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티웨이항공 공정위 기업결합심사 장기화 우려
시간 걸려도 자체 미주노선 확대로 방향 튼 듯
타이어뱅크 측 인수 의지 큰 점도 영향 끼쳐
대명소노 인수 7개월 만에 180억 차익 거둬
[서울경제] 이 기사는 2025년 5월 2일 17:42
자본시장 나침반'시그널(Signal)'
에 표출됐습니다.


서준혁 대명소노그룹 회장


제2 아시아나항공(020560) 자리를 노리던 대명소노그룹이 하이브리드항공사(HSC) 에어프레미아 인수 포기 사유로는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예상보다 길어진 티웨이항공(091810) 기업결합신고 절차와 자체 미주 노선 확대 자신감, 타이어뱅크 측의 강한 인수 의사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티웨이항공 기업결합신고 승인을 받는데 예상 밖으로 시일이 오래 걸리자, 복수 항공사 인수로 관련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기보다는 티웨이항공 인수 후 육성으로 방향을 틀었다.

앞서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인수에 한 차례 제동이 걸렸다. 대명소노는 올 3월31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서준혁 회장을 비롯한 대명소노 측 인사 9명을 이사회에 진출시킬 계획이었다. 계획은 무위로 돌아갔다. 공정위의 기업결합 승인이 나지 않으면서다. 공정위는 심사 과정에서 미흡하다고 판단한 자료를 보완해 달라고 요청했다. 기업결합 심사는 신고일로부터 30일, 최대 90일 안에 결론을 내야 하지만 자료 보완에 들어가는 시간은 심사 기간에 포함되지 않아 승인 지연 관측이 나왔다. 대명소노가 티웨이항공 이사회에 진입하기 위해선 공정위 심사는 늦어도 오는 23일까지 마무리돼야 한다.

자체적으로 미주 노선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대명소노가 에어프레미아 인수에서 손을 뗀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만 해도 대명소노는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친 후 에어프레미아도 추가 인수 합병해 제2 아시아나 자리를 노리는 대형항공사(FSC)를 출범시키려 했다. 티웨이항공은 유럽 중심 노선을 보유 중이고, 에어프레미아는 미주 중심의 노선을 운영해 대한항공(003490)에 이은 장거리 국제선 강자로 발돋움할 수 있다는 복안이었다.

다만 이는 단기적 방안으로, 중장기적으로는 티웨이항공 자체적으로도 미주 노선 확대가 가능하긴 하다. 티웨이항공은 오는 7월부터 캐나다 밴쿠버 노선을 신규 취항하며 미주 노선을 추가로 확대할 수 있다.

타이어뱅크가 에어프레미아 경영권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강한 점도 대명소노가 지분 매각을 결정한 요인으로 꼽힌다. 시장에서는 타이어뱅크의 자금력에 의문을 품으며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인수금액 경쟁에서 뒤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타이어뱅크가 주당 1900원에 대명소노와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22%를 모두 사들이겠다고 나오며 매각을 결정했단 전언이다. 이번 거래로 대명소노는 에어프레미아 지분을 확보한 지 7개월 만에 약 180억 원의 차익을 거뒀다.

다만 변수는 여전하다. 타이어뱅크가 9월 말까지 대명소노 측에 잔금을 치르지 못할 가능성도 일부 제기되면서다. 이 경우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지분이 다시 매물로 나올 수 있다. 티웨이항공 인수를 마무리한 대명소노가 다시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인수에 나설 확률도 배제하기 어렵다. 한편 IB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기준 타이어뱅크가 전국에 소유한 토지 가치만 3834억 원, 이익잉여금은 5364억 원으로 토지 담보대출이나 배당 등 자금 마련 방안은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 뉴스1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22 "中, 첨단 전투기 연구개발에 AI모델 딥시크 활용 시작" 랭크뉴스 2025.05.04
48021 1000원어치 과자 꺼내 먹고, ‘벌금 5만원’ 받은 화물차 기사 랭크뉴스 2025.05.04
48020 국힘, 이르면 내일 '단일화 추진 기구' 설치…김문수 직접 지시(종합) 랭크뉴스 2025.05.04
48019 "이정도면 대선출마"…'충주맨'이 프리 선언한 그 백신 운명은? 랭크뉴스 2025.05.04
48018 김문수 ‘선대위원장 합류’ 요청에 한동훈 “생각할 시간 달라” 랭크뉴스 2025.05.04
48017 지난해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 25억6000만원… 28% 증가 랭크뉴스 2025.05.04
48016 국민의힘, 민주당 내 조희대 탄핵 주장에 "집단광기·흉기난동" 랭크뉴스 2025.05.04
48015 김문수, 민주당 ‘조희대 탄핵’ 움직임에 “김정은도 이런 일 없었다” 랭크뉴스 2025.05.04
48014 한지민 '쌍둥이 언니' 정은혜, 5월의 신부 됐다…1년 열애 끝 결혼 랭크뉴스 2025.05.04
48013 연휴에도 서초동 모인 이재명 지지자들 “선거 개입 멈춰라”···대법원장 고발도 랭크뉴스 2025.05.04
48012 정유업계 차세대 먹거리도 중국에 뺏길 판…SAF 저가 공세 ‘비상’ 랭크뉴스 2025.05.04
48011 아버지와 경찰서 찾은 30대 "전 여친과 그의 남친 살해했다" 랭크뉴스 2025.05.04
48010 친트럼프? 반트럼프?…갈라진 美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04
48009 줄어들던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액 지난해 30%↑ 랭크뉴스 2025.05.04
48008 경북 찾은 이재명 "내가 뭘 그리 잘못했나…가짜뉴스 때문" 랭크뉴스 2025.05.04
48007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 다시 증가…“지난해 30% 가까이 늘어” 랭크뉴스 2025.05.04
48006 오피스텔서 전 여자친구 커플 살해한 30대 자수 랭크뉴스 2025.05.04
48005 '1.5억으로 10억 집 사세요'…지분형 모기지 하반기 나온다 랭크뉴스 2025.05.04
48004 국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기구 추진…“출범은 최대한 빨리” 랭크뉴스 2025.05.04
48003 이준석 “국민의힘 사과 다급해서 하는 행동… 큰 의미 없어”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