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습지에 서식하는 물장군.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최상위 포식자면서 자식에게는 따뜻한 아버지. 지금은 멸종 위기에 처했지만, 한때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연못·저수지에 서식하던 곤충 ‘물장군’ 얘기다. 환경부는 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곤충에게서 보기 어려운 부성애를 가진 물장군을 ‘5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했다.

물장군은 몸길이가 5~7㎝에 이르는, 국내에서 가장 큰 수생 곤충이다. 모기 같은 작은 곤충부터, 자신보다 몸집이 큰 뱀까지 먹이로 삼아 습지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등극했다. ‘물속의 장군’이란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 낫 모양으로 크게 발달한 앞다리 끝에는 긴 갈고리가 달려, 먹이를 포획하고 움켜쥐는 데 용이하다. 4월에 동면에서 깨어나 5월에 활동하고, 6월 말에 짝짓기를 한다.

물장군의 부성애는 짝짓기가 끝난 뒤 나타난다. 암컷 물장군이 물 밖으로 나온 부들 등의 식물에 60~100개의 알을 부착해 놓으면 이를 수컷이 보살피기 시작한다. 알이 부화할 때까지, 열흘 동안 물에 젖은 몸으로 알에 수분을 공급하고 몸으로 햇빛을 가려 보호한다. 수컷은 이 기간에 다른 생물 뿐 아니라, 알을 떼어먹는 암컷으로부터도 알을 지킨다. 이는 곤충에게 보기 드문 행동이다.



수질 오염과 기후변화로 서식지 감소 중
물장군은 과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했지만,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서식지가 훼손되며 개체수가 감소했다. 현재는 제주도, 서해와 남해안의 섬, 내륙 일부 습지, 민통선 지역에서 서식한다.

물장군은 습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체수를 보존하는게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농업 해충인 민달팽이와 모기를 방제하는 역할도 하는데, 물장군이 사라지면 이런 해충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물장군 국내 서식 가능 지역 예측도. 붉은색 영역이 서식 가능 구역이다. B, E는 저배출(SSP126)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B), 2071~2100년(E) 예측도. C, F는 중배출(SSP370)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C), 2071~2100년(F) 예측도. D,G는 고배출(SSP585) 시나리오에서 2041~2070년(D), 2071~2100년(G) 예측도.
고려대 연구팀이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장군은 수질 오염 외에도 기후변화 탓에 멸종이 가속할 우려가 있다. 물장군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민감한데다, 전 세계적으로 자연 습지가 감소하고 있어서다. 2015년 기준 전 세계 자연 습지 면적은 1970년 당시보다 약 35% 손실됐는데, 이는 삼림 손실 속도의 3배라고 한다.

연구팀은 물장군의 향후 국내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남부 해안에 주로 서식하는 물장군은 2041~2070년쯤 수도권과 북한 접경지 습지에 서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 고배출 시나리오(SSP585)대로 기후변화가 진행될 경우 2071~2100년년에는 서식 가능 지역이 현재보다 68.1% 감소하고, 최악의 경우 남한 내에서 서식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은 “가까운 미래에 물장군 서식지가 북쪽으로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존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환경부는 물장군을 1998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정했다. 2005년부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으로 분류해 보호하고 있다.

습지에서 물장군을 발견하면 눈으로 보기만 해야 한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을 허가 없이 포획·채취·훼손하거나 죽이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92 윤석열 한강 ‘개 산책’ 목격자 “속 터져…나다니는 꼴 보니” 랭크뉴스 2025.05.05
48591 7일까지 미복귀시 제적·유급 최후통첩에도…의대생들 ‘또 봐줄텐데’ 랭크뉴스 2025.05.05
48590 "우크라, 북한·러시아군에 밀려났던 러 쿠르스크 재공격" 랭크뉴스 2025.05.05
48589 쏟아진 개헌 공약…87체제 넘어설까? [공약검증] 랭크뉴스 2025.05.05
48588 '대선 전 이재명 확정 판결 가능하다' 억측까지 나오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587 3년 전엔 아무것도 없었는데…위성사진에 포착된 中 거대 시설은 랭크뉴스 2025.05.05
48586 한덕수, 내일 이낙연과 회동…반명·개헌 빅텐트 추진 ‘잰걸음’ 랭크뉴스 2025.05.05
48585 타 죽고 떠돌고…반복되는 산불에 동물도 ‘시름’ 랭크뉴스 2025.05.05
48584 중국서 폭우에 돌풍으로 유람선 전복…1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05
48583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는 ‘내란연대’”…양평 고속도로 의혹 직격 랭크뉴스 2025.05.05
48582 김문수·국힘 의원들 충돌…“당무우선권 침해 마라” “군림하려 하나” 랭크뉴스 2025.05.05
48581 국민의힘 지도부, 김문수에 “4~5일 안에 단일화 이뤄내야…결단 필요” 랭크뉴스 2025.05.05
48580 국민의힘 의원총회…단일화 압박에 김문수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5.05
48579 ‘경선 1위’ 김문수에게 “내려놓을 용기, 먼저 희생”…권영세의 압박 랭크뉴스 2025.05.05
48578 한덕수∙손학규 110분 회동…"개헌해 위기 극복" "단일화 잘해야" 랭크뉴스 2025.05.05
48577 홍준표 ‘미국행’·한동훈 ‘침묵’·안철수 ‘사과 요구’…경선 3인방 ‘원팀’에 미지근 랭크뉴스 2025.05.05
48576 [속보]‘장애인 탈시설 요구’ 고공농성 전장연 활동가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5.05
48575 이스라엘 내각, 가자작전 확대 승인…"영토 점령 포함"(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574 김문수-국힘 지도부, 경선 이틀 만에 단일화·당무 주도권 ‘정면 충돌’ 랭크뉴스 2025.05.05
48573 민주당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12일 전 결정을”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