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흰 연기’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소방관들이 지난 2일(현지시간) 다음 교황을 뽑기 위한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 꼭대기에 굴뚝을 설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시스티나 성당 막바지 준비

추기경들, 합숙하며 매일 투표

교황 선출 땐 ‘흰 연기’로 신호


9차례 총회마다 20여명 연설

종교적 정견·교회 정책 다뤄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나흘 앞둔 3일(현지시간) 교황청이 막바지 준비에 진력하고 있다. 물밑에선 차기 교황을 두고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는 중이다.

이날 교황청은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난로와 굴뚝을 설치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콘클라베의 논의 결과를 성당 밖으로 알리는 유일한 신호 수단인 난로와 굴뚝에 오는 7일부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추기경단은 추기경 133명의 투표용지를 난로에서 태워 교황이 선출되면 흰 연기를, 선출되지 않았으면 검은 연기를 굴뚝으로 피워 올린다.

콘클라베 동안 추기경들이 머물 산타 마르타의 집 시설 공사는 5일 끝날 예정이다. 추기경들은 콘클라베 시작 하루 전날인 6일 저녁부터 이곳에서 합숙 생활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차기 교황 선출의 결론이 날 때까지 머물며 하루 4차례 투표를 반복한다. 외부 접촉은 일절 차단된다.

산타 마르타의 집은 과거 콘클라베에서도 추기경들이 머문 곳이지만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전임 교황이 머물던 곳’이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 전용 숙소를 거부하고 이곳에 있는 방 두 칸짜리 공간에서 머물러왔다.

후보군에 해당하는 추기경들의 선거전도 달아오르고 있다. 이미 9차례 추기경 총회가 열릴 때마다 20~30명의 추기경이 ‘교회와 세상에 대한 대화’를 명목으로 연설을 했다. 3일 열린 9차 총회에서도 26건의 연설이 있었다고 교황청 매체 바티칸뉴스는 전했다. 총 177명의 추기경이 참석했으며, 이 중 선거권자는 127명이었다.

추기경들이 제시한 담론은 주로 앞으로 가톨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것이었다. 사실상 차기 교황 후보군의 정견을 발표하는 자리로 해석된다. 연설에서 다뤄진 주제 중 하나는 ‘교황 프란치스코에게 감사하며, 그가 시작한 절차를 이어갈 필요성’이었으며 ‘교회가 다락방에 갇히지 않고 희망이 필요한 세상에 빛을 가져다줘야 한다’는 연설도 있었다. ‘평화 증진을 위해 교회와 교황이 해야 하는 봉사’를 언급한 이도 있었으며 ‘교회 간의 협력과 연대’에 방점을 찍은 이도 있었다.

더 구체적이고 정책적인 대화도 오갔다. 지난 2일 열린 8차 총회에서는 25건의 연설이 있었는데 ‘성적 학대 및 재정 스캔들 등의 위험성’도 주제로 다뤄졌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중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이다. ‘동방 교회의 고통과 그들의 증언’도 언급됐다. 중동, 북아프리카, 동유럽 등에서 전쟁이나 박해, 강제 이주 등으로 고통받는 기독교인들의 문제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견해로 이 역시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 관심을 기울여온 주제다.

이외에도 ‘교회 내부 양극화와 사회 분열로 인한 상처’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주교단의 책임’ ‘젊은 세대에 복음을 전해야 할 필요성’ ‘교회법의 중요성’ 등이 앞선 총회에서 추기경 연설 주제로 다뤄졌다.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이뤄졌던 가톨릭의 변화를 추기경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따라 콘클라베 결과도 판가름 날 것으로 관측된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동성애, 여성 사제 서품 등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기간 논란이 됐던 주제들이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공식 애도 기간인 노벤디알리는 4일 끝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49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즉시 시작…국가안보 위협” 랭크뉴스 2025.05.05
48348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347 죽은 빵도 되살린다더니…발뮤다, 한국에서 더는 안 먹히는 이유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5.05
48346 조갑제 “한덕수·김문수 단일화 효과 없을 것…국힘 참패 예상” 랭크뉴스 2025.05.05
48345 어린이날 완도 리조트서 가스 누출…아동 5명 등 14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5.05
48344 홍준표 "인생 3막 구상 위해 미국행" 랭크뉴스 2025.05.05
48343 올해 곡성 어린이날 선물은 ‘65년만의 소아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5
48342 불교, 서울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를 만들다[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41 단일화 온도차? 한덕수 "오늘 만나자" 김문수 측 "덕담 나눴다" 랭크뉴스 2025.05.05
48340 한덕수 “오늘 편할 때 보자” 김문수 쪽 “미정”…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339 “아아 부처님, 저는 오늘도 무소유하러 가서 풀소유하고 말았습니다”[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38 SK텔레콤 “유심 교체 100만명…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중단” 랭크뉴스 2025.05.05
48337 제니도 감탄한 스님 "불교가 힙해도 되냐고? 부처도 죽이라 가르치는 종교"[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36 작은 언덕에 페인트칠…"정말이지 후지다" 난리 난 中짝퉁 후지산 랭크뉴스 2025.05.05
48335 김장하 만난 문형배 “탄핵 선고 오래 걸린 건, 조금 늦더라도…” 랭크뉴스 2025.05.05
48334 이재명 “아동수당 18살 미만까지 확대…돌봄아동 등 지원 모색” 랭크뉴스 2025.05.05
48333 트럼프 "中포함 국가들과 협상"…안보보좌관엔 "밀러 유력 고려"(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332 한덕수 “오늘 편할 때 보자”…김문수 쪽 “일정 아직 안 정해져” 랭크뉴스 2025.05.05
48331 한덕수 “오늘 편할 때 보자”…김문수 쪽 “일정은 아직 안 정해져” 랭크뉴스 2025.05.05
48330 한덕수, 김문수에 “오늘 중 만나자” 김문수 측 “덕담 외 없었다” 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