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8일 일본 요코하마 한 항구에서 수출 차량들이 모여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3일(현지시각) 대미 수출용 자동차 부품에 관세를 공식 발효하자 “완성차 관세보다 더 큰 타격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의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 차량에 비미국산 부품을 절반에서 최대 90%까지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4일 “세계 주요 자동차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차량에 수입산 부품을 50% 넘게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완성차 생산 공장의 미국 이전 뿐 아니라 부품 공급망 전체를 재검토해야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이 올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유럽 업체인 독일 베엠베(BMW)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완성 차량의 부품 73%를 미국 밖에서 조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이 비율이 90%까지 치솟았다. 일본에서도 세계 1위 완성차 기업인 도요타자동차(47%)를 비롯해 닛산(59%), 스바루(51%), 마쓰다(45%) 등에서 이 비율이 50% 안팎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선 현대자동차가 60%에 육박하는 비미국산 부품을 쓴 것으로 파악됐다. 다른 나라에서 부품을 공급하는 것은 미국 자동차 기업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차량의 외국산 부품 비율이 60%에 이르렀다. 이번 조사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등록된 551개 차종 가운데 미국 내 생산 차량 169개 모델을 대상으로 했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9일 브리핑에서 “미국에서 최종 조립돼 판매되는 차량은 향후 2년간 외국산 부품 관세를 15% 경감해준다”는 취지의 발표를 한 바 있다. 상무부는 “미국 내 완전한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자동차 업계 요청에 따라 마련된 조처이며, 2년이라는 기간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미국산 부품 비중이 85% 이상이면 관세를 적용받지 않는 것과 같다는 주장이지만, 자동차 업체들의 부품 공급 구조를 보면 현실과 큰 괴리가 있는 셈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미국 정부가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추가 관세를 발동했다”며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해외에서 미국으로 옮기게 하려는 조처인데 일본 부품 제조사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고 풀이했다. 미국 현지에서도 자국 내 생산 차량 가운데 ‘85% 이상 미국산 부품’ 조건을 맞춘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의 부품 관세 대상인 외국 기업들뿐 아니라 미국 내에서도 비슷한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미시간주의 한 자동차 판매원은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관세는 누구도 행복하게 하지 않는다”며 “사람들이 차를 살 수 없게 되고 일자리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완성차에 이어 부품에도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신차 값이 10% 이상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또 일부 외신들은 부품 관세가 완성차 관세보다 자동차 산업에 더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미국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조나단 스모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시엔엔(CNN) 방송에 “솔직히 말해 부품 관세가 완성차 관세보다 전체 경제에 더 나쁜 영향을 끼칠 것 같다”고 말했다. 방송은 “지난해 미국에서 생산된 차량 1천만대 가운데 수입 부품 없이 제작된 차량은 한 대도 없었다 ”며 “부품 관세가 자동차 산업에 수십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결국 부담은 미국 구매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 ”고 짚었다.

도쿄/홍석재 특파원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84 한덕수 측 "단일화 불발? 끔찍한 이야기…데드라인 없으나 빨리해야" 랭크뉴스 2025.05.07
49283 ‘백종원 방송중단’도 소용없다…더본코리아, 신저가 기록 랭크뉴스 2025.05.07
49282 미국과 관세 실무협상 중인 일본…“쌀에 손 대면 정권 무너진다” 랭크뉴스 2025.05.07
49281 [단독] 바디프랜드 오너家 강웅철 이사, 9개월간 법카로 유흥업소서 1억 사용…주인 같은 식당선 2억 결제 랭크뉴스 2025.05.07
49280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재판 대선뒤로 연기…"공정성 논란 없애려"(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279 김문수 ‘페이커 포즈’에 T1 황당… “삭제 위해 노력 중” 랭크뉴스 2025.05.07
49278 [속보] 이재명 측, 대장동·위증교사 재판도 기일변경 신청 랭크뉴스 2025.05.07
49277 백종원, ‘논란’ 잇따르더니 결국 수사 대상…“방송 활동 중단” 랭크뉴스 2025.05.07
49276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다음 달 18일 랭크뉴스 2025.05.07
49275 공수처, ‘해병대원 수사 외압’ 대통령실·국가안보실 압수수색 시도 랭크뉴스 2025.05.07
49274 ‘대통령 당선시 재판 정지’ 법안, 법사위 소위 통과…민주당 주도 랭크뉴스 2025.05.07
49273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6월18일로…재판 공정성 논란 불식” 랭크뉴스 2025.05.07
49272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재판 연기…‘대선 뒤’ 6월 18일로 랭크뉴스 2025.05.07
49271 권성동, 한밤중 김문수의 집까지 찾아갔지만…[포착] 랭크뉴스 2025.05.07
49270 [속보] ‘김건희 여사·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07
49269 ‘대통령 당선시 재판 중지’ 형소법 개정안,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07
49268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공판 대선 후로 연기…"공정성 논란 없애려" 랭크뉴스 2025.05.07
49267 이재명 파기환송심 재판부, 공판기일 6월 18일로 변경 랭크뉴스 2025.05.07
49266 [르포] “매장 찾는 손님 4~5배 늘어”… SK텔레콤 신규 가입 중단에 반사 수혜 입은 KT·LGU+ 랭크뉴스 2025.05.07
49265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재판 연기‥대선 뒤 6월 18일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