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게임업계 20대 직원 수 2년 새 30.6% 감소
50대 이상 직원 수는 61.5% 증가
인구 고령화로 게이머도 늙어가
1020세대 국산 게임 안 해… 글로벌 경쟁력 약화 우려

그래픽=챗GPT

최근 게임업계에서 2030세대 직원 수는 줄어드는 반면, 4050세대 직원 수는 늘고 있다. 게임 산업 침체로 신입 직원 채용이 줄자 게임업계가 고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게임사들은 신규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매출이 보장되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만 내놓는 상황이다. 향후 게임 산업의 주 소비층이 될 1020세대가 국산 게임을 외면하면 우리 게임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 게임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게임업체들의 청년(만 34세 이하) 직원 수는 ▲2020년 5만3814명 ▲2021년 5만765명 ▲2022년 4만5860명 등으로 줄고 있다. 특히 20대 직원 수는 2022년 2만4822명으로 2020년(3만5787명) 대비 30.6% 줄었다.

반면 4050대 직원 수는 증가하고 있다. 2020년 1만4360명이었던 4050대 직원 수는 2021년 1만5174명, 2022년 1만8694명 등으로 늘어났다. 특히 50대 이상 직원 수는 2022년 4612명으로 2020년(2854명) 대비 61.5%가량 증가했다.

게임업계는 최근 국내 게임 산업이 침체기를 겪으며 신입 채용이 줄어든 점을 원인으로 들고 있다. 게임사들은 신작 라인업을 통해 성장 동력 마련에 집중하고 있지만, 신작 개발에 필요한 신입 인력 채용에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비용 절감을 위해 개발 프로젝트에 즉시 투입이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것이다. 일부 주요 게임업체의 경우 1990~2000년대 IT 붐과 함께 유입됐던 창업 1세대 멤버가 여전히 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게이머들이 고령화되고 있는 점도 신입 채용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 중 하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년 게임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40대의 60.7%, 50대의 44.6%가 게임을 한다고 답했다. 60대 게이머도 31.1%에 달했다. 지난 2016년 조사에서 40대 게임 이용률이 50.8%였던 점을 고려하면 게이머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리니지 게임.

게임산업의 특성상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문화가 중요하지만, 국내 게임업계는 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에 역행하고 있다. 인력 구조가 고령화될 경우 높은 숙련도로 게임 개발 일정은 앞당길 수 있지만, 혁신이 둔화할 수 있다. 실제 국내 게임사들은 신규 IP 발굴 대신 매출이 보장되는 인기 IP 게임을 재탕하고 있다. ‘리니지’나 ‘바람의 나라’ 등이 주도한 MMORPG의 주요 유저층이 4050세대인 만큼, 국내 게임 시장이 MMORPG 장르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국내 게임산업의 성장 둔화와 글로벌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향후 게임 산업의 주 소비층이 될 1020 이용자들이 국산 게임을 즐기지 않는 것도 문제다.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2024년 연령대별 게임 앱 월간활성이용자수(MAU)’에 따르면 10대 이하 이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한 게임 앱 상위 10개 중 국산 게임은 단 하나뿐이었다. 3위를 차지한 어썸피스의 2D 액션 게임 ‘좀비고등학교’가 주인공이다. 20대 역시 10위까지 인기 모바일 게임 앱 중 국산 게임은 10위를 기록한 111퍼센트의 타워디펜스 게임 ‘운빨존많겜’뿐이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종사자와 이용자 모두 고령화하며 게임사 내부적으로도 고민이 많다”며 “게임의 경우 흥행이 가장 중요한데, 게임사들이 매출이 보장되는 게임만 만들다 보니 경력자 위주로 채용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젊은 층을 공략하려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야 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젊은 개발자 확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28 이재명, 대선 후가 더 문제···‘헌법 84조’ 판단은 누가? 당선돼도 혼란 계속[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5.05
48527 [여론조사②] 보수 단일화해도 이재명 50%‥김문수는 29%, 한덕수는 32% 랭크뉴스 2025.05.05
48526 한동훈, ‘당원가입’ 독려 “당 버리지 않는다”···당권 행보 조기 시동? 랭크뉴스 2025.05.05
48525 국민의힘 곧 의원총회…단일화 압박에 김문수 측 반발 랭크뉴스 2025.05.05
48524 이재명, 조희대 탄핵론에 당과 선긋기…대선 전 ‘투트랙’ 펴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5
48523 "후보 권리 침해" "당헌 위 군림"…김문수∙당지도부, 단일화 전면전 랭크뉴스 2025.05.05
48522 김문수-국힘 지도부, 당무우선권 충돌…단일화 온도차에 갈등 확산 랭크뉴스 2025.05.05
48521 ‘빅텐트와 거리두기’ 이준석 “대선 완주… 내 이름 올리지도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20 정의당, '민주노동당'으로 대선 나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19 이준석 “국힘, 빅텐트 단일화에 내 이름 올리지 말라” 랭크뉴스 2025.05.05
48518 새벽 시간 고가교 걷던 노인 치어 숨지게 한 운전자...법원, 무죄 선고 랭크뉴스 2025.05.05
48517 [속보] 이재명 “김문수·한덕수 내란연대인가” 단일화 논의 직격 랭크뉴스 2025.05.05
48516 ‘당무우선권’ 카드 빼 든 김문수에 반박, 재반박… 갈등 일파만파 랭크뉴스 2025.05.05
48515 언덕에 흰 페인트칠…‘짝퉁 후지산’ 만든 中관광지 빈축 랭크뉴스 2025.05.05
48514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해야…대법관 탄핵, 당 판단 존중" 랭크뉴스 2025.05.05
48513 이재명, 대법관 탄핵 검토에 “당 판단 존중” 랭크뉴스 2025.05.05
48512 쪽방촌 주민 “한덕수, 우리 얘기 안 들어…사진만 찍고 가더라” 랭크뉴스 2025.05.05
48511 ‘김건희로 수렴하는 건진법사 수사’···통일교 전 간부 부부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5.05
48510 민주당 “이재명 재판, 대선 이후로 변경 요청···대법원은 12일 전까지 답하라” 랭크뉴스 2025.05.05
48509 이준석 “이쯤되면 2차 가해…단일화에 내 이름 빼라”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