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대선 비하인드 본격적인 6.3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습니다. 유튜브와 SNS에서는 대선과 관련된 불확실한 정보가 넘쳐납니다. 한정된 지면에서는 대선의 모든 것을 담아내기 어렵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대선 비하인드(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90)' 시리즈입니다.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들이 기사로는 모두 담을 수 없었던 비화와 생생한 뒷이야기, 제대로 된 정보를 한 발 앞서 전해드립니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는 중앙일보의 역량을 모아 마련한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입니다. 기사 전문은 더중플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 한 총리의 결심이 섰다. "
지난달 25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를 돕는 핵심 인사가 구(舊) 여권 고위 인사들에게 전화를 돌리기 시작했다. 한 전 총리가 마침내 대선 출마의 뜻을 굳혔다는 내용을 전했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한 전 총리가 추경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에게서 “권한대행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일과 할 일을 잘 구별하시길 바란다”며 질책을 들었던 다음 날이다. 당시 국회에 도착해서야 우 의장이 뭔가 발언할 계획이란 소식을 접했던 한 전 총리는 “말씀을 하시려면, 하시라고 해”라고 했다.

한 전 총리는 국회를 다녀온 다음 날 경기고·서울대 5년 선배인 정대철 헌정회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 형님, 얼굴 좀 봅시다. "
불과 열흘 전만 해도 정 회장에게 “저 정치 못 합니다”라고 손사래를 쳤던 한 전 총리가 ‘정치인 한덕수’로 각성한 순간이다.

지난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의 반발에 가로 막히자 "저도 호남 사람"이라며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14일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지난 2일 대선 출마 선언까지 140여일, ‘돌다리가 부서질 때까지 두들기는 (신중한)관료 출신’이라던 한 전 총리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누가 한 전 총리를 설득했고, 무엇이 한 전 총리를 대선판으로 이끌게 한 것일까.

" 포유류에게 파충류를 하라는 말과 똑같다. "
총리실 참모들에게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 가능성을 물으면 한동안 이런 답이 돌아왔었다. 특히 관료 출신 직업 공무원(늘공)들은 “한 총리 정치 절대 안 한다. ‘안 한다는 말’도 들었다”고 확신에 찬 듯 말했다. 지난해 12월 11일 12·3 계엄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꼿꼿 김문수’라는 별명을 얻었던 그 날, 한 전 총리는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사과 요구에 김 후보와 달리 네 번 고개를 숙여 “사죄한다”고 했다. 관료 한덕수의 모습이었다

지난해 12월 11일 비상 계엄 관련 국회 현안질의 당시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이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요구에 의해 다같이 국민께 사과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나흘 뒤 윤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권한대행을 맡았을 때는 더 명확한 의사를 드러냈다. 한 전 총리는 대국민담화에서 “안정된 국정운영이 마지막 소임”이라고 말했다. 모든 여지를 배제할 필요는 없다며, 일부 참모들이 ‘마지막 소임’이라는 문구를 넣는 걸 반대했지만, 한 전 총리가 밀어붙였다고 한다. 당시 한 전 총리에게 법적 조언을 건넸던 한 법조인은 “한 전 총리에게 윤 전 대통령은 100% 파면된다. 공정한 대선 관리에만 집중하시라. 그래야 다치지 않는다’는 말을 전했다”며 “한 전 총리는 지쳐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권한대행을 맡은 뒤 한 전 총리의 생각은 아주 조금씩 대선으로 나아갔다.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을 보좌하던 입장에서, 자신이 최종 책임을 지는 자리에 서니 과거와 다른 모습이 나오기 시작했다. 76세, 마지막 공직이란 마음이 한 전 총리를 더 자유롭게, 오히려 더 정파적으로 만들었다.

※기사 전문은 다음 링크에서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우원식이 한덕수 때린 다음날…“결심 섰다” 참모 전화 돌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522

더중앙플러스 대선주자 탐구 시리즈
"한덕수, 이재명 때문에 베네수엘라화 되는 것에 분노"[한덕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60

“박근혜 '정권 유지' 강한 의지…한덕수 밀어줄수도”[한덕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4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74 ‘이재명 사건’ 혹 떼려다 혹 붙인 대법원···높아지는 “선거개입 의심” 비판 랭크뉴스 2025.05.05
48273 [비즈톡톡] 유통가 계엄 최대 피해자는 CJ올리브영? 연말 세일 행사 타격에 성장세 ‘제동’ 랭크뉴스 2025.05.05
48272 오픈채팅방서 성매매 여성 뜻하는 은어로 다른 회원 지칭한 60대 벌금형 랭크뉴스 2025.05.05
48271 [속보]충남 태안 해역서 규모 3.7 지진···“6건 신고 접수” 랭크뉴스 2025.05.05
48270 [속보]충남 태안 해역서 규모 3.7 지진···“올해 지진 중 가장 강해” 랭크뉴스 2025.05.05
48269 [이하경 칼럼] 누구도 자기의 사건에서 재판관이 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5.05
48268 [속보] 충남 태안 북서쪽 인근 바다서 규모 3.7 지진 랭크뉴스 2025.05.05
48267 공격헬기 무용론 현실화?…美육군, 상비사단에 ‘드론’ 1000대씩 보급[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05
48266 민주당 "김구·조봉암·장준하·노무현을 잃듯 이재명 잃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265 트럼프, 대중관세 선제인하 일축…“언젠가는 낮춰” 랭크뉴스 2025.05.05
48264 [속보] 충남 태안군 먼 해역에서 규모 3.7 지진 랭크뉴스 2025.05.05
48263 석탄일에 월정사 석탑 만나볼까…대한항공 조중훈 공덕비 있는 까닭 랭크뉴스 2025.05.05
48262 [속보] 7시53분 충남 태안군 북서쪽 52㎞해역서 규모 3.7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5.05.05
48261 어린이날, 전국 흐리고 가끔 비… 일교차 15도 안팎 주의 랭크뉴스 2025.05.05
48260 “덤터기 안쓰면 다행” 추가금 붙을수록 한숨만···정부도 못막는 ‘스드메 전쟁’ 랭크뉴스 2025.05.05
48259 ‘4세 고시, 7세 고시’에 멍드는 아이들···한 해 27만명 정신과 진료 받는다 랭크뉴스 2025.05.05
48258 외연확장 전략 된서리 맞을라…이재명, ‘대법관 탄핵’ 속도조절 주문 랭크뉴스 2025.05.05
48257 [격변의 방산]④ 데이터 분석해 전략 수립… 전장 판도 바꾼 AI 랭크뉴스 2025.05.05
48256 충주 화재 2명 사망‥만취 뺑소니 60대 검거 랭크뉴스 2025.05.05
48255 "텔레그램에 사진 유포"…'N번방 방지법' 5년, 미성년자 성착취 여전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