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챗GPT로 만든 지브리풍 이미지

[서울경제]

지브리풍 그림 열풍이 예사롭지 않다. 주변 메신저 프로필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 모두 지브리 이미지로 바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인데 이를 활용하는 방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서베이' 최신호에 실은 생성형 AI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생성형 AI 국내 사용자의 59.5%는 생성형 AI를 이용해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변환 기능을 이용한 이들 중 절반이 넘는 52.4%는 해당 이미지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혹은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30.9%는 변환 후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 보면 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사용한 이들의 비율은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면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하는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0.7%로 가장 낮았다. 다만 이는 생성형 AI의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한 이들로 모집단을 한정해 분석한 결과다. 생성형 AI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각 연령대 전체를 모집단으로 가정하고 생성형 AI가 변환한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쓴 이들의 비율을 계산해보면 20대가 1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16.3%, 40대 10.7%, 50대 6.5%, 60대 3.4%였다.

최근 1개월 이내에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57.2%였고 이 가운데 생성형 AI를 처음 쓴 시기가 최근 한 달 이내인 이들은 37.0%였다. 언론진흥재단은 "1달 이내 생성형 AI 이용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최근 이슈가 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풀이했다.

생성형 AI 사용자에게 용도(복수응답)를 물었더니 정보 검색이 81%, 글쓰기 및 다듬기가 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이 51.0%, 외국어 번역 42.1%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글을 쓰거나 다듬기 위해 AI를 사용한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을 연령별로 분석했더니 20대가 68.3%로 가장 높았고, 30대 60.0%, 40대 48.3%, 50대 37.6%, 60대 29.3%의 분포를 보였다. 글쓰기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비율이 저연령층에서 높은 것에 대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부담감 증가 또는 문해력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언론진흥재단은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1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39 윤석열, 반려견과 한강공원 산책 목격담…“내란수괴 팔자도 좋다” 랭크뉴스 2025.05.05
48438 1분기 건설생산 27년만 최대 감소…“건설 추경” 목소리도 랭크뉴스 2025.05.05
48437 김문수 쪽 “한덕수, 당비 1천원도 안 내…본선 투표서 그 이름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436 민주당, 대법원장 탄핵 보류?…국민의힘 "아무리 발버둥 쳐도 '유죄명' 변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5.05
48435 국민의힘, 김문수에 ‘신속한 단일화’ 요구 분출…“국민의 명령” 랭크뉴스 2025.05.05
48434 중국인 ‘현금 2억 돈가방’ 들고 튀려다 공항에서 체포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5
48433 이재명 “양평고속도로 신속 재추진…길은 똑바로 가야” 랭크뉴스 2025.05.05
48432 SKT 위약금 면제할까…배임 문제 두고 의견분분 랭크뉴스 2025.05.05
48431 "최종 수익률 550만%"…은퇴 앞둔 버핏에 CEO들 찬사 릴레이 랭크뉴스 2025.05.05
48430 최정 '500홈런' 공 잡으면 대박…SSG, 1700만원 선물 걸었다 랭크뉴스 2025.05.05
48429 단일화 논의 지지부진에 국민의힘 ‘의총 소집’…김문수 측 “당내 쿠데타” 랭크뉴스 2025.05.05
48428 “해외 거주자도 기초연금 수급?” 정부 ‘형평성 논란’ 손본다 랭크뉴스 2025.05.05
48427 민주 "李재판진행 막겠다" 총공세…사법부에 12일 데드라인 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426 中유람선 4척 전복, 10명 사망…SNS선 "수백명 있었다, 축소발표" 랭크뉴스 2025.05.05
48425 이재명 다가오자 "저도 한번"‥'대선 길목'서 첫 조우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05
48424 김문수 측 장동혁, 국민의힘 사무총장직 고사… 이양수 유임 랭크뉴스 2025.05.05
48423 제주 하늘 뒤덮은 기묘한 먹구름 정체는 '파상고층운' 랭크뉴스 2025.05.05
48422 필리핀에서 한국인 납치됐다 사흘 만에 풀려나…"건강 양호" 랭크뉴스 2025.05.05
48421 SKT 신규가입 중단 첫날…"그래서 유심 교체 언제" 소비자 분통 랭크뉴스 2025.05.05
48420 "요란한 소수가 다수 지배하면…" 김장하, 문형배에 던진 질문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