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원 76만 명 대상 문자 메시지 발송
당원투표 50% 반영… '유일' 선거운동
한동훈 10억 원 이상… 김문수 2억 수준
30일 국회 본청 복도에 김문수(왼쪽),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고영권 기자


"한동훈 전 대표 쪽은 당원 문자만 10억 원은 썼을 거다."

대선은 '쩐의 전쟁'이다. 말 그대로 '억' 소리가 난다. 본선에 들어가기 전 경선 단계인데도 그렇다. 선거 사무실 임대료 등 고정비를 제외하고도 당원 대상 문자 메시지 발송 등에 큰돈이 든다. 더구나 이번 국민의힘 대선 경선의 경우 별도의 지역 순회 연설회 등을 실시하지 않아 문자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투표권을 가진 당원들에게 자신의 강점을 직접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방법이 문자 외엔 없는
탓이다.

1건 발송에 10원 남짓이니 대수롭잖게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번 국민의힘 경선의 당원 선거인단은 76만여 명, 이들의 투표가 50% 반영된다. 국민의힘은 이들의 휴대전화번호를 안심번호로 바꿔 2차 경선 전 제공했다. 짧은 문자(SMS) 한 번만 전 당원에게 보내도 760만 원이 들어간다. 긴 문자(LMS)는 건당 30원 가까이, 사진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는 건당 60원 이상 든다. 대량으로 계약하면 단가가 떨어진다고 하지만, MMS 한 건을 보내는 데 최소 5,000여만 원이 든다는 게 각 캠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당의 경선엔 공직선거법상 문자 메시지 8회 제한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캠프의 역량에 달렸다.

어느 후보자가 가장 적극적일까. 후원금 한도 29억4,000만 원을 11시간 만에 채운 한동훈 전 대표 측 물량 공세가 눈에 띈다. 한국일보가 1일 복수의 국민의힘 당원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한 전 대표는 지난달 23일부터 전날까지 20여 건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이 중 사진을 포함한 MMS가 12건을 넘는다. 10억 원 수준의 돈이 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결선 투표를 하루 앞둔 전날 4건(MMS 3건)의 문자를 보냈는데,
하루에만 2억 원 가까운 돈을 쓴
셈이다. 문자 메시지 발송 비용은 후원금으로 쓸 수 있다.

상대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측은 상대적으로 미진하다. 같은 기간 9건의 메시지를 보냈는데, 사진을 포함한 MMS는 1건이다. 나머지는 모두 LMS다. LMS엔 통상 후보의 강점을 알릴 수 있는 유튜브나 기사 링크를 함께 첨부한다. 링크를 클릭해야 하기 때문에 사진보다는 도달률이 떨어진다. 모두 2억, 3억 원 정도 지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선 진출에 실패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측은 10여 건, 안철수 의원은 4건의 문자를 보냈다. 김문수 캠프 등은 후원금 모금 상황을 공개하지 않았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출마한 김문수(오른쪽)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측이 발송한 MMS. 김문수·한동훈 캠프


문자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당원 투표를 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주거나, 각종 여론조사에서 자신이 후보들 중 1위를 달리고 있다는 내용을 강조한다. 자신에게 유리한 내용만 강조하려다 보니 촌극이 벌어지기도 한다. 한 전 대표 측은 '국민의힘 후보 중'이란 글자를 작게 적고 '1위'만 강조한 MMS를 보냈다. 김 전 장관 측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비교 우위를 강조하기 위해서 넉 달 전 여론조사를 MMS로 보내기도 했다.

문자 발송량 차이에 대한 해석은 엇갈린다. 한 전 대표 측이 상승세를 굳히기 위해 막판 마케팅에 나섰다는 평가도 있지만, 당심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지적도 있다. 당심에서 유리하다고 평가받는 김 전 후보 측이 여유를 보인 것이란 평가도 있지만, 상대적 자금난이 원인이란 지적도 있다. 경선에서 패배할 경우 남은 후원금은 소속 정당에 넘기는 게 일반적이다. 남기지 않고 사용하는 게 캠프 입장에선 유리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3 "11인 출석하면 의결 가능"...이주호 국무회의, 법적 문제없다 랭크뉴스 2025.05.02
47212 “거꾸로 뒤집힌 한국”...이재명 판결에 외신도 ‘깜짝’ 랭크뉴스 2025.05.02
47211 ‘20년 만에 재혼’ 이상민, 혼인신고 완료… 전처 이혜영 “행복한 가정 꾸렸으면” 응원 랭크뉴스 2025.05.02
47210 한덕수, ‘개헌 빅텐트’로 反이재명 세력 규합... 첫 행보는 ‘약자 동행’(종합) 랭크뉴스 2025.05.02
47209 ‘대통령 되면 형사재판 정지’…민주, 법사위 상정 강행 랭크뉴스 2025.05.02
47208 “12·3내란, 다 잊은 줄 아나봐”…쪽방촌 찾은 한덕수 향한 냉소 랭크뉴스 2025.05.02
47207 테슬라, 머스크 해임설 일축…이사회 “CEO는 변함없이 머스크” 랭크뉴스 2025.05.02
47206 민주,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정지' 형소법 개정안 법사위 상정 랭크뉴스 2025.05.02
47205 '탐정 변호사' 손수호 "이재명 재판 '헌법 84조' 해석, 결국 헌재 갈 수도" 랭크뉴스 2025.05.02
47204 [단독] 국힘, '이재명 재판지연 방지법' 발의... 형소법 개정안 추진 '맞불' 랭크뉴스 2025.05.02
47203 서울 잠실 롯데월드 내 마트서 화재… 51분 만에 진화 랭크뉴스 2025.05.02
47202 "제가 조희대 동기인데 충격!" 목소리 높아진 강금실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02
47201 '비상계엄 사태' 박성재 법무장관 조사한 검사, 돌연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5.02
47200 “李, 피선거권 박탈 유력” 법조계의 파기환송심 관측 랭크뉴스 2025.05.02
47199 민주당 지도부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 주장 랭크뉴스 2025.05.02
47198 법사위, '대통령 되면 형사재판 정지' 법 개정안 상정 랭크뉴스 2025.05.02
47197 "ADHD가 의심된다"는 교사 전화 받았다면, '버럭' 하기 전에... 랭크뉴스 2025.05.02
47196 민주당 일각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 주장 랭크뉴스 2025.05.02
47195 '입시 비리' 벌금 1000만원 조민, 판결 확정... 양측 상고 안 해 랭크뉴스 2025.05.02
47194 "고연봉 약속에…" 반도체 핵심기술 털어 중국업체 이직한 삼성맨 랭크뉴스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