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티웨이항공 공정위 기업결합심사 장기화 우려
시간 걸려도 자체 미주노선 확대로 방향 튼 듯
타이어뱅크 측 인수 의지 큰 점도 영향 끼쳐
대명소노 인수 7개월 만에 180억 차익 거둬
[서울경제] 이 기사는 2025년 5월 2일 17:42
자본시장 나침반'시그널(Signal)'
에 표출됐습니다.


서준혁 대명소노그룹 회장


제2 아시아나항공(020560) 자리를 노리던 대명소노그룹이 하이브리드항공사(HSC) 에어프레미아 인수 포기 사유로는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예상보다 길어진 티웨이항공(091810) 기업결합신고 절차와 자체 미주 노선 확대 자신감, 타이어뱅크 측의 강한 인수 의사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티웨이항공 기업결합신고 승인을 받는데 예상 밖으로 시일이 오래 걸리자, 복수 항공사 인수로 관련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기보다는 티웨이항공 인수 후 육성으로 방향을 틀었다.

앞서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인수에 한 차례 제동이 걸렸다. 대명소노는 올 3월31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서준혁 회장을 비롯한 대명소노 측 인사 9명을 이사회에 진출시킬 계획이었다. 계획은 무위로 돌아갔다. 공정위의 기업결합 승인이 나지 않으면서다. 공정위는 심사 과정에서 미흡하다고 판단한 자료를 보완해 달라고 요청했다. 기업결합 심사는 신고일로부터 30일, 최대 90일 안에 결론을 내야 하지만 자료 보완에 들어가는 시간은 심사 기간에 포함되지 않아 승인 지연 관측이 나왔다. 대명소노가 티웨이항공 이사회에 진입하기 위해선 공정위 심사는 늦어도 오는 23일까지 마무리돼야 한다.

자체적으로 미주 노선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대명소노가 에어프레미아 인수에서 손을 뗀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만 해도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친 후 에어프레미아도 추가 인수 합병해 제2 아시아나 자리를 노리는 대형항공사(FSC)를 출범시키려 했다. 티웨이항공은 유럽 중심 노선을 보유 중이고, 에어프레미아는 미주 중심의 노선을 운영해 대한항공(003490)에 이은 장거리 국제선 강자로 발돋움할 수 있다는 복안이었다.

다만 이는 단기적 방안으로, 중장기적으로는 티웨이항공 자체적으로도 미주 노선 확대가 가능하긴 하다. 티웨이항공은 오는 7월부터 캐나다 밴쿠버 노선을 신규 취항하며 미주 노선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다.

타이어뱅크가 에어프레미아 경영권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강한 점도 대명소노가 지분 매각을 결정한 요인으로 꼽힌다. 시장에서는 타이어뱅크의 자금력에 의문을 품으며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인수금액 경쟁에서 뒤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타이어뱅크가 주당 1900원에 대명소노와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22%를 모두 사들이겠다고 나오며 매각을 결정했단 전언이다. 이번 거래로 대명소노는 에어프레미아 지분을 확보한 지 7개월 만에 약 180억 원의 차익을 거뒀다.

다만 변수는 여전하다. 타이어뱅크가 9월 말까지 대명소노 측에 잔금을 치르지 못할 가능성도 일부 제기되면서다. 이 경우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지분이 다시 매물로 나올 수 있다.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무리한 대명소노가 다시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인수에 나설 확률도 배제하기 어렵다. 한편 IB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기준 타이어뱅크가 전국에 소유한 토지 가치만 3834억 원, 이익잉여금은 5364억 원으로 토지 담보대출이나 배당 등 자금 마련 방안은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 뉴스1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81 해외 파견 후 의무복무 안 하고 퇴사‥대법 "비용반환 필요 없어" 랭크뉴스 2025.05.04
48080 김문수 대선 후보 확정에 반색하는 민주당 “내란 동조 세력과의 대결” 랭크뉴스 2025.05.04
48079 폐지 팔아 어린이날 선물 기부한 세 아이 아빠 "과자 못 사 죄송" 랭크뉴스 2025.05.04
48078 1000원어치 과자 먹었다가 법정 선 화물차 기사…벌금 5만원 랭크뉴스 2025.05.04
48077 "1인당 3200만 원씩 줘라"…SKT 해킹 피해, 美 통신사 사례 보니 랭크뉴스 2025.05.04
48076 [단독] 김문수, 단일화 마지노선 7일→11일에 “공감” 랭크뉴스 2025.05.04
48075 “환상의 마이너스 시너지" 국민의힘 경선 결과 반기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04
48074 "하늘에 저게 대체 뭐야?"…서울 하늘 뒤덮은 구름의 섬뜩한 정체 랭크뉴스 2025.05.04
48073 김문수 "정치 위기‥좌우 넘어 노사·동서·남녀·빈부 통합" 랭크뉴스 2025.05.04
48072 한덕수, 단일화 방식 국힘에 위임…이르면 내일 당 추진기구 설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4
48071 시진핑 7~10일 러시아 국빈 방문한다... "푸틴과 전략적 소통" 랭크뉴스 2025.05.04
48070 이재명 초고속 선고에 “민주주의 위협”…황금연휴 대법 앞 울렸다 랭크뉴스 2025.05.04
48069 국회 입법조사처 "'해킹사태' SKT, 위약금 면제 가능"... SK 결단하나 랭크뉴스 2025.05.04
48068 초코파이 때문에…벌금 5만원 선고 받은 화물차 기사 랭크뉴스 2025.05.04
48067 대법, 7만쪽 단 이틀 검토…“열람기록 공개” 시민 요구 거세진다 랭크뉴스 2025.05.04
48066 대법 ‘이재명 상고이유서 생략→7일 만에 선고’ 현실성 있나…“위법 소지” 랭크뉴스 2025.05.04
48065 50대 초반 직장인, 퇴직급여 계획 물었더니…절반 이상 ‘연금 활용’ 랭크뉴스 2025.05.04
48064 마사회 이어 캠코 사장까지 '알박기'…계엄 후 공공기관장 48명 임명 랭크뉴스 2025.05.04
48063 이재명, 전통시장 민생행보…"내란 다시 시작, 못하게 막아야"(종합) 랭크뉴스 2025.05.04
48062 유심보호서비스 2000만명 돌파…내일부터 신규가입 중단하고 ‘유심 교체’ 집중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