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김문수·한동훈 후보 중 1명 선출
대선 출마한 한덕수 전 총리와 단일화 논의 예정
1차 목표 시한은 오는 ‘7일’


국민의힘이 지난달 14일부터 약 3주간 진행한 대선 경선 레이스 끝에 3일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그러나 경선 결선에 오른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 중 누가 대선 후보가 되더라도 바로 국민의힘 간판을 달고 본선에 나서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2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바깥에서 ‘진짜 최종전’을 기다리는 양상이기 때문이다.

6·3 대선 레이스에서 일찌감치 독주 체제를 굳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항하기 위해 보수 진영에서는 “유일한 승리 공식은 반(反)이재명 빅텐트뿐”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내부에서 ‘한덕수 차출론’은 경선에 찬물을 끼얹는 이슈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상수가 됐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물론 김·한 후보 역시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왔다.

주어진 협상 시간, 최대 일주일

정치권에선 단일화 시점과 방식을 두고 각종 시나리오가 제시되고 있다.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는 점은 공통적인 인식이다. 3일 경선에서 승리한 국민의힘 후보는 바로 한 전 권한대행 측과 단일화 논의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실적으로 협상에 주어진 시간은 일주일 남짓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방식이 국민 여론조사로 이뤄질 경우를 대비해 휴대전화 가상번호까지 미리 받아둔 상태다.

국민의힘 안팎에서 거론되는 단일화 1차 목표 시한은 오는 7일이다. 당 지도부도 7일까지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를 완료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이날은 각종 대선 공보물의 발주 마감일이기 때문에 그 이전 ‘단일 후보’를 확정해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이후 마지노선으로는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이 거론된다. 만약 한 전 총리로 후보가 단일화될 경우 11일 이전에 절차가 마무리 돼 국민의힘 입당까지 해야 ‘기호 2번’을 달고 대선을 뛸 수 있다.

단일화가 이 시점까지 이뤄지지 않는다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기호 2번, 무소속 상태인 한 전 총리는 후순위 기호를 달게 된다. 한 전 총리로 단일화가 되더라도 후순위 기호로 본선을 뛰어야 하는 것이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2번으로 단일화하지 못하면 필패하겠다고 작심하는 것”이라며 “이미 불리한 선거다. 기호 7~8번을 붙이고 선거운동이 되겠나”라고 말했다.



선 단일화냐 선 입당이냐

한 전 총리 측이 국민의힘 입당과 후보 단일화 중 무엇을 우선순위에 둘 지는 한덕수 차출론을 주장하는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선(先) 입당론자들은 선거자금, 선거조직 등 현실적 이유를 든다. 시간도, 정치 경험도 없는 한 전 총리가 무소속 출마에 따르는 부담을 질 필요는 없다는 논리다.

반대로 후보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단일화→입당’ 순으로 가는 게 타당하다는 이들도 있다. 일단 무소속으로 출마해 중도층 표심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후보 단일화를 거쳐 입당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당내에서는 “공직을 내려놓자마자 입당하는 모양새도 부적절하고, 사실상 당내 경선을 다시 치르는 것과 같아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지금 여론은 국민의힘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다. 한 전 총리에 대한 지지도 역시 당 바깥에 있을 때 더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동원 폴리컴대표는 “선거 비용 문제 등 때문에 결국 입당할 수밖에 없겠지만, ‘선 입당’은 향후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 등과의 연대를 제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
단일화 방식으로는 크게 두 가지 모델이 거론된다. 후보 간 정치적 담판을 전제로 한 1997년의 ‘DJP(김대중·김종필) 연합’과 여론조사로 후보를 결정하는 2002년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다.

현재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노-정’ 모델이 더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다. 한 전 총리의 지지율이 압도적이지는 않은 데다가, 출마 명분도 약한 편이라는 얘기다. 한 3선 의원은 “경선 방식으로 가야 경쟁력을 입증할 수 있는 것 아니겠나”라며 “협상으로 단일화를 결정하면 기껏 당내 경선을 치러놓고 대선 후보를 가져다 바치는 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2002년 당시 노 후보와 정 후보가 여론조사 세부 문구, 당심 반영 여부 등을 두고 첨예한 신경전을 펼쳤던 것처럼 이번에도 양측 간 대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누가 더 이재명의 상대로 적합하냐’와 ‘누가 더 보수진영의 후보로 적합하냐’ 등 여론조사 질문에 따라 답이 확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룰은 결국 후보들이 결정해야 할 몫이다. 국민의힘은 ‘당원 투표 50%·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지만,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는 국민 경선 100% 등으로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어느 편이 한 전 권한대행에 유리할지에 대해선 이견이 있다. 한 전 권한대행은 중도 확장성에 강점이 있는 주자로 여겨지는데, 출마 여론은 오히려 강성 보수 지지층에서 비롯됐다는 독특한 정치적 위상 때문이다.

무소속 주자인 한 전 권한대행이 오히려 당심을 원하고, 국민의힘 후보가 민심을 요구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질 수도 있는 것이다. 박동원 대표는 “보통 단일화 과정에선 당내 강성 세력을 잠재우는 게 관건”이라면서도 “지금은 오히려 국민의힘 내 강성층이 한덕수를 더 원하고 있다는 게 경선을 통해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단일화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가 어느 정도가 될 지는 예단하기 어렵지만, 과거 사례보다는 약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DJP 연합은 호남과 충청의 지역 연합이면서 민주화 세력과 산업화 세력의 결합이자, 진보와 보수가 손을 맞잡는 이념적 스펙트럼의 확장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노-정 단일화도 진보와 중도보수 후보 간의 연합 성격이 컸고, 2022년 ‘윤석열-안철수’ 단일화의 경우 정권교체를 위한 당 대 당의 결합이기도 했다.

이에 비해 국민의힘 후보와 한 전 총리와의 단일화는 후보 개인기에 기대는 측면이 강하고, ‘반이재명’과 개헌 등 정치 아젠다를 고리로 한 연대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박동원 대표는 “개헌 등 정치개혁이나 ‘윤석열 대 이재명’으로 상징되는 극단적 정치의 종식을 내걸어 중도층을 끌어들이려는 것”이라며 “구도 자체가 DJP 연합이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처럼 세력 간 결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덕수 추대론이 국민의힘 내부에서 발화됐다는 점에서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이미 경선 단계에서부터 예상됐던 시나리오로 극적 요소가 없기 때문에 컨벤션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중도층은 비상계엄 사태 중심에 있는 한 전 총리 출마 자체에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78 [단독] ‘김건희 선물’ 고리됐나…캄보디아 사업 지원 ‘7억→30억’ 대폭 확대 랭크뉴스 2025.05.03
47577 "장 보면 한숨만"‥'계속' 치솟는 식품 물가 랭크뉴스 2025.05.03
47576 내달 14일 미 육군 창설 250주년 군사 퍼레이드… 트럼프 생일과 겹쳐 랭크뉴스 2025.05.03
47575 트럼프, 내년 비군사지출 22% 삭감 추진…대외원조 68조원 ↓ 랭크뉴스 2025.05.03
47574 극장에서 볼 한국 영화 없다는데… [라제기의 슛 & 숏] 랭크뉴스 2025.05.03
47573 ‘李 습격 모의 대인 접촉 자제’에…국민의힘 “파기환송심 지연 꼼수” 랭크뉴스 2025.05.03
47572 ‘유심 해킹 사태’ SKT, 최고 단계 비상경영체제 돌입 랭크뉴스 2025.05.03
47571 SKT "유심 교체 못 한 출국자, 피해 생기면 책임지고 보상" 랭크뉴스 2025.05.03
47570 국힘 최종 후보 선출‥이재명 강원도 '경청투어' 랭크뉴스 2025.05.03
47569 트럼프, 반기 든 하버드에 "면세 지위 박탈할 것"… 하버드 반발 랭크뉴스 2025.05.03
47568 "그만해" 애원에도 뺨 내리쳤다…'송도 학폭' 영상 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5.03
47567 국힘, 李 '습격모의로 대인접촉 자제'에 "파기환송심 지연 꼼수" 랭크뉴스 2025.05.03
47566 이재명 측 "피습 모의 제보 잇따라…대인 직접 접촉 어렵다" 랭크뉴스 2025.05.03
47565 지방간은 술 때문? 그보다 더 큰 원인 있다! [건강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5.03
47564 동급생 때리는 학폭 영상 SNS서 논란…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5.03
47563 '디올백 사건' 닮은 김여사 '건진 의혹'…'고가목걸이 나와야 처벌'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5.05.03
47562 “AI 발전은 GDP를 증가시킬까?” 메타와 MS의 전망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3
47561 속초 찾은 李 “여러분이 세상 일 다 결정”… 안전 우려에 악수는 제한 랭크뉴스 2025.05.03
47560 이재명측 "후보 습격모의 잇단 제보…대인접촉 어려워" 경호 강화 랭크뉴스 2025.05.03
47559 [속보] 이재명 측 “후보 피습 모의 제보 잇따라…대인 직접 접촉 어려워”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