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법조팀 이준희 기자에게 좀 더 물어보겠습니다.

이 기자, 현직 판사들이 이렇게 공개적으로 의견을 내는 경우가 참 없는데요.

어떻게 봐야 할까요?

◀ 기자 ▶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 고쳐 매지 말고 오이밭에서 신발 고쳐 신지 말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이 얘기를 두 부장판사 모두 거론했는데요.

사법부가 의심 살만한 일을 왜 자꾸 하느냐는 겁니다.

그동안 법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는 유독 관대하다는 비판을 받았죠.

구속 취소 결정부터 법원 지하주차장 출입 허용, 첫 공판 촬영 불허까지 모두 예상을 빗나간 이례적인 결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재명 후보에 대해서는, 이례적인 빠른 속도로, 대선 출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정을 한 거잖아요.

앞서 보셨듯이 비판글을 쓴 부장판사는 "이례성이 특정 세력에게만 유리하도록 편향되게 반복되면, 일반인들은 더 이상 재판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는데요.

사법부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는 절박함이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서울고법 파기환송심도 이례적으로 굉장히 속도를 내고 있잖아요.

대선 전에 대법 확정판결도 가능한가요?

◀ 기자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가능합니다.

유죄 취지로 사건을 돌려보냈으니, 파기환송심은 유죄로 선고를 할 가능성이 높죠.

그러면 이재명 후보는 대법원에 재상고를 할 겁니다.

형사소송법상 상고 신청에 7일, 그러고 나서 상고 이유서 제출에 20일을 쓸 수 있습니다.

이것만 따져도 27일입니다.

그런데 대선까지 불과 31일 남았습니다.

앞으로 4일 안에 서울고법 선고가 나와야 대선 전에 대법원 재판이 시작될 수 있다는 건데, 서울고법 첫 공판이 12일 뒤인 5월 15일이니, 대선 전 대법원 선고는 불가능합니다.

그런데 워낙 전례가 없는 일이 계속 벌어지다 보니, 이 후보에게 상고이유서 제출 기간 20일을 보장해 주지 않고 사건이 넘어오면 대법원이 바로 결정을 낼 거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어제 국회에 나온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그럴 수가 없다, 있을 수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 앵커 ▶

계속해서 이례적인 일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요.

지켜봐야겠죠.

그러면 대선 전에 파기환송심 결과까지는 나올 수 있는 건가요?

◀ 기자 ▶

우선 5월 15일 첫 공판에 이 후보가 출석하지 않는다면 두 번째 기일에서 바로 선고까지도 가능합니다.

대선 전 선고가 얼마든지 이뤄질 수 있습니다.

변수는 소환장 전달입니다.

피고인에게 소환장이 송달돼야만 효력이 생기거든요.

재판부는 집행관에게 소환장 송달을 맡겨 재판 일정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파기환송심 결과가 중요한 건 형량 때문인데요.

대법원은 판결을 파기할 순 있어도 형량을 건드릴 순 없기 때문에, 파기환송심 선고가 이 후보 운명을 가를 수 있습니다.

만약 벌금 100만 원 미만의 형이 나온다면 문제가 없지만, 피선거권 박탈에 해당하는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이 나온 뒤 이 후보가 만약 당선된다면, 대통령의 재임 중 형사상 불소추특권을 명시한 헌법 84조에 대한 해석 논란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해석 논란이 된다는 것은 정확히 명시가 안 되어 있는 모양이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69 한덕수, 김문수에 “오늘 중 만나자” 김문수 측 “정식 제안 아니었다” 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368 [속보] 경희의료원 서관 건물 옥상에서 불…화재 진압 중 랭크뉴스 2025.05.05
48367 “정말이지 ‘후지다’라는 말밖에”… 中 ‘짝퉁 후지산’ 논란 랭크뉴스 2025.05.05
48366 보수 단일후보 적합도, 한덕수 30% 김문수 21.9%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05
48365 ‘정치 테마주’ 기승에 지난달 투자경고 56개 종목 ‘역대 최다’ 랭크뉴스 2025.05.05
48364 이재명 책이 쓸어 담았다…베스트셀러 톱10 싹쓸이 랭크뉴스 2025.05.05
48363 트럼프 "중국과 관세 협상 진행"‥"시진핑 만날 계획은 없어" 랭크뉴스 2025.05.05
48362 한덕수 “오늘 만나자” 3번 제안…김문수 쪽 “아직 미정”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361 전남 완도 리조트서 일산화탄소 추정 가스 누출...14명 두통 호소 랭크뉴스 2025.05.05
48360 이재명, 경기·충북 ‘경청투어’…“아동수당 확대” 랭크뉴스 2025.05.05
48359 ‘보수 최종 후보’ 누가 좋나? 한덕수 30%로 김문수 앞질러[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05
48358 윤호중 “조희대 사법부 광란의 행진 막겠다”···대선후보 공판기일 대선 뒤로 변경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357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전국 주요 사찰서 ‘봉축 법요식’ 랭크뉴스 2025.05.05
48356 우크라 "해상드론으로 러 전투기 격추"…사실이면 세계 최초 랭크뉴스 2025.05.05
48355 트럼프 "이번주 새로운 무역협정 가능성... '딜'은 내가 결정한다" 랭크뉴스 2025.05.05
48354 [속보] 한덕수, 오늘 만남 3번 제안…“김문수, ‘네’라고만 말해” 랭크뉴스 2025.05.05
48353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 명" 랭크뉴스 2025.05.05
48352 경찰, 의대 유급시한 앞두고 "복귀방해 무관용" 밝혀 랭크뉴스 2025.05.05
48351 한덕수, 김문수에 "오늘 중 봅시다" 세차례 언급…金 "네 네" 랭크뉴스 2025.05.05
48350 [크랩] 26년 만에 문 닫는 ‘쥬니어네이버’…그때 그 시절 추억 소환해 봄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