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종 판단 재상고심까진 시간 더 걸려
대법원, 이례적 '신속 판단' 배경 설명
"1·2심 지연, 판단 엇갈리며 사법 불신"
'대선 개입' 의식한 듯 미국 사례도 거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종로구의 한 포장마차에서 열린 배달라이더, 택배기사 등 비전형 노동자들과 간담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이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사진공동취재단


대법원이 정치에 개입한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파기환송한 배경엔 선거법 사건을 '적시 처리'해야 한다는 판단이 있었다. 다만 파기환송심과 재상고심을 거치다 보면 6·3 대선 전까진 최종 선고가 어려워 이 후보의 대선 출마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대법원 "사건 적시 처리 도모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1일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사건 접수 34일 만으로, 공직선거법 제270조가 정하고 있는 이른바 '6·3·3'(1심은 공소제기 후 6개월, 2·3심은 선고 후 3개월 내 판결) 규정에 비춰봐도 매우 빨리 결론을 낸 셈이다. 일각에서 "대법원의 대선 개입"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대법원도 이런 점을 의식한 듯 선고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사건의 적시 처리를 도모했다"며 판결을 앞당긴 이유를 설명했다. 대법원은 "
기소부터 상고심 접수까지 2년 6개월이 걸린 1·2심 절차 지연, (유죄와 무죄로) 엇갈린 실체 판단으로 인한 혼란 및 사법 불신 정도의 세기가 유례 없는 수준이라고 인식했다
"고 밝혔다. 이런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사건 접수 직후부터 사실관계 파악과 법리 검토에 착수했고 "치열한 토론을 거쳐 신속하고 충실하게 사건을 심리해 결론에 이르렀다"고 전했다.

대법원은 "공직 선거에 관한 신속 재판 사례는 외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며 2000년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까지 거론했다. 대법원은 "미 연방대법원은 2000년 조지 워커 부시와 앨 고어가 경쟁한 대통령 선거 직후 재검표를 둘러싸고 혼란이 벌어지자, 재검표를 명한 플로리다 주(州)대법원 재판에 대한 불복 신청이 연방대법원에 접수된 후 불과 3~4일 만에 재검표 중단을 명하는 종국 재판을 내려 혼란을 종식시켰다"고 강조했다.

파기환송심 1~2달은 더 걸려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판결을 한 1일 이 후보가 전국 각지에서 민심을 듣는 '골목골목 경청투어'를 시작하며 경기 포천시 중앙로에서 시민들을 만나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날 유죄 취지로 사건을 돌려보낸 만큼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선고될 가능성은 사라졌다. 하지만 이 후보의 대선 출마가 불가능한 건 아니다. 한 달 남짓 남은 대선 전까지 파기환송심을 거쳐 재상고심에서 이 후보의 형이 확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파기환송심은 대법원이 소송기록을 서울고법으로 보내 사건이 접수되면 시작된다. 서울고법은 배당을 통해 파기환송을 심리할 재판부를 정하는데, 이 후보 사건 항소심을 심리했던 형사6부는 제외된다. 피고인 출석 의무가 없는 상고심과 달리 파기환송심에선 피고인인 이 후보가 출석해 재판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검찰과 이 후보 측이 의견서와 증인 신청을 받고 공판기일을 열어 심리하다 보면 절차적으로 최소한 한두 달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이 후보가 재판 지연을 위해 불출석하더라도 공직선거법 사건에선 피고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두 번 이상 불출석하면 궐석재판을 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파기환송심이 대선 전에 신속하게 선고되더라도 이 후보가 재상고하면 형 확정까진 다시 시간이 걸린다. 형사소송법상 상고장 제출까지는 7일, 상고이유서 제출까지는 20일이 주어진다. 이 후보가 서류 송달을 받지 않거나 기한이 임박해 상고이유서를 제출하면 대선 전 확정 판결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45 [여론조사②] 단일화해도 "이재명 50%"‥대구·경북도 "이재명 유력" 랭크뉴스 2025.05.05
48544 또 불거진 임도 논란…‘효율 vs 환경’ 접점은? 랭크뉴스 2025.05.05
48543 [속보] 국힘, ‘단일화’ 의총 시작…의원들 “김문수 너무 믿었다” “사기 행각” 랭크뉴스 2025.05.05
48542 “옛 영광 어디에” 무너져 내리는 ‘지역 최대 상권들’ 랭크뉴스 2025.05.05
48541 문형배 전 대행 "만장일치 만들어 보려고 탄핵 심판 선고 늦어" 랭크뉴스 2025.05.05
48540 중원 찾은 이재명 "尹이 국민에 겨눈 총탄보다 강한 게 투표지"(종합) 랭크뉴스 2025.05.05
48539 3년 전엔 아무것도 없었는데…美위성 포착된 中 거대 시설은 랭크뉴스 2025.05.05
48538 포항 호미곶서 길이 7m 밍크고래 잡혔다…낙찰가 무려 랭크뉴스 2025.05.05
48537 한덕수 “정치권, 국가 과제 외면… 통상 문제 3년 임기 내 매듭” 랭크뉴스 2025.05.05
48536 차기 교황 선출 앞두고 판돈 264억…프란치스코 당시 50배 랭크뉴스 2025.05.05
48535 한덕수, 개헌 빅텐트 구축에 속도... 단일화는 지지부진 랭크뉴스 2025.05.05
48534 민주 "조희대, 李재판 미뤄라"…12일전 답 없으면 '줄탄핵' 통첩 랭크뉴스 2025.05.05
48533 문형배 전 대행, 탄핵 선고 늦어진 이유 밝혔다…"'○○○○ 위해서" 랭크뉴스 2025.05.05
48532 '탄핵'도 '불경기'도 뚫었다...더 강력해진 ‘프로야구 사랑’ 랭크뉴스 2025.05.05
48531 트럼프 “영화에 관세 100%…헌법 준수? 모르겠다” 랭크뉴스 2025.05.05
48530 [여론조사①] "정권교체 56%, 그대로 36%"‥이재명 지지층 93% "계속 지지" 랭크뉴스 2025.05.05
48529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해야”…민주당, 재판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5.05
48528 이재명, 대선 후가 더 문제···‘헌법 84조’ 판단은 누가? 당선돼도 혼란 계속[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5.05
48527 [여론조사②] 보수 단일화해도 이재명 50%‥김문수는 29%, 한덕수는 32% 랭크뉴스 2025.05.05
48526 한동훈, ‘당원가입’ 독려 “당 버리지 않는다”···당권 행보 조기 시동?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