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청탁 의혹 참고인 신분으로 압수수색
검찰, 조만간 피의자로 전환 가능성
청탁금지법 위반 놓고 논쟁 재점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지난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권도현 기자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청탁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지난달 30일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살고 있는 집을 압수수색했다. 이날 김 여사는 ‘참고인’ 신분으로 수색을 받았는데 조만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검찰은 2022년 윤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윤모 전 통일교(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본부장이 ‘전씨에게 김 여사 선물용으로 고가의 가방과 목걸이 등을 전달한 정황을 파악했다. 이날 수색을 위해 제시한 영장에도 ‘전씨가 김 여사에게 윤 전 본부장이 요청한 대통령 취임식 초청과 통일교 사업 관련 편의 등을 청탁한 것으로 의심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김 여사가 ‘청탁 의혹’의 당사자로 꼽히면서 지난해 검찰이 무혐의 처분을 한 이른바 ‘디올백 사건’도 다시 거론된다. 김 여사는 2022년 최재영 목사로부터 300만원 상당의 ‘디올’ 가방과 179만 원 상당의 화장품 등을 받았다. 최 목사는 디올 가방 선물 전후로 김창준 전 미국 하원의원의 국립묘지 안장과 통일TV 송출 재개 등 민원을 김 여사 측에 전달했다. 최 목사는 이후 이런 선물들이 윤 전 대통령 직무 관련 청탁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최 목사의 선물이 윤 전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아 청탁금지법 위반이 아니라고 봤다. 청탁금지법은 ‘공직자의 배우자는 공직자의 직무와 관련해 수수 금지 금품 등을 받아선 안 된다’고 규정한다. 검찰은 최 목사가 건넨 것들이 김 여사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거나 접견 기회를 얻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이라고 봤다. 이런 논리와 함께 청탁금지법상 공직자의 배우자 처벌 조항이 없다는 점을 들어 검찰은 김 여사에 대해 무혐의로 결론 내렸다.

전문가들은 이른바 ‘건진법사 게이트’와 ‘디올백 사건’은 수사의 흐름부터 다르다고 본다. 전씨에게 김 여사 선물을 건넨 윤씨가 윤 전 대통령과 2022년 3월 독대했다고 말하는 등 직무관련성을 의심할만한 정황이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다. 통일교 안팎에서는 윤 전 본부장이 통일교의 캄보디아 사업 등에서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지원을 받기 위해 전씨를 통해 윤 전 대통령 쪽에 줄을 댔다는 얘기도 나온다.

곽준호 법무법인 청 변호사는 “진행 상황을 보면 김 여사의 피의자 전환은 시간문제일 수 있다”며 “(현재 나오는 정황 등을 고려했을 때) ‘디올백 사건’때와는 출발 선상이 다르다”고 했다. 곽 변호사는 “청탁금지법에 배우자에 대한 처벌 조항이 없기는 하지만 법의 취지를 고려한다면 공직자의 배우자에게 금품을 제공해도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이번에도 청탁금지법 위반에 배우자인 김 여사도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불거질 수 있다”고 했다.

수사 내용에 따라 김 여사에겐 청탁금지법뿐만 아니라 알선수재죄나 제3자 뇌물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창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변호사는 “현재 드러나는 정황을 봤을 때 직무관련성 뿐만 아니라 대가성이 개입됐을 여지도 있어 보인다”며 “청탁금지법 위반 요건에 더해 대가성이 인정되면 뇌물죄도 성립되기에 제3자 뇌물죄, 알선수재죄 등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검찰은 윤 전 본부장이 2022년 3월 당선인 신분인 윤 전 대통령을 만났고, 이후 전씨에게 목걸이 등 김 여사 선물용 금품을 전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씨는 검찰 조사에서 “(김 여사에게 전달하지 않고)목걸이를 잃어버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34 민주 "조희대, 李재판 미뤄라"…12일전 답 없으면 '줄탄핵' 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533 문형배 전 대행, 탄핵 선고 늦어진 이유 밝혔다…"'○○○○ 위해서" 랭크뉴스 2025.05.05
48532 '탄핵'도 '불경기'도 뚫었다...더 강력해진 ‘프로야구 사랑’ 랭크뉴스 2025.05.05
48531 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30 [여론조사①] "정권교체 56%, 그대로 36%"‥이재명 지지층 93% "계속 지지" 랭크뉴스 2025.05.05
48529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해야”…민주당, 재판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528 이재명, 대선 후가 더 문제···‘헌법 84조’ 판단은 누가? 당선돼도 혼란 계속[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5.05
48527 [여론조사②] 보수 단일화해도 이재명 50%‥김문수는 29%, 한덕수는 32% 랭크뉴스 2025.05.05
48526 한동훈, ‘당원가입’ 독려 “당 버리지 않는다”···당권 행보 조기 시동? 랭크뉴스 2025.05.05
48525 국민의힘 곧 의원총회…단일화 압박에 김문수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5.05
48524 이재명, 조희대 탄핵론에 당과 선긋기…대선 전 ‘투트랙’ 펴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523 "후보 권리 침해" "당헌 위 군림"…김문수∙당지도부, 단일화 전면전 랭크뉴스 2025.05.05
48522 김문수-국힘 지도부, 당무우선권 충돌…단일화 온도차에 갈등 확산 랭크뉴스 2025.05.05
48521 ‘빅텐트와 거리두기’ 이준석 “대선 완주… 내 이름 올리지도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20 정의당, '민주노동당'으로 대선 나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19 이준석 “국힘, 빅텐트 단일화에 내 이름 올리지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18 새벽 시간 고가교 걷던 노인 치어 숨지게 한 운전자...법원, 무죄 선고 랭크뉴스 2025.05.05
48517 [속보] 이재명 “김문수·한덕수 내란연대인가” 단일화 논의 직격 랭크뉴스 2025.05.05
48516 ‘당무우선권’ 카드 빼 든 김문수에 반박, 재반박… 갈등 일파만파 랭크뉴스 2025.05.05
48515 언덕에 흰 페인트칠…‘짝퉁 후지산’ 만든 中관광지 빈축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