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비자물가 넉달 연속 2%대 상승률에 '살림 팍팍'
고물가 속 잇단 포장주문 서비스 유료화에 아우성
편의점 '1천원 먹거리' 사라져…"식비 20% 늘어"


서울 종로구 식당가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지난달 13일 서울 종로구 식당가. 2025.5.4


(서울=연합뉴스) 오인균 인턴기자 = "올린 건 내려가지는 않더라. 월급이 오르는 것도 아니고…."(네이버 이용자 'qudc****')

"참치캔 사러 갔다가 깜놀…."('merh****')

"삼각김밥 700원일 때가 그립네요."('9012****')

월급 빼고 다 오르는 고물가 시대에 특히 먹거리 가격 상승세로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배달 앱의 포장 주문 서비스마저 잇달아 유료화되고, 간편하게 배를 채울 수 있는 편의점에서 1천원으로 살 수 있는 물품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 2일 통계청에 따르면 1∼4월 소비자물가는 넉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4월 가공식품 물가는 4.1% 올랐고, 외식물가도 3.2% 오르며 작년 3월(3.4%) 이후 13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서울의 식당가
[연합뉴스 자료사진]


배달 앱의 포장 주문 서비스는 배달비나 플랫폼 수수료가 붙지 않아 보통 가격이 저렴하거나 음료 서비스 등 추가 혜택이 따라오곤 했다.

그러나 배달 플랫폼 주요 3사 가운데 요기요가 점주에게 포장 수수료 7.7% 받는 것을 시작으로, 배달의민족이 지난달 14일부터 점주에게 포장 주문 중개 수수료 6.8%(부가세 별도)를 부과하고 있다. 또 쿠팡이츠는 내년 3월부터 포장 서비스를 유료화할 방침이다.

자연히 외식업주들은 음식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10년째 치킨 가게를 운영하는 이경자(59) 씨는 "배달앱에서 포장 주문 시 할인 혜택과 음료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했다"며 "단골들이 왜 이리 비싸졌냐고 물으면 (배달앱 이용 대신) 직접 가게로 전화해 주문해달라고 당부하고 가격을 깎아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가 뭘 더 챙기려는 게 아닌데, 괜히 가게만 욕먹는다"며 "10년간 장사했지만 요즘처럼 앞이 안 보이긴 처음"이라며 울상을 지었다.

포장 판매 중심으로 샐러드 가게를 운영하는 박모(33) 씨도 "창업한 지 3달 됐는데 포장 위주로 운영하면 수수료도 적게 나가고 비교적 안정적일 거라고 생각했다"면서 "저희는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배달 앱이 없으면 홍보도 안 되는데 이러다가 망하겠다"며 한숨을 쉬었다.

소비자들도 포장 수수료에 대한 불만을 쏟아냈다.

엑스(X·전 트위터) 이용자 'Wil***'는 "이제 '수수깡료=수수료 깡패'로 부르자"고 썼다.

'sf9***'는 "지도 앱에서 중국집 찾아서 일부러 전화로 배달 주문하려고 했더니 배달 플랫폼으로만 주문받는다고 안내했다"면서 "가게는 수수료 나가고 배달앱을 이용하지 못하는 어르신분들은 주문도 못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배민 내 포장 주문 비중은 5%에 불과하다"면서 "연간 300억원 규모의 마케팅 투자를 통해 포장 서비스 활성화를 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장 서비스 1만5천원 이상 주문 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5천원 쿠폰을 지원한 결과 업주 매출이 8% 증가했다고도 설명했다.

하지만 당장 수수료 부담을 느끼는 일부 자영업자들은 배달앱의 포장 서비스를 해지하고 있다. 지난 3일 현재 BHC, BBQ 같은 외식 프랜차이즈의 일부 매장에서도 배달앱을 통해서는 배달 주문만 받고 포장 주문은 받지 않고 있었다.

과자도 음료도 라면도 올라…편의점서 1천원짜리로 살 게 없다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지난달 14일 서울 시내 한 편의점 모습. 2025.5.4.


소비자들은 외식·포장·배달은 고사하고 편의점에서도 1천원으로 살 수 있는 게 사라지고 있다고 토로한다.

편의점에서 오뚜기 진라면과 스낵면 작은컵은 지난달 1일부터 1천원에서 1천100원이 됐고 GS25와 CU의 참치마요 삼각김밥은 지난해 김값 상승 등을 이유로 1천100원으로 인상됐다.

편의점들이 먹거리 물가 급등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를 겨냥해 1천원 이하 자체 브랜드(PB) 제품을 내놓고는 있지만 소비자들의 박탈감을 상쇄하는데는 역부족이다.

고물가에 아르바이트를 추가로 구하고 있다는 대학생 김준수(26) 씨는 "뭘 더 많이 사 먹은 게 아닌데도 최근 식비가 20% 넘게 늘었다"며 "라면·신선식품 가격도 다 올라서 편의점에 가도 1천 원으로 살 수 있는 게 거의 없으니 심리적 마지노선이 무너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한 번 배달하면 기본 2만원은 깨지니까 포장을 애용했는데 이제 수수료가 붙어서 포장 가격도 오르니까 하루 한 끼 사 먹는 것도 망설이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대전에서 아이 둘을 키우는 조모(42) 씨는 "예전엔 1천원이면 간식이라도 하나 사줄 수 있었는데 이제 아이들과 편의점 가기가 무섭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퇴근하면 녹초가 되니 외식하려고 해도 배달 앱 가격을 보고 마음을 고쳐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라며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가 너무 오르니 최대한 집에서 끼니를 해결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물가를 잡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과 함께 건강한 소비 생태계를 위한 협력을 주문했다.

감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4일 "관세·고환율·기후 변화·유가 등 점점 더 복잡한 요인으로 물가가 오른다"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추세에서는 똑같은 비율로 올라도 소비자들에게는 더 크게 체감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물가 상황에서는 설령 소득이 늘어도 내수가 활성화되지 않고 소비자들은 테무 같은 더 값싼 시장을 찾아갈 것"이라면서 "업종마다 산업구조 조정을 통해서 물가를 잡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그런가하면 이홍주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배달·소비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정부·플랫폼·소비자 간의 협력과 조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짚었다.

이 교수는 "모두 상생할 수 있으려면 각자의 기여에 따라 합리적인 보상이 이뤄지는 공정하고 투명한 수익 배분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플랫폼은 이제 단순 민간 기업을 넘어 사회적 인프라로 기능하기 때문에 플랫폼 법이나 디지털 공정거래법 등 제도 개선에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02 김문수 “민주당의 대법원장 탄핵 주장 히틀러보다 더해…반드시 응징할 것” 랭크뉴스 2025.05.04
47901 우크라 매체 "북한군, 우크라 동부 새 공세에 투입될 수도" 랭크뉴스 2025.05.04
47900 김문수 "대법원장 탄핵, 히틀러보다 더해…반드시 응징" 랭크뉴스 2025.05.04
47899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 랭크뉴스 2025.05.04
47898 대법에 가려진 정의…이재명 한정 초스피드 ‘사법 쿠데타’ 랭크뉴스 2025.05.04
47897 “우주에서도 이건 못 참지” 조니 김 ‘태양초 버거’ 레시피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4
47896 이재명 "지역화폐 확대, 채무 탕감"... 계엄 직격탄 맞은 자영업자 살린다 랭크뉴스 2025.05.04
47895 김문수 “민주당 조희대 탄핵 추진, 히틀러보다 더 해… 반드시 응징” 랭크뉴스 2025.05.04
47894 中 종교활동 강력 제동?…교회언론회 ‘위협적 탄압’ 경고 랭크뉴스 2025.05.04
47893 기자 30년→‘막노동’ 3년차…“날 받아주는 곳이 있단 게 행복해요” 랭크뉴스 2025.05.04
47892 안철수 "김문수, 계엄·탄핵에 대해 국민에 사과해 달라" 랭크뉴스 2025.05.04
47891 이재명 “내란 피해 자영업자 임대료·인건비 지원” 공약 랭크뉴스 2025.05.04
47890 “가게 내놔도 안 팔려” 가맹점주의 호소…더본코리아, 특단 대책 내놨다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5.04
47889 “내란으로 직격탄”…이재명, 자영업자 7개 공약 발표 랭크뉴스 2025.05.04
47888 대법원 앞 시민 10만명 “대선개입 말라…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랭크뉴스 2025.05.04
47887 버핏의 후계자 에이블은 누구?…버핏 “나보다 더 성공할 인물” 랭크뉴스 2025.05.04
47886 김문수 “이재명 후안무치…민주당, 히틀러·김정은보다 더해” 랭크뉴스 2025.05.04
47885 이재명,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공약 발표 “지역화폐 발행 규모 확대” 랭크뉴스 2025.05.04
47884 [속보] 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유심 교체 95만여명" 랭크뉴스 2025.05.04
47883 워런 버핏 “올해 말 은퇴” 깜짝 선언… 트럼프 관세전쟁엔 쓴소리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