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3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됐다. “피고인 이재명을 상대하기에는 가진 것 없는 깨끗한 손 김문수가 제격”이라며 대선 출마를 선언한 지 24일 만이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1전시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종합 득표율 56.53%로 43.47%를 차지한 한동훈 후보를 13.06% 포인트 차이로 따돌렸다. 김 후보는 대선후보 수락 연설에서 “(민주당이 다수당인) 국회가 대통령을 끌어내고 법원과 헌법재판소까지 지배하며 삼권분립을 파괴하고 있다”며 “이 후보 선거법 위반을 대법원이 바로잡자 사법부를 손 봐주겠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은) 이 후보의 재판을 더는 못하도록 중단시키는 법까지 만들겠다고 한다”며 “이 사람들이 정권을 잡는다면 끔찍한 독재가 펼쳐질 것이다. 이 후보를 반드시 이기겠다”고 덧붙였다. 경쟁상대인 이 후보의 전당대회 지지율(89.77%)을 거론하며 독재자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후보는 수락 연설에 공약도 담았다. ▶87년 체제를 바꿀 개헌 추진을 비롯해 ▶감사원의 선관위 감사 ▶사전투표제도 폐지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등을 약속했다.

경선에서 패한 한동훈 후보는 “저는 오늘 당원들과 국민들의 결정에 승복한다”며 “저의 여정은 오늘 여기서 끝나지만 우리 김 후보가 이 대한민국이 위험한 나라가 되는 것을 막아주실 것을 부탁드린다. 저도 뒤에서 응원하겠다”고 했다. 1·2차 경선에 참여했던 나경원ㆍ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도 무대에 올라 김 후보와 손을 맞잡았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5차 전당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등 지도부 및 한동훈 후보와 기념촬영을 하며 손뼉을 치고 있다. 뉴스1
김 후보 승리의 원동력은 두터운 ‘당심’이었다. 50%의 비중을 차지한 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김 후보는 24만6519표(61.25%)를 얻어 15만5961표(38.75%)에 그친 한 후보를 22.5%포인트 앞섰다.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 후보가 상대적으로 당심을 더 끌어안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전당대회 직전까지 현역 의원이나 원외 당협위원장 등의 캠프 합류, 지지 선언도 이어졌다.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역선택 방지 문항을 포함한 여론조사에선 김 후보(51.81%)가 한 후보(48.19%)를 근소하게 앞섰다.

국민의힘 대표선수가 된 김 후보 캠프 안팎에선 “20·30세대와 중도층 확장이 급선무”란 말이 나온다. 김 후보도 이를 의식한 듯 경선 초반부터 청년층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청년 대표가 참여하는 2차 연금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캠프 관계자는 “민생·경제·실용 정책을 띄워 청년과 중도층을 공략할 것”이라고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5차 전당대회를 마치고 나오며 인사하고 있다. 뉴스1

김 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 간의 후보 단일화와 반(反) 이재명 전선의 연대가 어느 수준까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김 후보는 이날 “전 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단일화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김 후보는 “국민과 우리 당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절차와 방식으로 추진하겠다”며 “그리고 마침내 이기겠다”고 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기자들에게 “반헌법 민주공화국 파괴 세력들끼리 연합하는 것은 예측된 일 아니겠나”라며 “국민이 과연 이 나라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국가 반역 세력들에 대해 어떤 평가를 할 지 스스로 한번 돌아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27 장기기증자 유족들, 하늘 향한 편지엔 온통 "사랑해" "보고싶어" 랭크뉴스 2025.05.04
47826 韓 고정밀 지도 요청한 구글…시민단체 "디지털 주권침해" 랭크뉴스 2025.05.04
47825 작년 외국인 건보 '부정수급' 25억6천만원…28% 증가 랭크뉴스 2025.05.04
47824 제주 바다 "역한 비린내" 충격…원인은 中서 대량 이식한 '이것' 랭크뉴스 2025.05.04
47823 "태국 여행 예약했는데 어쩌나"…치사율 20% '이병'으로 난리 났다는데 랭크뉴스 2025.05.04
47822 [대선 D-30] 판세 뒤흔들 변수는…반명 빅텐트와 李 파기환송심 랭크뉴스 2025.05.04
47821 [대선 D-30] 李 대세론에 金·韓 연대 공감…격동의 대권 레이스 예고 랭크뉴스 2025.05.04
47820 ‘통상외교’ 자신하는 한덕수…역대급 굴욕 ‘중국산 마늘 협상’ 잊었나[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5.04
47819 글로벌 매출 1위 '키트루다' 아성 흔들리나…복제약 개발 각축전 랭크뉴스 2025.05.04
47818 "기독교·불교 접촉면 커졌다" 민주, 종교 확장 '종클릭' 전략 랭크뉴스 2025.05.04
47817 年 9% 적금… 금융권, 5월 가정의달 맞이 혜택·이벤트 풍성[박지수의 재테크 바이블] 랭크뉴스 2025.05.04
47816 약 먹으면 키 안 큰다? 운동은 금물?…'소아 천식' 오해와 진실 랭크뉴스 2025.05.04
47815 [대선 D-30] '화요일 투표율'은 어떨까…보수·진보 진영 유불리는 랭크뉴스 2025.05.04
47814 “사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잖아?”…관광지서 알몸으로 포옹한 커플, 결국 랭크뉴스 2025.05.04
47813 ‘교황 선출’ 콘클라베 투표용지 태울 난로 시스티나 성당에 설치 랭크뉴스 2025.05.04
47812 '대법원 이재명 판결' 두고 민주당·법원행정처장 국회에서 '공방' 랭크뉴스 2025.05.04
47811 "아저씨 나 성추행했네? 끝났어"…아들 괴롭힌 일진 잡은 남성, 되레 협박 당했다 랭크뉴스 2025.05.04
47810 독일 '극우 칼바람'…경찰관 193명 이미 징계절차 랭크뉴스 2025.05.04
47809 "美자동차 생산비, 부품 관세로 대당 500만원↑…수리비도 상승" 랭크뉴스 2025.05.04
47808 서양 유튜버 눈에 비친 평양…외국인 관광 유치 본격화?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