설서도 계엄과 탄핵을 사과하지 않았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를 소집하고 계엄 선포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한 구 여권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 자체가 극우화하고 자유한국당 때보다 더 안 좋은 길로 가고 있다”며 “이런 후보들로 무슨 캠페인으로 대선을 치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친한동훈(친한)계 박상수 전 대변인은 SNS에 “계엄에 대해 사과를 하지 않고 자리를 지킨 후보나 국무회의도 아닌 회의에서 대통령을 말리지 못한 후보를 지지했다는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적었다.

윤 전 대통령 의중이 경선과 단일화 논의에 반영된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보수 논객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은 지난 2일 SBS 라디오에서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를 피할 수 없고, 결국 보수 진영 최종 후보는 한 전 총리가 될 것”이라며 “이는 윤 전 대통령의 뜻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국민의힘 경선은 본격적인 경쟁 단계부터 의미를 잃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론이 핵심 쟁점이 되면서 불법계엄 사태에 대한 당내 반성과 쇄신이 주요 토론 주제로 부상하지 못했다.

당 지도부는 경선 도중 단일화론에 힘을 싣는 발언들을 여러 차례 내놨다. 결국 ‘8인→4인→2인→1인’으로 당 후보를 좁히는 과정에서 탄핵 찬성파 후보들이 차례로 떨어지고 단일화에 적극적인 탄핵 반대파 김 후보가 선출됐다. 이를 두고 사실상 ‘김덕수’(김문수+한덕수)가 선출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당선을 막겠다는 명분으로 당내 민주주의는커녕 정당정치 자체를 포기해버렸다. 정당으로서의 존재 의의를 스스로 저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매번 외부 수혈로 당을 유지하면서 당의 정체성이 약화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경선을 치르지 않은 후보와의 단일화가 논의되는 건 정당정치의 실종”이라고 했다.

불법계엄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주자들이 대선 레이스 중심에 서면서 계엄 대 반계엄 구도가 한층 뚜렷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채 교수는 “한동훈 후보가 선출됐다면 민주당 입장에서 찬탄(탄핵 찬성) 대 반탄(탄핵 반대) 프레임으로 가기 어려웠을 텐데, 김 후보가 선출되면서 명분을 만들어줬다”며 “이런 프레임으로 인해 단일화에 따른 중도 확장성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64 강금실 "이재명 항소심 정지돼야… 판사가 지정된 기일 직권 변경해야" 랭크뉴스 2025.05.05
48463 “휴대폰 꺼지면 복제폰 제작 가능?” SKT에 물으니 랭크뉴스 2025.05.05
48462 김문수 “국민의힘, 3일 안에 단일화 요구 유감… 당무우선권 침해 중단해야” 랭크뉴스 2025.05.05
48461 [단독] 윤석열 정부 ‘캄보디아 예산’ 늘린 시기에 통일교 전 간부 “펀딩은 내가” 랭크뉴스 2025.05.05
48460 한덕수, 정대철·손학규 이어 이낙연과 회동... '개헌 빅텐트' 랭크뉴스 2025.05.05
48459 한덕수-이낙연, 내일 ‘반이재명 빅텐트’ 머리 맞댄다 랭크뉴스 2025.05.05
48458 정계 은퇴한 홍준표 "인생 3막 구상 위해 잠시 미국 다녀올 것" 랭크뉴스 2025.05.05
48457 국힘 오후 7시 긴급 의총…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5.05
48456 김재원 “한덕수, 천원짜리 당비도 안 내…김문수로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5
48455 "요즘 누가 매장 가나요?"...TV·냉장고도 '클릭'해서 산다 랭크뉴스 2025.05.05
48454 한덕수의 ‘빅텐트 잰걸음’… 손학규 이어 이낙연과 6일 오찬 회동 랭크뉴스 2025.05.05
48453 ‘어른’ 김장하 “요란한 소수가 조용한 다수 지배”…문형배 생각은 랭크뉴스 2025.05.05
48452 이재명이 찾아간 여주 구양리…넉달간 수익 9271만원 비결은 랭크뉴스 2025.05.05
48451 SKT “유심 교체 100만명”···위약금 면제는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5.05
48450 김문수측 김재원 "본선 투표 용지에 한덕수 이름은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449 관세에 美경제 엉망인데 "금리 내려"…트럼프 협박 통할까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5.05
48448 김문수 측 비서실장 “본선 투표 용지에 한덕수 이름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447 [여론조사①] 정권교체 56% 정권재창출 36%‥이재명 지지층 93% "계속 지지" 랭크뉴스 2025.05.05
48446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주도권 신경전 점화…국힘 내부선 金압박 랭크뉴스 2025.05.05
48445 KBS 제8기 장애인앵커에 노희지 씨…국내 최초 청각장애인 앵커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