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찬탄파' 대표주자, 친한계 결집 속 지지율 오르며 결선까지 진출
'단일화 열망' 여론 흡수 못 한 듯…'반탄 우세' 당내 지형 극복도 실패


승복연설하는 한동훈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2025.5.3 [email protected]


(고양=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대권에 처음으로 도전한 국민의힘 한동훈 후보가 3일 당 최종 경선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다.

한 후보는 이번 경선에서 '정치·세대·시대교체'를 앞세워 도전장을 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찬탄파'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계엄에 찬성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반탄'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길 수 없다면서 자신의 본선 경쟁력을 부각해왔다.

계엄 사태의 장본인인 윤 전 대통령과 사법리스크 논란을 안고 있는 이 후보 모두 정치판에서 퇴장시키고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해 정치와 세대, 시대를 모두 재편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같은 한 후보의 전략은 경선 기간에서 어느 정도 주효했다. 경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는 '반탄파' 경쟁자인 김문수·홍준표 후보에 다소 밀리는 듯한 양상도 보였지만, 경선 토론회를 거치며 지지율이 상승세를 탔다.

한 후보가 8강과 4강을 거쳐 결선까지 진출하자 당내 일각에선 한 후보의 탄탄한 '팬덤'에 더해 '변화'를 바라는 당심도 일부 움직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그런데도 한 후보가 김 후보에게 패한 데는 한덕수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경선 내내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이었던 김 후보와 달리 한 후보는 '당 후보 중심'의 주장을 고수해왔다.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원하는 지지층이 이러한 온도 차를 감지하고 단일화 논의가 수월할 것으로 예상되는 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한 후보 당선 시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공유된 것 같다"고 진단했다.

한동훈 후보와 포옹하는 김문수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마친 뒤 한동훈 후보와 포옹하고 있다. 2025.5.3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한 후보가 '반탄'이 여전히 우세한 당내 여론 지형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시각도 있다. 윤 전 대통령과 끊임없이 충돌해 온 자신의 기존 행보가 결국 '배신자 프레임'으로 발목을 잡은 셈이다.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대표 시절 윤 전 대통령과 사사건건 부딪치면서 계엄과 탄핵으로 이어진 과정에서 한 후보에 대한 당원들의 '불편한 감정'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친한(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의원 20여명은 경선 과정에서 결집력을 보였지만, 이들을 제외한 당 소속 의원 상당수가 계엄·탄핵 국면에서 한 후보가 보인 언행에 마음이 돌아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영남권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과는 별개로 지지층 사이 한 후보의 리더십에 대한 회의나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 후보가 강조해온 '본선 경쟁력'이 다른 후보에 견줘 압도적이지 않았다는 점도 패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재명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의 지지율이 김 후보나 한덕수 후보 등 보수진영의 주요 경쟁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결과 기다리는 한동훈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민의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2025.5.3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56 우크라 "해상드론으로 러 전투기 격추"…사실이면 세계 최초 랭크뉴스 2025.05.05
48355 트럼프 "이번주 새로운 무역협정 가능성... '딜'은 내가 결정한다" 랭크뉴스 2025.05.05
48354 [속보] 한덕수, 오늘 만남 3번 제안…“김문수, ‘네’라고만 말해” 랭크뉴스 2025.05.05
48353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 명" 랭크뉴스 2025.05.05
48352 경찰, 의대 유급시한 앞두고 "복귀방해 무관용" 밝혀 랭크뉴스 2025.05.05
48351 한덕수, 김문수에 "오늘 중 봅시다" 세차례 언급…金 "네 네" 랭크뉴스 2025.05.05
48350 [크랩] 26년 만에 문 닫는 ‘쥬니어네이버’…그때 그 시절 추억 소환해 봄 랭크뉴스 2025.05.05
48349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즉시 시작…국가안보 위협” 랭크뉴스 2025.05.05
48348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347 죽은 빵도 되살린다더니…발뮤다, 한국에서 더는 안 먹히는 이유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5.05
48346 조갑제 “한덕수·김문수 단일화 효과 없을 것…국힘 참패 예상” 랭크뉴스 2025.05.05
48345 어린이날 완도 리조트서 가스 누출…아동 5명 등 14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5.05
48344 홍준표 "인생 3막 구상 위해 미국행" 랭크뉴스 2025.05.05
48343 올해 곡성 어린이날 선물은 ‘65년만의 소아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5
48342 불교, 서울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를 만들다[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41 단일화 온도차? 한덕수 "오늘 만나자" 김문수 측 "덕담 나눴다" 랭크뉴스 2025.05.05
48340 한덕수 “오늘 편할 때 보자” 김문수 쪽 “미정”…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339 “아아 부처님, 저는 오늘도 무소유하러 가서 풀소유하고 말았습니다”[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338 SK텔레콤 “유심 교체 100만명…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중단” 랭크뉴스 2025.05.05
48337 제니도 감탄한 스님 "불교가 힙해도 되냐고? 부처도 죽이라 가르치는 종교"[부처, 깨달음이 트렌드가 되기까지]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