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주 해안 검붉게 뒤덮은 괭생이모자반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지난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검붉은 색의 괭생이모자반이 검은색 현무암 갯바위 전체를 가득 메웠다. 겹겹이 쌓인 모자반은 갯바위 전체를 휘감아 지독한 비린내를 냈다. 모자반 중간마다 페트병, 각종 어구 등 해양쓰레기가 엉켜있다. 페트병에는 중화권 간체자가 쓰여있다. 물속에도 모자반이 가득해 보였다. 그 사이로 오리가 힘겹게 물갈퀴 질을 하며 먹이활동을 했다.



“역한 비린내 풍기는 괭생이모자반”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사이로 오리 2마리가 힘겹게 물갈퀴질을 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이곳은 함덕해수욕장과 카페·식당 등이 있어 관광객이 주로 다니는 해안도로다. 관광객 김지연(38·서울)씨는 “인근 식당에서 밥을 먹고 나오는 길인데, 비린내에 놀라 바다를 보다 더 놀랐다”며 “보기에도 그렇지만 냄새가 역해 얼른 치워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선박 운항 위협하고, 먹지도 못하는 골칫거리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최충일 기자
‘제주바다 불청객’으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해변을 뒤덮자 제주도가 긴장하고 있다.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제주를 비롯해 전남 해역 등에 약 1~2만t 정도 유입된다. 대규모 띠 형태로 최대 5m까지 자라 이동한다. 양식장 그물이나 시설물에 달라붙어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며, 선박 스크루에 감겨 어업인과 배를 이용하는 관광객 안전까지 위협한다. 제주 토속음식인 ‘몸국’을 만드는 참모자반과 달리 삶아도 좀처럼 부드러워지지 않아 먹지 못한다.



중국 남부에서 생겨 해류 타고 온다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도로 앞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 사이에 중화권 간체자가 쓰인 페트병이 엉켜있다. 최충일 기자
주요 발생지는 ‘중국 남부 해안’이 유력하다. 이 모자반은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 동중국 해안에서 발생해 연안 암석에 붙어살다 파도나 바람에 떨어진다. 그 후 대규모 띠 형태로 구로시오 난류를 따라 북상한다. 이게 대마난류를 타고 한국 남서부 해역과 제주도로 유입된다. 2015년을 전후해 중국은 해양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바다숲 조성과 생태환경 복원을 위해 괭생이모자반을 대량 이식했다. 제주바다에 모자반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15년 당시 유입된 개체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동중국해 연안에서 발생한 것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모자반 이외에 미역류까지 밀려와
지난해 5월 7일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밀려든 해조류를 치우고 있는 제주도 관계자들. 최충일 기자
괭생이모자반은 매년 3~6월에 집중적으로 밀려온다. 제주지역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은 2019년 860t, 2020년 5181t, 2021년 9755t으로 매년 많이 늘어나다 2022년부터 연간 500t 수준을 보인다. 올해는 지난 2월까지 약 50t을 수거했다. 지난달 17일에는 제주시 이호해수욕장 일대에서 미역 종류로 보이는 해조류가 대량으로 밀려 들어와 제주도가 집중 정화 작업에 나섰다. 이날 수거한 해조류의 양만 20t에 달했다.



2021년엔 9755t 거름으로 공급
1일 오후 1시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갯바위에 들러붙은 괭생이모자반을 뒤로하며 걸어가고 있다. 최충일 기자
제주도는 그간 지역 농가에 수거한 해조류를 거름용으로 나눠주는 등 처리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산성화한 토지에 염분과 미네랄이 함유된 해조류가 녹아들어 땅을 중성화할 수 있어서다. 제주시는 2021년엔 수거한 9755t 중 대부분을 퇴비로 농가에 공급했다. 2022년부터는 수거한 모자반의 양이 많지 않아 대부분 소각 처리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최근 강풍이 불어 해조류가 대량으로 떠밀려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올해는 1월부터 많은 양의 해조류가 떠밀려와 지속해서 모니터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40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가짜뉴스 퇴치해야" 랭크뉴스 2025.05.04
47939 제2 아시아나 노리던 대명소노가 에어프레미아 포기한 이유는 [시그널] 랭크뉴스 2025.05.04
47938 한덕수, 한동훈에 메시지…“고생했다. 만나자” 랭크뉴스 2025.05.04
47937 한덕수 ‘광주 사태’ 발언에 오월 단체 “스스로 내란 동조세력 입증” 랭크뉴스 2025.05.04
47936 “유심 여유분, 몇 개 확보했습니까?”…답변 내놓은 SKT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4
47935 민주, "조희대 청문회·국정조사·특검 필요" 랭크뉴스 2025.05.04
47934 이재명 “소상공인 부담 줄이고 매출 늘리는 나라…7대 공약 발표” 랭크뉴스 2025.05.04
47933 시어머니 배 걷어차고 머리채 잡은 며느리 항소심서 벌금형 랭크뉴스 2025.05.04
47932 김문수 “대법원장 탄핵? 히틀러보다 더해…이재명 후안무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4
47931 민주 "조희대 청문·국조·특검해야…사법부대선개입저지 특위" 랭크뉴스 2025.05.04
47930 '국힘 공동선대위원장' 안철수, 김문수에 "계엄·탄핵 대국민 사과해야" 랭크뉴스 2025.05.04
47929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오늘 2000만명 넘을 전망…교체는 95만여명" 랭크뉴스 2025.05.04
47928 쪽방촌 찾은 한덕수에 “언론용 포토 투어가 약자와의 동행이냐” 랭크뉴스 2025.05.04
47927 'SKY 판검사 실종'…신임 로클럭·검사 '지방대·이대가 점령' 랭크뉴스 2025.05.04
47926 전주 제지공장 맨홀서 작업하던 5명 쓰러져···2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5.05.04
47925 김문수, 조희대 탄핵 추진에 “히틀러, 김정은보다 더 해” 랭크뉴스 2025.05.04
47924 "과자 못 사 미안"…폐지 판 돈으로 라면 놓고간 '세아이 아빠" 랭크뉴스 2025.05.04
47923 민주당 “한덕수, 5·18이 폭동인가···광주시민 능멸하고 민주주의 무시” 랭크뉴스 2025.05.04
47922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2천만명 넘길 전망…교체 95만여명"(종합) 랭크뉴스 2025.05.04
47921 어린이날 오후 전국에서 약한 비 오락가락... 6일까지 비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