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야권도 역대 최다 수준 의석 확보…정치 다양성 확대 목소리 커져


싱가포르 여당 PAP 지지자들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싱가포르 여당 인민행동당(PAP)이 3일 실시된 총선에서 예상대로 압승을 거뒀지만 야권 세력 유지도 허용, 다소 뒷맛이 남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상대로 절대다수 의석을 차지하며 집권 연장에 성공했지만, 야권 도전도 만만치 않았다.

전체 97석 중 87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 표본개표 결과만 보면 수치상 분명한 PAP 압승이지만, 싱가포르의 특수한 정치 상황에서는 해석이 달라질 여지도 있다.

이날 선거는 PAP와 로런스 웡 총리에 대한 국민 지지와 신임을 확인하는 중요한 시험대로 꼽혀왔다.

애초 승자 예측은 무의미했다.

1965년 독립 이후 60년간 장기 집권해온 PAP의 승리가 당연시됐다. PAP가 얼마나 크게 이기느냐가 관건이었다.

싱가포르에서 '국부'로 추앙받는 고(故) 리콴유 초대 총리를 중심으로 창당한 PAP는 1965년 독립 이후 모든 총선에서 승리하며 한 번도 정권을 내주지 않았다.

야당은 1981년에야 원내에 진출했고, 이후에도 PAP가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해왔다.

야당은 서서히 영향력을 확대하며 PAP의 확고한 '1당 지배'에 균열을 내기 시작했다.

2020년 총선에서 PAP는 93석 중 83석을 차지했다. 일반적인 국가 선거에서는 압도적인 승리지만, 싱가포르에서는 '사실상 여당 패배'라는 말까지 나왔다.

노동자당(WP)은 당시 역대 야당 최다 의석인 10석을 확보했고, 이번 선거에서도 10석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PAP로서는 야당의 세력 확장은 막았지만, 기대만큼 일방적인 승리는 거두지 못했다.

2020년 총선에서 PAP 의석 점유율은 사상 처음으로 90% 아래로 떨어졌다. 득표율도 직전 총선보다 9%포인트 가까이 하락한 61.2%를 기록했다. 역대 최저인 2011년 60.1%에 가까운 수치다.

싱가포르 현대사에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한 리콴유 가문 시대가 막을 내리고 PAP가 지도자를 교체했다는 점에서도 이번 선거는 관심을 끌었다.

리콴유 초대 총리는 1959년 6월부터 1990년 11월까지 31년간 집권했고, 그의 아들인 리셴룽 총리는 2004년 8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20년간 통치했다.

이번 총선은 2대 고촉통 총리에 이은 두 번째 '비 리콴유 가문 출신' 총리인 웡 총리 체제로의 전환 완성이라는 의미도 있다.

싱가포르 총리는 사실상 PAP 지도부가 결정한다. PAP는 2022년 웡 당시 재무장관을 리셴룽 총리 후계자로 낙점했다.

이번 선거 국면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와 고물가, 고용 안정 등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여당은 선거를 앞두고 미국의 관세 정책과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위기를 강조하며 안정적으로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웡 총리는 소셜미디어에 "세계가 점점 불확실해지고 불안정해지고 있다"며 "이 중요한 시점에 국민들은 국가를 이끌 팀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남아 정치 전문가 브리짓 웰시는 "이번 총선은 웡 총리 리더십에 대한 시험이기도 하지만, 싱가포르 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반영한다"고 AFP에 말했다.

도시국가 싱가포르는 PAP 정권 아래 아시아의 부국으로 성장했지만, 그에 걸맞은 정치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는 평가도 받아왔다.

정부의 엄격한 사회 통제와 표현 자유 제한 등에 대한 반발이 커진 가운데 정치적 자유와 다양성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60 한덕수 "개헌으로 위기 극복"…손학규 "단일화 순탄하게 가야" 랭크뉴스 2025.05.05
48559 국힘 지도부, 김문수에 "신속 단일화 다짐 잊지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58 검찰, '건진법사' 금품 전달 혐의 통일교 간부 부부 출국 금지 랭크뉴스 2025.05.05
48557 중국은 개발도상국인가? …미국이 묻는 이유 랭크뉴스 2025.05.05
48556 국힘 지도부 “단일화 약속 잊어선 안돼”…김문수 거듭 압박 랭크뉴스 2025.05.05
48555 트럼프 돌연 "영화에 100% 관세"‥한국 영화·드라마 문제 없나 랭크뉴스 2025.05.05
48554 국힘 지도부, 김문수에 "신속 단일화 다짐 잊지말라…결단 필요" 랭크뉴스 2025.05.05
48553 어린이날 리조트에서 가스 누출‥어린이 등 14명 이송 랭크뉴스 2025.05.05
48552 국민의힘 출신 최연숙 전 의원, 민주당 선대위 합류 랭크뉴스 2025.05.05
48551 한동훈 “저는 계속해보겠다”…지지자에 당원 가입 독려 랭크뉴스 2025.05.05
48550 처음 만난 한-김, "만나자" 3번 말했지만, 확답 없었다" 랭크뉴스 2025.05.05
48549 민주당 "대선후보 재판 모두 미뤄야"‥"12일까지" 기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548 "최서원, 감옥 있는 줄 알았는데"…한달여 석방 됐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5.05
48547 국힘 지지층선 “한덕수로 단일화” 응답 2배지만…“누가 되든 대패” 랭크뉴스 2025.05.05
48546 김문수 측근 차명진 전 의원 “당이 단일화 협박, 있을 수 없는 일” 랭크뉴스 2025.05.05
48545 [여론조사②] 단일화해도 "이재명 50%"‥대구·경북도 "이재명 유력" 랭크뉴스 2025.05.05
48544 또 불거진 임도 논란…‘효율 vs 환경’ 접점은? 랭크뉴스 2025.05.05
48543 [속보] 국힘, ‘단일화’ 의총 시작…의원들 “김문수 너무 믿었다” “사기 행각” 랭크뉴스 2025.05.05
48542 “옛 영광 어디에” 무너져 내리는 ‘지역 최대 상권들’ 랭크뉴스 2025.05.05
48541 문형배 전 대행 "만장일치 만들어 보려고 탄핵 심판 선고 늦어"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