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게임업계 20대 직원 수 2년 새 30.6% 감소
50대 이상 직원 수는 61.5% 증가
인구 고령화로 게이머도 늙어가
1020세대 국산 게임 안 해… 글로벌 경쟁력 약화 우려

그래픽=챗GPT

최근 게임업계에서 2030세대 직원 수는 줄어드는 반면, 4050세대 직원 수는 늘고 있다. 게임 산업 침체로 신입 직원 채용이 줄자 게임업계가 고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게임사들은 신규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매출이 보장되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만 내놓는 상황이다. 향후 게임 산업의 주 소비층이 될 1020세대가 국산 게임을 외면하면 우리 게임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 게임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게임업체들의 청년(만 34세 이하) 직원 수는 ▲2020년 5만3814명 ▲2021년 5만765명 ▲2022년 4만5860명 등으로 줄고 있다. 특히 20대 직원 수는 2022년 2만4822명으로 2020년(3만5787명) 대비 30.6% 줄었다.

반면 4050대 직원 수는 증가하고 있다. 2020년 1만4360명이었던 4050대 직원 수는 2021년 1만5174명, 2022년 1만8694명 등으로 늘어났다. 특히 50대 이상 직원 수는 2022년 4612명으로 2020년(2854명) 대비 61.5%가량 증가했다.

게임업계는 최근 국내 게임 산업이 침체기를 겪으며 신입 채용이 줄어든 점을 원인으로 들고 있다. 게임사들은 신작 라인업을 통해 성장 동력 마련에 집중하고 있지만, 신작 개발에 필요한 신입 인력 채용에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비용 절감을 위해 개발 프로젝트에 즉시 투입이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것이다. 일부 주요 게임업체의 경우 1990~2000년대 IT 붐과 함께 유입됐던 창업 1세대 멤버가 여전히 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게이머들이 고령화되고 있는 점도 신입 채용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 중 하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년 게임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40대의 60.7%, 50대의 44.6%가 게임을 한다고 답했다. 60대 게이머도 31.1%에 달했다. 지난 2016년 조사에서 40대 게임 이용률이 50.8%였던 점을 고려하면 게이머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리니지 게임.

게임산업의 특성상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문화가 중요하지만, 국내 게임업계는 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에 역행하고 있다. 인력 구조가 고령화될 경우 높은 숙련도로 게임 개발 일정은 앞당길 수 있지만, 혁신이 둔화할 수 있다. 실제 국내 게임사들은 신규 IP 발굴 대신 매출이 보장되는 인기 IP 게임을 재탕하고 있다. ‘리니지’나 ‘바람의 나라’ 등이 주도한 MMORPG의 주요 유저층이 4050세대인 만큼, 국내 게임 시장이 MMORPG 장르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 둔화와 글로벌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향후 게임 산업의 주 소비층이 될 1020 이용자들이 국산 게임을 즐기지 않는 것도 문제다.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2024년 연령대별 게임 앱 월간활성이용자수(MAU)’에 따르면 10대 이하 이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한 게임 앱 상위 10개 중 국산 게임은 단 하나뿐이었다. 3위를 차지한 어썸피스의 2D 액션 게임 ‘좀비고등학교’가 주인공이다. 20대 역시 10위까지 인기 모바일 게임 앱 중 국산 게임은 10위를 기록한 111퍼센트의 타워디펜스 게임 ‘운빨존많겜’뿐이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종사자와 이용자 모두 고령화하며 게임사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많다”며 “게임의 경우 흥행이 가장 중요한데, 게임사들이 매출이 보장되는 게임만 만들다 보니 경력자 위주로 채용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젊은 층을 공략하려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야 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젊은 개발자 확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49 민주당 "대선후보 재판 모두 미뤄야"‥"12일까지" 기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548 "최서원, 감옥 있는 줄 알았는데"…한달여 석방 됐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5.05
48547 국힘 지지층선 “한덕수로 단일화” 응답 2배지만…“누가 되든 대패” 랭크뉴스 2025.05.05
48546 김문수 측근 차명진 전 의원 “당이 단일화 협박, 있을 수 없는 일” 랭크뉴스 2025.05.05
48545 [여론조사②] 단일화해도 "이재명 50%"‥대구·경북도 "이재명 유력" 랭크뉴스 2025.05.05
48544 또 불거진 임도 논란…‘효율 vs 환경’ 접점은? 랭크뉴스 2025.05.05
48543 [속보] 국힘, ‘단일화’ 의총 시작…의원들 “김문수 너무 믿었다” “사기 행각” 랭크뉴스 2025.05.05
48542 “옛 영광 어디에” 무너져 내리는 ‘지역 최대 상권들’ 랭크뉴스 2025.05.05
48541 문형배 전 대행 "만장일치 만들어 보려고 탄핵 심판 선고 늦어" 랭크뉴스 2025.05.05
48540 중원 찾은 이재명 "尹이 국민에 겨눈 총탄보다 강한 게 투표지"(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539 3년 전엔 아무것도 없었는데…美위성 포착된 中 거대 시설은 랭크뉴스 2025.05.05
48538 포항 호미곶서 길이 7m 밍크고래 잡혔다…낙찰가 무려 랭크뉴스 2025.05.05
48537 한덕수 “정치권, 국가 과제 외면… 통상 문제 3년 임기 내 매듭” 랭크뉴스 2025.05.05
48536 차기 교황 선출 앞두고 판돈 264억…프란치스코 당시 50배 랭크뉴스 2025.05.05
48535 한덕수, 개헌 빅텐트 구축에 속도... 단일화는 지지부진 랭크뉴스 2025.05.05
48534 민주 "조희대, 李재판 미뤄라"…12일전 답 없으면 '줄탄핵' 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533 문형배 전 대행, 탄핵 선고 늦어진 이유 밝혔다…"'○○○○ 위해서" 랭크뉴스 2025.05.05
48532 '탄핵'도 '불경기'도 뚫었다...더 강력해진 ‘프로야구 사랑’ 랭크뉴스 2025.05.05
48531 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30 [여론조사①] "정권교체 56%, 그대로 36%"‥이재명 지지층 93% "계속 지지"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