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습지에 서식하는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최상위 포식자면서 자식에게는 따뜻한 아버지. 지금은 멸종 위기에 처했지만, 한때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연못·저수지에 서식하던 곤충 ‘물장군’ 얘기다. 환경부는 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곤충에게서 보기 어려운 부성애를 가진 물장군을 ‘5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

물장군은 몸길이가 5~7㎝에 이르는, 국내에서 가장 큰 수생 곤충이다. 모기 같은 작은 곤충부터, 자신보다 몸집이 큰 뱀까지 먹이로 삼아 습지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등극했다. ‘물속의 장군’이란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낫 모양으로 크게 발달한 앞다리 끝에는 긴 갈고리가 달려, 먹이를 포획하고 움켜쥐는 데 용이하다. 4월에 동면에서 깨어나 5월에 활동하고, 6월 말에 짝짓기를 한다.

물장군의 부성애는 짝짓기가 끝난 뒤 나타난다. 암컷 물장군이 물 밖으로 나온 부들 등의 식물에 60~100개의 알을 부착해 놓으면 이를 수컷이 보살피기 시작한다. 알이 부화할 때까지, 열흘 동안 물에 젖은 몸으로 알에 수분을 공급하고 몸으로 햇빛을 가려 보호한다. 수컷은 이 기간에 다른 생물 뿐 아니라, 알을 떼어먹는 암컷으로부터도 알을 지킨다. 이는 곤충에게 보기 드문 행동이다.



수질 오염과 기후변화로 서식지 감소 중
물장군은 과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했지만,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서식지가 훼손되며 개체수가 감소했다. 현재는 제주도, 서해와 남해안의 섬, 내륙 일부 습지, 민통선 지역에서 서식한다.

물장군은 습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체수를 보존하는게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농업 해충인 민달팽이와 모기를 방제하는 역할도 하는데, 물장군이 사라지면 이런 해충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물장군 국내 서식 가능 지역 예측도. 붉은색 영역이 서식 가능 구역이다. B, E는 저배출(SSP126)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B), 2071~2100년(E) 예측도. C, F는 중배출(SSP370)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C), 2071~2100년(F) 예측도. D,G는 고배출(SSP585)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D), 2071~2100년(G) 예측도.
고려대 연구팀이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장군은 수질 오염 외에도 기후변화 탓에 멸종이 가속할 우려가 있다. 물장군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민감한데다, 전 세계적으로 자연 습지가 감소하고 있어서다. 2015년 기준 전 세계 자연 습지 면적은 1970년 당시보다 약 35% 손실됐는데, 이는 삼림 손실 속도의 3배라고 한다.

연구팀은 물장군의 향후 국내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남부 해안에 주로 서식하는 물장군은 2041~2070년쯤 수도권과 북한 접경지 습지에 서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 고배출 시나리오(SSP585)대로 기후변화가 진행될 경우 2071~2100년년에는 서식 가능 지역이 현재보다 68.1% 감소하고, 최악의 경우 남한 내에서 서식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은 “가까운 미래에 물장군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존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환경부는 물장군을 1998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정했다. 2005년부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으로 분류해 보호하고 있다.

습지에서 물장군을 발견하면 눈으로 보기만 해야 한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을 허가 없이 포획·채취·훼손하거나 죽이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12 쪽방촌 주민 “한덕수, 우리 얘기 안 들어…사진만 찍고 가더라” 랭크뉴스 2025.05.05
48511 ‘김건희로 수렴하는 건진법사 수사’···통일교 전 간부 부부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5.05
48510 민주당 “이재명 재판, 대선 이후로 변경 요청···대법원은 12일 전까지 답하라” 랭크뉴스 2025.05.05
48509 이준석 “이쯤되면 2차 가해…단일화에 내 이름 빼라” 랭크뉴스 2025.05.05
48508 "삼겹살 먹을 때 매번 같이 먹었는데"…젊은층 대장암 유발한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5.05
48507 민주당 "대선 후보 공판일 모두 대선뒤로"‥'파기환송심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506 김문수 “일방적 단일화 요구에 유감”…지도부와 정면충돌 랭크뉴스 2025.05.05
48505 카네이션은 당근으로, 외식은 패스…'가정의 달'이 달라졌다 랭크뉴스 2025.05.05
48504 “감옥에 있는 줄 알았던 최순실, 석방됐다?”…3월 형집행정지, 전혀 몰랐다 랭크뉴스 2025.05.05
48503 SKT 오늘부터 신규가입 중단 "유심 교체 한달 반 걸릴 듯" [팩플] 랭크뉴스 2025.05.05
48502 모처럼 나들이에 게임 수다 삼매경…추억 쌓은 보육원 소년들 랭크뉴스 2025.05.05
48501 카네이션 당근으로, 외식은 패스…'가정의 달'이 달라졌다 랭크뉴스 2025.05.05
48500 김문수 "일방적 단일화 촉구 유감"... 의원들 "속히 결단하라" 랭크뉴스 2025.05.05
48499 국민의힘 단일화 내분…김문수 "유감·권한 침해 멈춰라" 랭크뉴스 2025.05.05
48498 이재명, 대법관 탄핵 추진에 "당의 판단 존중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5
48497 “공부만 잘하면 돼” 삶의 질 바닥 친 중학생 랭크뉴스 2025.05.05
48496 100% 배상 언급한 SKT…"증거보전 등 가입자 최소한 입증도 필요" 랭크뉴스 2025.05.05
48495 한덕수·이낙연, 내일 오찬 회동…'반명 빅텐트' 구축 나서나 랭크뉴스 2025.05.05
48494 이재명 "김문수·한덕수 내란연대"…민주 "국힘, 韓에 단일화 구걸"(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493 전남 완도 리조트, 14명 가스 집단 중독…CO로 추정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