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다른 정치인보다 윤석열 그림자에서 자유로워”
2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한덕수 전 총리가 광주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의 반발에 가로 막히자 \\\"저도 호남 사람\\\"이라며 참배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친윤석열 계열(친윤)’ 정치인인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친윤 정치인들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 근처에 가지 마라”고 말했다. 최근 대통령 선거에 나가겠다고 선언한 한덕수 전 총리를 돕기 위한 전략이라며 이렇게 주문했다.
2일 와이티엔(YTN) 라디오 ‘이익선 최수영 이슈앤피플'에 출연한 장예찬 전 위원은 “다른 정치인들보다는 한 전 총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그림자에서 자유롭다고 생각한다”며 “나를 포함한 친윤 정치인들이 웬만하면 한 전 총리 근처에 가지 마라”고 말했다.
장 전 위원은 이렇게 주장한 이유에 대해 “한 전 총리의 공간을 넓혀주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는 “한 전 총리의 공간을 넓혀주기 위해서는 친윤계 정치인들이 후방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지, 옆에서 사진 찍히고 (선거) 캠프 가서 좌장하고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든 정치인이 대선 때 되면 참을 수 없다는 걸 알지만, 가급적이면 뒤로 빠져서 후방 지원하는 역할에 머무르고, 한덕수의 공간이 보수 진영을 넘어서 중도와 호남, 일부 상식적인 진보 세력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스스로 한 발짝 뒤로 물러나 열어줘야 한다”며 “(한 전 총리를) 친윤 프레임으로 몰아붙일 때 오히려 친윤계 정치인들이 뒤에서 도와줄 방법도 얼마든지 많다. 전면에 나서지 않고, 한덕수의 운동장을 넓게 쓸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주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한 전 총리는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았으나 시민들의 거센 반대에 참배하지 못하고 돌아섰다. 5·18단체와 광주 시민사회는 한 전 총리의 행보를 두고 “내란 범죄의 부역자였음을 먼저 인정하고 국민들에게 사과한 뒤 5·18묘역을 찾는 것이 순서”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 전 총리는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은 채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합시다”, “우리 5·18 영령들의 가슴이 아픕니다”라고 일방적인 메시지만 내놓으며, 물의를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