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심 징역형은 가중 영역
전합 유죄 취지에 감경 여지 희박 전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골목골목 경청투어' 접경지역 방문 이틀째인 2일 강원도 화천군 중앙로 거리에서 지지자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서울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허위사실공표 혐의 사건이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되면서, 파기환송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법조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미 1심 재판부가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데다, 해당 형량이 양형기준상 ‘가중 영역’에 해당해 실형이나 피선거권 제한 수준의 벌금형이 다시 선고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서울고등법원은 2일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기록이 법원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대법원이 1일 전원합의체를 통해 2심 무죄 판결을 유죄 취지로 파기한 지 하루 만이다. 통상 파기환송 사건은 며칠 내 송부되지만, 하루 만에 사건이 회송된 점은 이례적이다. 사안의 시급성과 정치적 중대성이 고등법원에도 전달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1일 선고 기일에서 이 후보가 언론 인터뷰 등에서 “‘김문기를 몰랐다’는 발언”과 “‘국토부의 협박으로 백현동 용도변경을 했다’는 발언” 모두가 허위사실공표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해당 발언들이 유권자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이며, 선거인의 일반적 인식 기준에 비춰봤을 때 “단정적이고 구체적인 허위”로 받아들여진다고 봤다. 특히 2심의 ‘다의적 표현’이라는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고, 전체 맥락상 유권자가 거짓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시했다.

공직선거법상 당선목적 허위사실공표죄(제250조 제1항)의 양형기준에 따르면, 기본 양형은 벌금 200만 원~800만 원 또는 최대 징역 10월이고, 가중 영역은 벌금 500만 원~1000만 원 또는 징역 8개월~2년이다. 1심에서 선고된 징역 1년은 이 중에서도 가중 영역에 해당하며, 사안의 중대성과 피고인의 책임이 무겁다고 판단한 결과로 해석된다.

고등법원 부장판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전원합의체 판단은 단순한 파기 결정이 아니라, 사실상 하급심이 따라야 하는 법적 기준을 제시한 것”이라며 “파기환송심에서 다시 무죄가 나올 가능성은 매우 낮고, 양형 수준도 피선거권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낮게 나올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형사법 전문 변호사도 “1심에서 실형이 선고됐다는 건 재판부가 감경 사유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벌금형으로 내려간다 해도 100만 원 미만이 나올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직선거법 제18조는 벌금 100만 원 이상이 확정될 경우 5년간 피선거권을 제한한다. 이 사건처럼 1심에서 가중 양형이 선고된 사례라면, 파기환송심에서 형이 감경되더라도 피선거권 유지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특히 당선 목적이 명확한 공표 행위일수록 양형 기준은 엄격하게 적용된다.

법조계에선 파기환송심도 빠르면 한 달 내로 마무리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대법원이 사건 접수 후 불과 34일 만에 전원합의체 결정을 내린 만큼, 사안의 정치적·공적 중대성이 하급심에도 강하게 전달됐다는 분석이다. 파기환송심에서 유죄가 확정될 경우, 이 후보는 향후 총선·대선 출마는 물론 정치 활동 전반에 중대한 제약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24 김문수, 1박2일 영남행… 한덕수, 관훈토론회 후 이낙연과 오찬 랭크뉴스 2025.05.06
48723 한동훈 “김·한 단일화 이럴 줄 몰랐나…부끄러운 모습” 랭크뉴스 2025.05.06
48722 백악관, 트럼프 ‘외국영화 100% 관세’ 선언에 “아직 최종 결정 아냐” 랭크뉴스 2025.05.06
48721 워런 버핏 은퇴 선언에…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 5% 하락 랭크뉴스 2025.05.06
48720 김재원 “김문수, 전당대회에서 본인 끌어내리려나 강한 의심” 랭크뉴스 2025.05.06
48719 백종원 “현재 촬영 중인 방송 제외하고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랭크뉴스 2025.05.06
48718 "벌써 암치료 끝? 옷 갈아입는 시간보다 짧았다"…중입자치료 2년 랭크뉴스 2025.05.06
48717 ‘한은 마통’ 71조 빌려 쓴 정부…1분기 이자만 445억 랭크뉴스 2025.05.06
48716 '음주측정 거부'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 50대 벌금 700만원 랭크뉴스 2025.05.06
48715 서울시 추진 ‘김병주 도서관’ 논란…“홈플 먹튀사태 잊었나” 랭크뉴스 2025.05.06
48714 삼엄한 콘클라베…바티칸, 영토 내 휴대전화 송출신호 차단 랭크뉴스 2025.05.06
48713 트럼프 두 아들, 아버지 이름 이용해 ‘현금 러시’…부동산·암호화폐 사업 열중 랭크뉴스 2025.05.06
48712 중국은 왜 ‘한국 국채’에 눈독 들일까 랭크뉴스 2025.05.06
48711 내일부터 콘클라베…“실제 삶 가까이 있는 목자여야” 랭크뉴스 2025.05.06
48710 고교 학폭 심의건수 7천건 넘어…"학폭 처분, 대입에 치명적" 랭크뉴스 2025.05.06
48709 국민의힘, 김문수 요구 수용해 선대위 의결…10~11일 전당대회 소집 랭크뉴스 2025.05.06
48708 트럼프 “2주 내 의약품 관세 서명…의약품 가격 관련 큰 발표” 랭크뉴스 2025.05.06
48707 "트럼프 영화 관세 표적은 할리우드 아웃소싱·외국 인센티브" 랭크뉴스 2025.05.06
48706 트럼프, 교황 합성 사진 논란에 "아내는 귀엽다더라" 랭크뉴스 2025.05.06
48705 “87체제 넘겠다” 개헌 한목소리…이번엔 다를까? [공약검증]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