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준성 트루 사무총장이 지난 1일 경기 고양시 소재 트루 사무실에서 햄스터 인영을 들고 서 있다. 트루는 시민, 기업에서 기부받은 폐장난감을 수리해 장난감으로 되팔거나 플라스틱으로 재활용하는 공익단체다. 김성진 기자

지난 1일 경기 고양시 소재 사단법인 트루(Toy Recycling Union·장난감 재활용 조합)의 500여 평에 달하는 부지 이곳저곳엔 포장도 뜯지 않은 장난감 박스가 산처럼 쌓여 있었다. 멀쩡한 블록과 공룡 로봇, 비눗방울 놀이도구, 햄스터 인형 등이 포대 자루 등에 넘칠 듯 담겨 있었다. 개수로는 수만개, 무게로는 약 5t에 달했다. 매년 5월 5일 어린이날이 지나면 이곳으로 유입되는 폐장난감의 양은 더 늘어난다고 한다.

트루는 폐장난감을 시민, 장난감 제조사들에 기부받아 플라스틱으로 재활용하거나, 수리해 장난감으로 되파는 비영리단체다. 지난해 재활용 또는 되판 장난감의 무게는 75t이었다. 장난감들을 소각했을 때보다 약 262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한 효과를 냈다. 축구장 6~7개 면적의 산림을 조성한 것과 비슷한 효과다.

지난 1일 경기 고양시 소재 사단법인 트루 부지에 레고 블록이 쌓여 있다. 시민들에게 기부받은 것들이다. 김성진 기자



재활용률 1%도 안 돼
국내에서 장난감 재활용은 트루와 같은 전국의 비영리 단체들이 주도적으로 맡고 있다. 가정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수거, 처리하는 폐기물 업체들이 재활용하기에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장난감은 재활용하기에는 분해에 드는 비용이 수익보다 크다. 플라스틱 몸체에 모터와 스피커, 쇠, 봉제 등 다양한 소재가 일정하지 않게 결합돼 있어 분해가 어렵기 때문이다. 레이싱 카의 경우 플라스틱 몸체를 내부 부속품과 떼어내는 데에만 길게는 30분이 걸린다고 한다. 박준성 트루 사무총장은 “해당 작업으로 플라스틱 3㎏을 얻어내도 120원가량밖에 받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인 폐기물 처리업체들은 인력 여건상 장난감 재활용을 하지 못한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들은 장난감을 분해한 후 버려달라고 가정집들에 안내한다. 하지만 가정집 대다수는 작업의 복잡성 때문에 장난감을 단순한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실정이다. 이 경우 장난감은 소각 또는 매립된다.
지난 1일 경기 고양시 소재 사단법인 트루에 폐장난감들이 판매되는 모습. 아예 새 것이거나 고장난 것을 수리한 장난감들이다. 정가의 10~30%에 판매된다. 김성진 기자

장난감들은 다른 제품들보다 비교적 고품질의 플라스틱, 철 등을 사용한다. 발암물질, 환경호르몬의 배출량을 대폭 낮추는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폐기되더라도 또 다른 장난감, 플라스틱 제품으로 활용 가능성이 크지만 분해의 어려움 때문에 폐기되는 것이다. 한국완구협회 관계자는 “한해 버려지는 장난감 5만여t 중 재활용되는 비중이 1%가 안 된다”며 “요즘에는 장난감을 물려주는 문화도 없다 보니 폐기량이 더욱 늘어나 문제”라고 지적했다.



“장난감 기업들, 재활용 더 적극 나서야”
트루가 장난감을 재활용할 수 있는 건 자원봉사자들과 장난감 학교 ‘쓸모’ 프로그램 덕분이다. 쓸모는 어린이, 특수학급 학생 등과 장난감을 분해해 나온 플라스틱으로 장난감, 예술품 등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약 40만 명이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사단법인 트루는 매달 장난감 학교 '쓸모'를 열고 있다. 아이, 시민들이 폐장난감을 직접 분해하고 예술 작품을 창조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진 트루

이렇게 트루가 재활용한 장난감의 양은 2023년 51t에서 지난해 75t으로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 하지만 이는 시민들의 기부량이 늘어나는 영향으로, 기업들의 기부 건수는 ▶2022년 25회 ▶2023년 18회 ▶지난해 16회로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오랜 불경기로 장난감 제조사들이 사업 자체를 축소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환경보호를 향한 제조사들의 무관심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는 플라스틱, 종이팩, 유리병, 캔 등 환경 파괴 물질을 제조한 기업에 일종의 재활용 분담금을 부과하는 생산자책임제 활용제도(EPR)를 운영하지만 장난감 제조사는 적용에서 제외된다.

박 사무총장은 “국내 대형 장난감 제조사들에 악성 재고만이라도 기부해달라 요청했으나 기술유출 등의 우려로 거부당했다”며 “그들의 우려를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 썩는 데 500년가량 걸리는 장난감이 아이들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비극을 막으려면 제조사들이 재활용에 지금보다 전환적으로 나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성 사단법인 트루 사무총장이 플라스틱 판자 '널'을 들고 서 있다. 트루는 기부받은 폐장난감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해 가루를 낸 후, 고온으로 압착해 플라스틱 판자 널을 만들어낸다. 널은 가구, 인테리어 소재 등으로 쓰인다. 박 총장이 들어 올린 널에는 우연히 레고 사람 장난감 하나가 형체를 유지한 채 압착돼 있다. 김성진 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74 [단독] 새 교황 '첫 옷' 만든 재단사 "누가 될지 몰라 여러 사이즈 준비" 랭크뉴스 2025.05.08
49773 金 "오후 4시 30분 국회서 보자"…韓 "언제 어디든 가겠다" 랭크뉴스 2025.05.08
49772 [속보] 권영세 "12일 이후 단일화, 이뤄질 수 없어…대단히 유감" 랭크뉴스 2025.05.08
49771 중도층 10명 중 6명 꼴로 李 지지… 韓 15%, 金 4% 압도[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8
49770 [단독] 협약식 때문에? 청문회 불참한 최태원… 국회 “궁색한 변명” 랭크뉴스 2025.05.08
49769 김문수 “교회 조직이 한국 자유주의 지탱, 광장 세력과 손 잡을 필요” 랭크뉴스 2025.05.08
49768 “미안해, 그만해줘” 비는데도 뺨 7대 때린 여중생 입건 랭크뉴스 2025.05.08
49767 모스크바 안 가고 미사일 쐈다…러 전승절, 김정은식 존재감 랭크뉴스 2025.05.08
49766 차기 대통령 적합도…이재명 43%·한덕수 23%·김문수 12% [NBS] 랭크뉴스 2025.05.08
49765 김문수 “지도부 단일화 손떼라”…국민의힘 지도부 “이틀안에 단일화해야” 랭크뉴스 2025.05.08
49764 [단독]호흡곤란 60대 여성, 상급병원 5곳서 전원 거부···이틀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5.05.08
49763 “김건희 징계하고 학위취소”…숙대 동문회·재학생 요구 랭크뉴스 2025.05.08
49762 김문수 "영혼 바꾼다면 이재명과… 도저히 이해가 안 돼서" 랭크뉴스 2025.05.08
49761 서울 등 22개 지역 버스노조 동시조정…결렬땐 28일 동시파업 랭크뉴스 2025.05.08
49760 한덕수·김문수 붙여도 李 10%p 이상 앞서… 여론조사 결과 랭크뉴스 2025.05.08
49759 [속보]서울 등 22개 지역 버스노조 “교섭결렬시 28일 파업” 랭크뉴스 2025.05.08
49758 김문수-국힘 ‘당무우선권’ 충돌…법원이 대선후보 결정할 수도 랭크뉴스 2025.05.08
49757 김문수 "한덕수, 꽃가마 태우면 입당하겠다는 것…정체가 뭔가"(종합) 랭크뉴스 2025.05.08
49756 이재명 "정년연장·주4.5일제 갑자기 안해…대화하고 준비" 랭크뉴스 2025.05.08
49755 민주당 "'광주사태' 발언 한덕수 허위사실공표·명예훼손 혐의 고발" 랭크뉴스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