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주 해안 검붉게 뒤덮은 괭생이모자반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지난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검붉은 색의 괭생이모자반이 검은색 현무암 갯바위 전체를 가득 메웠다. 겹겹이 쌓인 모자반은 갯바위 전체를 휘감아 지독한 비린내를 냈다. 모자반 중간마다 페트병, 각종 어구 등 해양쓰레기가 엉켜있다. 페트병에는 중화권 간체자가 쓰여있다. 물속에도 모자반이 가득해 보였다. 그 사이로 오리가 힘겹게 물갈퀴 질을 하며 먹이활동을 했다.



“역한 비린내 풍기는 괭생이모자반”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사이로 오리 2마리가 힘겹게 물갈퀴질을 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이곳은 함덕해수욕장과 카페·식당 등이 있어 관광객이 주로 다니는 해안도로다. 관광객 김지연(38·서울)씨는 “인근 식당에서 밥을 먹고 나오는 길인데, 비린내에 놀라 바다를 보다 더 놀랐다”며 “보기에도 그렇지만 냄새가 역해 얼른 치워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선박 운항 위협하고, 먹지도 못하는 골칫거리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제주바다 불청객’으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해변을 뒤덮자 제주도가 긴장하고 있다.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제주를 비롯해 전남 해역 등에 약 1~2만t 정도 유입된다. 대규모 띠 형태로 최대 5m까지 자라 이동한다. 양식장 그물이나 시설물에 달라붙어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며, 선박 스크루에 감겨 어업인과 배를 이용하는 관광객 안전까지 위협한다. 제주 토속음식인 ‘몸국’을 만드는 참모자반과 달리 삶아도 좀처럼 부드러워지지 않아 먹지 못한다.



중국 남부에서 생겨 해류 타고 온다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사이에 중화권 간체자가 쓰인 페트병이 엉켜있다. 최충일 기자
주요 발생지는 ‘중국 남부 해안’이 유력하다. 이 모자반은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 동중국 해안에서 발생해 연안 암석에 붙어살다 파도나 바람에 떨어진다. 그 후 대규모 띠 형태로 구로시오 난류를 따라 북상한다. 이게 대마난류를 타고 한국 남서부 해역과 제주도로 유입된다. 2015년을 전후해 중국은 해양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바다숲 조성과 생태환경 복원을 위해 괭생이모자반을 대량 이식했다. 제주바다에 모자반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15년 당시 유입된 개체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동중국해 연안에서 발생한 것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모자반 이외에 미역류까지 밀려와
지난해 5월 7일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든 해조류를 치우고 있는 제주도 관계자들. 최충일 기자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3~6월에 집중적으로 밀려온다. 제주지역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은 2019년 860t, 2020년 5181t, 2021년 9755t으로 매년 많이 늘어나다 2022년부터 연간 500t 수준을 보인다. 올해는 지난 2월까지 약 50t을 수거했다. 지난달 17일에는 제주시 이호해수욕장 일대에서 미역 종류로 보이는 해조류가 대량으로 밀려 들어와 제주도가 집중 정화 작업에 나섰다. 이날 수거한 해조류의 양만 20t에 달했다.



2021년엔 9755t 거름으로 공급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을 뒤로하며 걸어가고 있다. 최충일 기자
제주도는 그간 지역 농가에 수거한 해조류를 거름용으로 나눠주는 등 처리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산성화한 토지에 염분과 미네랄이 함유된 해조류가 녹아들어 땅을 중성화할 수 있어서다. 제주시는 2021년엔 수거한 9755t 중 대부분을 퇴비로 농가에 공급했다. 2022년부터는 수거한 모자반의 양이 많지 않아 대부분 소각 처리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최근 강풍이 불어 해조류가 대량으로 떠밀려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올해는 1월부터 많은 양의 해조류가 떠밀려와 지속해서 모니터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84 한덕수 측 "단일화 불발? 끔찍한 이야기…데드라인 없으나 빨리해야" 랭크뉴스 2025.05.07
49283 ‘백종원 방송중단’도 소용없다…더본코리아, 신저가 기록 랭크뉴스 2025.05.07
49282 미국과 관세 실무협상 중인 일본…“쌀에 손 대면 정권 무너진다” 랭크뉴스 2025.05.07
49281 [단독] 바디프랜드 오너家 강웅철 이사, 9개월간 법카로 유흥업소서 1억 사용…주인 같은 식당선 2억 결제 랭크뉴스 2025.05.07
49280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재판 대선뒤로 연기…"공정성 논란 없애려"(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279 김문수 ‘페이커 포즈’에 T1 황당… “삭제 위해 노력 중” 랭크뉴스 2025.05.07
49278 [속보] 이재명 측, 대장동·위증교사 재판도 기일변경 신청 랭크뉴스 2025.05.07
49277 백종원, ‘논란’ 잇따르더니 결국 수사 대상…“방송 활동 중단” 랭크뉴스 2025.05.07
49276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다음 달 18일 랭크뉴스 2025.05.07
49275 공수처, ‘해병대원 수사 외압’ 대통령실·국가안보실 압수수색 시도 랭크뉴스 2025.05.07
49274 ‘대통령 당선시 재판 정지’ 법안, 법사위 소위 통과…민주당 주도 랭크뉴스 2025.05.07
49273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6월18일로…재판 공정성 논란 불식” 랭크뉴스 2025.05.07
49272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재판 연기…‘대선 뒤’ 6월 18일로 랭크뉴스 2025.05.07
49271 권성동, 한밤중 김문수의 집까지 찾아갔지만…[포착] 랭크뉴스 2025.05.07
49270 [속보] ‘김건희 여사·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07
49269 ‘대통령 당선시 재판 중지’ 형소법 개정안, 법사위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07
49268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공판 대선 후로 연기…"공정성 논란 없애려" 랭크뉴스 2025.05.07
49267 이재명 파기환송심 재판부, 공판기일 6월 18일로 변경 랭크뉴스 2025.05.07
49266 [르포] “매장 찾는 손님 4~5배 늘어”… SK텔레콤 신규 가입 중단에 반사 수혜 입은 KT·LGU+ 랭크뉴스 2025.05.07
49265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 재판 연기‥대선 뒤 6월 18일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