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 부담 없는 투자로 우리 아이 목돈 만들기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 후 10년 분할 증여 시
미성년자녀에 세금 없이 2268만원 증여 가능



이씨는 어린이날을 맞아 초등학생인 아들 명의로 적립식 주니어 펀드에 가입했다. 한 번에 목돈을 주기엔 여유가 없어, 그때그때 소액을 펀드에 납입하는 식으로 주식에 투자해 돈을 불려주기 위함이다. 주식 계좌를 만들어 개별 종목에 투자해 볼까도 생각해 봤지만, 바지런하게 주식 차트를 들여다볼 자신이 없었다. 또 펀드를 통한 분할 증여 시 절세 효과가 톡톡하다는 얘기를 듣고 최종적으로 펀드를 선택했다.


어린이날을 맞아 자녀에게 펀드를 선물하는 부모가 늘고 있다. 직접 투자를 선호하는 이들도 많지만, 이씨처럼 펀드를 통한 간접 투자로 눈을 돌리는 부모도 상당하다. 우량주 비율이 높은 편이라 안정적인 투자 수익을 낼 수 있고, 증여세 부담도 덜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증여 비과세 한도를 고려해 한 달에 얼마씩 돈을 펀드에 적립해야 하는지, 평균 수익률에 근거한 예상 수익은 어느 정도인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우선 알아야 할 것은 미성년 비과세 한도다. 증여세는 10년 단위로 매겨지는데, 미성년 자녀의 경우 2000만원, 성년 자녀는 5000만원까지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다. 펀드에 10년간 돈을 낸다면 이 점을 유의해 월 납입액을 산정해야 한다.

이때 활용하면 좋은 것이 ‘유기정기금 증여’다. 유기정기금 증여는 기한을 정해 놓고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증여하는 것인데, 최대 장점은 한 번에 증여하는 것보다 더 많은 금액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처음 증여 시점에 목돈을 일시불로 납부한 것으로 인정해, 증여재산 가액을 현재 가치로 ‘할인’해 계산하기 때문이다. 할인율은 연 3%씩 복리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이씨가 2000만원을 10년간 나눠 아들에게 증여하겠다고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를 한다면, 3% 할인율이 적용돼 증여할 수 있는 금액은 2268만원으로 늘어난다. 10년간 매달 18만9000원(2268만원÷120개월)씩 펀드에 내면 한 번에 증여하는 것보다 268만원을 더 줄 수 있다.

그래픽=손민균

법적으로 증여 신고 이후 발생한 수익에 대해선 추가 과세가 없다는 점도 장점이다. 펀드의 연평균 수익률이 5%라고 가정할 경우, 매달 18만9000원을 납입하면 원금 2268만원이 10년 뒤 2935만원으로 불어난다. 수익률이 7%, 10%까지 오르면 원금은 각각 3271만원, 3872만원까지 늘어난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어린이 펀드의 수익률은 이보다 높다. 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설정액 10억원 이상 어린이펀드 중 ‘한국밸류10년투자어린이증권투자신탁 1(주식)종류S’의 5년 수익률은 146.92%다. ‘NH-Amundi아이사랑적립증권투자신탁1[주식]ClassC1′와 ‘미래에셋우리아이친디아업종대표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종류A-e’의 5년 수익률은 각각 78.96%, 68.3%였다.

그래픽=정서희

유기정기금 증여 시 주의할 점은 증여 약정 후 증여세를 낸 뒤 사정이 생겨 납입을 중단해도 애초 낸 증여세는 환급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만약 이씨가 아들에게 5000만원을 10년간 분할 증여하기 위해 유기정기금 신고를 했다고 가정해 보자. 할인율이 적용돼 증여재산 가액은 5640만원으로 늘어난다. 다만 비과세 공제 한도를 넘어선 3000만원에 대해선 증여세 300만원을 선납해야 하는데, 이 돈은 이씨가 중간에 납입을 중단해도 돌려받을 수 없다.

유기정기금 증여는 증여자와 수증자(증여받는 사람)가 사전에 증여 계약을 체결하고 최초 입금일로부터 3개월 이내 증여 신고를 하면 된다. 증여 신고에 필요한 서류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증여계약서, 유기 정기금 평가 명세서다. 국세 종합 서비스 사이트 ‘홈택스’를 이용하거나 관할 세무서에 직접 방문해 신고할 수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87 중국 관광지 '짝퉁 후지산' 논란‥언덕에 흰색 페인트칠 랭크뉴스 2025.05.05
48386 내가 찍은 우리 동네 맛집, 서울시가 밀키트로 만들어 판다 랭크뉴스 2025.05.05
48385 민주당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 추진은 보류" 랭크뉴스 2025.05.05
48384 완도 한 리조트, 일산화탄소 추정 가스 누출…14명 집단 중독 랭크뉴스 2025.05.05
48383 강요 대신 위로로…MZ의 ‘안전지대’가 된 불교[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82 홍준표 “당이 날 버려…인생 3막 위해 미국 다녀올 것” 랭크뉴스 2025.05.05
48381 "검정 바지에 빨간 잠바" 이 문자, 6일에 1명씩 가족 품 보냈다 랭크뉴스 2025.05.05
48380 3선 못하는 트럼프 "후계자 1순위는 밴스 부통령" 랭크뉴스 2025.05.05
48379 “뭣이 중한디”… 국힘, 김문수에 ‘한덕수와 단일화’ 압박 랭크뉴스 2025.05.05
48378 ‘김문수와 단일화’ 올인 한덕수, 대선 코앞인데 아직 공약도 안 내놔 랭크뉴스 2025.05.05
48377 중국인에게 쓰이는 '혈세'...여전히 구멍난 '건강보험' 랭크뉴스 2025.05.05
48376 국민의힘 의원들 "11일 전 단일화"… 김문수측 "당내 쿠데타" 랭크뉴스 2025.05.05
48375 텃밭서 일하다…남편 운전 굴착기에 치인 아내 참변 랭크뉴스 2025.05.05
48374 "그 돈이면 일본 갈래"…'바가지 제주도' 손절한 줄 알았는데 다시 선택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373 국힘 경선룰 적용 시 한덕수 49.7%, 김문수 2배 이상 앞선다[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05
48372 [단독] 김문수측 장동혁, 사무총장 고사…'단일화파' 이양수 유임 랭크뉴스 2025.05.05
48371 민주 "후보들 공판일 모두 대선뒤로"…'李파기환송심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370 軍 최고 ‘작전통’ 보직은…합동작전과장→작전1처장→작전부장→작전본부장[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05
48369 한덕수, 김문수에 “오늘 중 만나자” 김문수 측 “정식 제안 아니었다” 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368 [속보] 경희의료원 서관 건물 옥상에서 불…화재 진압 중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