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법 84조 불소추특권 판단에 관심
조희대 대법원장을 비롯한 대법관들이 1일 오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전원합의체 선고를 위해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 입장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대법원이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하면서 헌법 84조가 규정한 ‘대통령 불소추특권’에 관심이 쏠린다. 이 후보가 실제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해당 조항에 따른 향후 재판 진행 여부에 따라 여러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현재 이 후보가 받고 있는 재판은 이번 공직선거법 재판을 포함해 총 5개다. 헌법 84조는 ‘대통령이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이에 대해 ‘소추’가 검찰의 공소제기만을 의미하는지, 진행 중인 재판까지 포함하는지를 두고 해석이 나뉜다. 대법원이 전날 판결을 하며 헌법 84조와 관련한 해석을 내릴지 주목됐지만, 대법원은 87쪽 분량 판결문에서 이에 관한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재판 진행 여부는 일차적으로 이 후보 재판을 맡고 있는 각 재판부의 판단에 맡겨질 것으로 보인다. 천대엽 법원행정처장(대법관)은 지난달 3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법원이 헌법 84조와 관련해 개별 재판부에 재판을 어떻게 운영하라고 지시할 수 있느냐’고 묻자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각 재판관이 알아서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현재 구조상으로는 그렇게 볼 수밖에 없다”며 “대법원이 법률심으로서 만약에 그런 쟁점을 다루게 된다면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각 재판부별 판단이 상이하거나 절차 진행과 관련해 논란이 있을 경우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이 후보의 재판이 계속 진행될 경우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재상고심이나 다른 재판의 상고심으로 재판을 맡아 84조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혹은 재판 진행 과정에서 피고인의 재판부 기피 신청이나 검찰의 재판 기일 지정 요구 등에 항소심 재판부가 기각을 하고, 이에 대한 재항고심으로 대법원이 관련 판단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만약 재판을 강행해 상급심에 올라가게 되면 대법원에서 진행 여부를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며 “재판 진행에 따른 재판부 기피 신청 등으로 대법원이 84조에 대해 판단할 여지가 생기는 것도 가능하지만, 모두 선례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헌법을 해석하고 기본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헌법재판소가 헌법 84조에 대한 유권해석을 직접 내릴 수도 있다. 우선 이 후보 쪽이 헌법 84조 불소추특권에 따라 대통령에 대해 재판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하며 법원을 상대로 권한쟁의 심판과 재판 중지 가처분을 제기할 수 있다. 또 이 후보 쪽이 헌법 25조 공무담임권을 침해당했다며 헌법소원을 낼 수 있고,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유포죄에 대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할 수도 있다.

헌법 전문 김정환 변호사(법무법인 도담)는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법원이 재판을 하는 것이 헌법에 따라 현직 대통령에게 보장된 권한을 침해했다는 취지로 법원을 상대로 권한쟁의 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며 “입법 부작위 등을 이유로 헌법소원 등을 제기할 수도 있지만 이는 모두 전례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황희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권한쟁의 사안에는 법원의 재판도 포함되기 때문에, 진행 중인 재판 자체를 헌재 심판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법기관이 아닌 입법기관인 국회가 법 개정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허위사실 유포의 구성요건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공직선거법을 개정하거나, 재판 정지 요건에 재직 중 대통령을 포함하는 식으로 형사소송법 개정에 나설 수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대통령 당선 시 형사재판 절차를 중지하는 내용의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법안소위에 회부한 상태다. 민주당은 다음 주 중 전체회의에서 법안을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43 민주당 “가용수단 총동원· 탄핵은 보류”…국민의힘 “집단 광기” 랭크뉴스 2025.05.04
48142 한덕수 "김문수와 단일화, 무조건 다 수용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4
48141 [여론M] 한덕수 출마하자 김문수가 '흔들'‥'대법원 판결'에 이재명 지지율은? 랭크뉴스 2025.05.04
48140 '짧아야 진짜 남자' 수천만뷰 나왔다…속눈썹 깎는 해외 남성들 랭크뉴스 2025.05.04
48139 민주, '조희대 탄핵' 카드 만지작…신중론에 결행시점 계속 검토 랭크뉴스 2025.05.04
48138 민주, '조희대 탄핵' 일단은 보류... "15일 고법 기일 취소" 마지노선 걸고 명분 쌓기 랭크뉴스 2025.05.04
48137 ‘우산 쓴 어린이날’…전국 흐리고 비 예상 랭크뉴스 2025.05.04
48136 회사 냉장고에서 초코파이 꺼내 먹은 화물차 기사, 벌금 5만원 랭크뉴스 2025.05.04
48135 이재명, 한덕수 겨냥 “광주사태라고 비하…이해 안 돼” 랭크뉴스 2025.05.04
48134 시진핑, 반년만에 푸틴 재회…트럼프에 밀착 과시하나 랭크뉴스 2025.05.04
48133 삼성전자, 인도서 8000억대 관세·과징금 부과에 항소 제기 랭크뉴스 2025.05.04
48132 상고심 선고 기간 평균은 늘었는데 이재명은 '초고속' 랭크뉴스 2025.05.04
48131 민주, 조희대 대법원장 탄핵 추진 결정 보류… “5·15 공판 기일 변경 요구” 랭크뉴스 2025.05.04
48130 민주 “대법원장 탄핵 결정 보류… 대법 행위는 위헌·위법” 랭크뉴스 2025.05.04
48129 건진 "尹당선에 전재산 올인"…강남 20층 빌딩으로 옮겼다 [尹의 1060일] 랭크뉴스 2025.05.04
48128 국회 입법조사처 “SKT 해킹 사태 위약금 면제 가능” 랭크뉴스 2025.05.04
48127 '하반신 마비' 시어머니 배 걷어찬 며느리…폭행 이유가 랭크뉴스 2025.05.04
48126 사법부 못 믿겠다며 "내란특별재판소 설치하자"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04
48125 오피스텔서 전 여친과 그의 남친 살해한 30대 자수(종합) 랭크뉴스 2025.05.04
48124 매년 사회복무요원 13명 사망했는데…1년간 괴롭힘 신고 건수는 26건뿐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