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1월 14일 워싱턴 디시(D.C.) 캐피톨 힐에서 열린 연방 상속세 관련 상원 재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버크셔 해서웨이의 회장이자 CEO인 워런 버핏이 증언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올해 버크셔 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 자리에서 물러난다고 공식 발표했다. 1930년 8월 30일생인 그는 현재 94살이다. 버핏은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도 공개 비판했다.
버핏은 3일(현지시각)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 그러면서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아벨 버크셔 비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은퇴해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면서 이는 아벨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버핏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도 공개 비판했다. 그는 “무역은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세계와 무역을 추구해야 하며, 각국이 잘하는 것을 맡아 상호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해 수천 명의 청중으로부터 박수를 받았다. 그는 최근까지 무역 문제에 대해 공개 발언을 자제해 왔다.
정부효율부(DOGE)가 하는 일이 미국 경제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는 질문에는 “관료주의는 놀랄 만큼 널리 퍼져있고 전염성이 강하다”고 답했다. 정부의 재정 적자에 대해서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재정 적자 축소 조치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아니지만,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의회는 그 일을 안 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날 버크셔 해서웨이는 전년 대비 분기 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관세가 자사 사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