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NN·NYT 등 미 언론 분석…"수입 완성차 관세보다 타격 더 커"
업계 전문가 "차량 유지비·보험료 올라 모든 미국인에게 영향"


미국 텍사스의 한 자동차 딜러십 매장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공식 발효되자 미 언론과 전문가들은 이번 부품 관세가 미치는 파장이 수입 완성차 관세보다 더 클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지난달 3일부터 시행 중인 상태다. 이에 더해 수입 부품에 대한 25%의 관세가 더해지면서 미국 자동차 산업과 소비자들이 받게 된 타격이 한층 더 광범위해졌다는 진단이다.

CNN 방송은 이번 부품 관세가 "자동차 산업을 영원히 바꿀 수 있다"며 "기존의 수입차 관세보다 더 크게 산업을 뒤흔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경제학자 조너선 스모크는 "솔직히 부품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수입차 관세보다 더 나빠 보인다"고 말했다.

CNN은 지난해 미국 내 공장에서 생산된 1천만 대의 차량 중 수입 부품 없이 생산된 차량은 단 1대도 없다고 지적했다.

또 캐나다나 멕시코의 공급업체 중 시급 16달러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한 부품업체 제품의 경우에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한 것으로 분류돼 관세 면제 대상이 되는데, 이 기준을 적용하면 대부분의 캐나다 부품은 면제되지만, 멕시코 부품은 아주 적은 양만 면제된다고 CNN은 전했다.

미국 자동차 부품의 최대 공급원인 멕시코는 지난해 미국에 825억달러(약 116조원) 규모의 부품을 수출했으며, 이 가운데 대부분이 'USMCA 준수'로 인정되지 않아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고 CNN은 설명했다.

아울러 트럼프 정부가 미국에서 조립된 자동차에 대해 부품 관세 비용을 일부 환급해주기로 한 조처를 고려하더라도 이번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은 차량당 평균 약 4천달러(약 561만원)에 이를 것이라고 CNN은 자체 추산했다.

미국 볼티모어항에 있는 차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실제로 부품 수입 비율이 높은 제너럴 모터스(GM)의 메리 바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 CNN 인터뷰에서 올해 관세로 인해 회사가 부담하는 비용이 40억∼50억달러(약 5조6천억∼7조원)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GM과 포드, 현대차 등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수개월간 미국에서 차량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관세로 인한 비용을 무기한 흡수할 만큼 수익성이 충분하지 않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적했다.

NYT는 관세가 특히 저가 차량의 공급을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격이 3만달러(약 4천200만원) 미만인 차량 중 거의 80%가 관세 적용 대상에 해당하며, 여기에는 혼다 시빅, 도요타 코롤라, 쉐보레 트랙스 등 미국에서 인기 높은 차들이 포함된다.

미 언론은 이번 관세 영향이 신차뿐만 아니라 중고차 가격, 수리비, 보험료도 오르게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스모크는 "부품 관세는 수리·유지비와 보험료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단순히 수입 신차를 구매하려는 사람들뿐 아니라 모든 미국인에게 영향을 준다"고 경고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83 "5년 동안 50억 올랐다"…김수현이 3채 가지고 있는 '억' 소리 나는 아파트 랭크뉴스 2025.05.04
48082 박찬대 “내란 세력, 사법 카르텔 손 잡고 최후의 발악... 가용 수단 총동원해 이겨야” 랭크뉴스 2025.05.04
48081 해외 파견 후 의무복무 안 하고 퇴사‥대법 "비용반환 필요 없어" 랭크뉴스 2025.05.04
48080 김문수 대선 후보 확정에 반색하는 민주당 “내란 동조 세력과의 대결” 랭크뉴스 2025.05.04
48079 폐지 팔아 어린이날 선물 기부한 세 아이 아빠 "과자 못 사 죄송" 랭크뉴스 2025.05.04
48078 1000원어치 과자 먹었다가 법정 선 화물차 기사…벌금 5만원 랭크뉴스 2025.05.04
48077 "1인당 3200만 원씩 줘라"…SKT 해킹 피해, 美 통신사 사례 보니 랭크뉴스 2025.05.04
48076 [단독] 김문수, 단일화 마지노선 7일→11일에 “공감” 랭크뉴스 2025.05.04
48075 “환상의 마이너스 시너지" 국민의힘 경선 결과 반기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04
48074 "하늘에 저게 대체 뭐야?"…서울 하늘 뒤덮은 구름의 섬뜩한 정체 랭크뉴스 2025.05.04
48073 김문수 "정치 위기‥좌우 넘어 노사·동서·남녀·빈부 통합" 랭크뉴스 2025.05.04
48072 한덕수, 단일화 방식 국힘에 위임…이르면 내일 당 추진기구 설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4
48071 시진핑 7~10일 러시아 국빈 방문한다... "푸틴과 전략적 소통" 랭크뉴스 2025.05.04
48070 이재명 초고속 선고에 “민주주의 위협”…황금연휴 대법 앞 울렸다 랭크뉴스 2025.05.04
48069 국회 입법조사처 "'해킹사태' SKT, 위약금 면제 가능"... SK 결단하나 랭크뉴스 2025.05.04
48068 초코파이 때문에…벌금 5만원 선고 받은 화물차 기사 랭크뉴스 2025.05.04
48067 대법, 7만쪽 단 이틀 검토…“열람기록 공개” 시민 요구 거세진다 랭크뉴스 2025.05.04
48066 대법 ‘이재명 상고이유서 생략→7일 만에 선고’ 현실성 있나…“위법 소지” 랭크뉴스 2025.05.04
48065 50대 초반 직장인, 퇴직급여 계획 물었더니…절반 이상 ‘연금 활용’ 랭크뉴스 2025.05.04
48064 마사회 이어 캠코 사장까지 '알박기'…계엄 후 공공기관장 48명 임명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