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향세던 출생률·혼인건수 반등했지만
"출산 이후 해결책 찾지 못해···지원 필요"
사진은 해당 기사와 무관. 툴 제공=플라멜(AI 생성)

[서울경제]

내리막길을 걷던 혼인·출산 건수가 최근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해 혼인신고 한 부부들을 심층 조사한 결과 출산 이후 일과 생활의 균형 지원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공개한 ‘혼인·출산 관련 인식 심층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신고를 마친 부부들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결과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을 하는 ‘일 중심 모델’은 출산 이후의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는 지난해 출생아 수와 출생률·혼인건수 반등을 두고 청년층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됐다. 2015년 이후 이들 지표는 지속해서 감소해 왔다. 2015년 43만 8420명이던 출생아 수는 2023년 23만 28명까지 줄어 반토막 났고, 합계출산율도 1.23명에서 0.72명으로 감소했다. 출생률의 선행 지표가 되는 혼인건수도 같은 기간 30만 2800건에서 19만 3700건으로 36% 줄었다.

그런데 2023년부터 혼인건수가 상승하더니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상승했다. 출생아 수도 23만 8300여 명으로 8000명 넘게 늘었다. 올 2월 출생아 수는 2만 35명으로 전년 대비 3.2% 늘고, 혼인 건수(1만 9370건)도 14.3% 느는 등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증가세는 유지되고 있다.

연구를 수행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해 혼인신고 한 남성 12명과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FGI)를 진행했다. 면접 질문에는 결혼에 대한 생각과 결혼 과정에서의 어려움, 이상적인 가족 모델·자녀 계획 등이 포함됐다.

표본에는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을 하고 경력을 추구하거나 경제력을 중심으로 출산 계획을 마련하는 ‘일 중심 모델’이 15명으로, 양육을 중심으로 부부가 역할 분담을 하는 ‘가족 중심 모델’(13명)보다 많았다. 가족 중심 모델에서도 맞벌이를 선호하나 남성의 커리어가 우선인 ‘신전통적 모델’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일 중심 모델의 경우 출산을 유보한 경우가 절반으로 조사됐다. 출산을 유보한 이유로는 여성의 임신과 출산이 경력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생각이 작용했다. 남편이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직장에서 근무할수록 출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일 중심 모델은 출산 이후의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상당했으며 이로 인해 출산 의사가 낮게 나타나는 비율이 높다”면서 “향후 출산율 안정화를 위해서는 일 중심 모델 유형의 출산 의향을 실현할 수 있는 제도 강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일·생활 균형 지원 정책은 근무하는 직장 규모와 일자리 형태별로 편차가 컸다. 연구원은 "대기업 등에서는 여러 가지 제도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중소기업이나 경쟁압력이 높은 노동시장에서는 활용도가 낮아 사적 대안을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제도활용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12 민주당 “가용수단 총동원·탄핵은 보류”…국민의힘 “집단 광기” 랭크뉴스 2025.05.05
48211 SKT “유심 교체 95만명 완료”…오늘부터 신규가입 중단 랭크뉴스 2025.05.05
48210 이륙하자마자 '아찔'…승객 176명 태운 에어부산 항공기 결국 회항 랭크뉴스 2025.05.05
48209 美민주, 유엔대사 지명된 왈츠에 "혹독한 인준 청문회" 예고 랭크뉴스 2025.05.05
48208 한센인마을 찾은 김문수 “행정이 할 일은 단속 아니라 보살핌” 랭크뉴스 2025.05.05
48207 美법원 "머스크 '오픈AI, 비영리 약속 어겨' 제기한 재판 진행" 랭크뉴스 2025.05.05
48206 떠나는 ‘가치투자 전설’…“주식할 때 겁먹지 말고 흥분도 하지 마세요” 랭크뉴스 2025.05.05
48205 "교황 되면 도망칠 것"…콘클라베 앞두고 포기 선언한 추기경 랭크뉴스 2025.05.05
48204 한덕수 측 "중요한 건 시간…단일화 협상 룰은 국힘에 일임" 랭크뉴스 2025.05.05
48203 트럼프, 對中관세 선제인하 일축하면서도 "어느 시점엔 낮출 것"(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202 멕시코 '미군 투입해 마약갱단 퇴치' 트럼프 제안 거부 랭크뉴스 2025.05.05
48201 새엄마 “유치원 데려다줬다 착각”…차량에 ‘10시간’ 방치된 3살 아이 숨져 랭크뉴스 2025.05.05
48200 '자산 236조원' 버핏의 은퇴 선언…후계자 지목된 이 남자 누구 랭크뉴스 2025.05.05
48199 캐나다 이어 호주도... 밀리던 여당 '안티 트럼프'로 역전 승리 랭크뉴스 2025.05.05
48198 아세안+3 "보호무역주의 심화 부담…자유무역체제 전폭 지지" 랭크뉴스 2025.05.05
48197 “접착제 흡입해 환청”…집주인 둔기 살해 40대 세입자 구속 랭크뉴스 2025.05.05
48196 중국, '구급 드론' 세계 첫 개발…"부상자 35㎞ 이송 훈련 성공" 랭크뉴스 2025.05.05
48195 트럼프, 물가·경기침체 우려에 “과도기…최고 경제 해낼 것” 랭크뉴스 2025.05.05
48194 한국선 ‘무소용’ 구글지도…‘고정밀 지도’ 탓? 랭크뉴스 2025.05.05
48193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 한 적 없다”…강정인 교수 별세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