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년 물 금리, 기준금리 하회 상황 언급
“연준이 금리 낮춰야 한다는 시장의 신호”
트럼프 대통령 이틀 연속 파월 언급
국채 투매 가라앉자 인하 요구 재개 분위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미디어 브리핑 중 안경을 고쳐잡고 있다. EPA연합뉴스

[서울경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이 최근 국채 시장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신호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국채시장에서 나타났던 투매 현상이 최근 가라앉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행정부 관계자들의 금리 인하 언급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베선트 장관은 1일(현지 시간) 폭스비즈니스에 출연해 진행한 인터뷰에서 “2년 만기 금리가 현재 기준 금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시장의 신호”라고 말했다. 통상 하루 짜리 금리인 기준금리보다 2년 물 금리가 높아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금리 작동의 기본인 만큼 기준금리가 곧 2년 물 금리 수준 아래로 가야한다는 주장이다. 전날 기준 미국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615%로 마감했으며 이는 4.25~4.5%인 기준 금리 보다 낮은 수준이다.

실제로 최근 시장에서는 연준의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연내 기준금리가 4차례 인하될 확률이 한달 전 26.7%에서 현재 41% 수준으로 증가했다. 연내 3차례 인하가 유력하다고 봤던 시장의 시각이 4회 인하로 옮겨갔다. 전날 1분기 미국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이 -0.3%로 하락한 것으로 발표되고 물가와 고용도 둔화한다는 지표가 나오면서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23년 이후 대부분의 시간 동안 2년물 국채 금리는 기준 금리보다 낮았다”고 지적했다. 2년물 금리가 기준금리를 밑도는 현상이 최근 들어나타난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WSJ은 다만 베선트 장관의 금리 전망이 경제학적으로 부합하느냐 보다 그가 연준의 기준금리 방향에 대해 언급한 사실 자체에 주목했다. WSJ는 “베선트는 취임 이후 여러 인터뷰에서 연준이 이자율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짚었다. 베선트 장관은 취임 전 2026년 파월 의장의 임기 만료가 오기 전에 차기 연준 의장을 일찌감치 지명해 놓음으로써 파월 의장의 영향력을 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가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후 베선트 장관은 ‘그림자 의장’ 아이디어를 철회하고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베선트 장관의 이날 발언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 뒤이어 나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약간 내려갔지만 연준에 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며 파월 의장을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는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며 “나는 그보다 금리에 대해 훨씬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나는 정말로 금리를 활용해 본 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전날에도 트럼프는 미시간주에서 열린 취임 100일 행사에서 “파월이 자기 일을 하도록 놔둬야 하지만 나는 금리에 대해 그보다 훨씬 더 많이 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21일 전후 연준의 독립성 관련 이슈로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의 해임을 주장하고 실제 백악관이 법률 검토에 돌입했다고 밟히면서 시장에서는 국채 투매현상이 일어났다. 이후 지난달 22일 트럼프는 “해임할 의도는 없다”며 어조를 누그러뜨렸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92 "허위사실 공표" 찍힌 이재명…테마주도 심판대 오를까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5.02
46991 이재명 사법리스크에 요동치는 대선... 한덕수 단일화 변수까지 랭크뉴스 2025.05.02
46990 [단독]통일교 전 간부 "尹 1시간 만나…해외사업 동의 구했다" 랭크뉴스 2025.05.02
46989 [샷!] "이젠 전기 없으면 그냥 석기시대" 랭크뉴스 2025.05.02
46988 통상전쟁 한창인데 '경제 수장' 탄핵…통상전략 '시계제로' [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5.02
46987 너도나도 비트코인 하더니…두나무 재계 순위 17계단 상승[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5.02
46986 선거법 다시 재판받는 이재명…그밖에 남은 사건들은 어디로 랭크뉴스 2025.05.02
46985 민주당 탄핵 급발진에 최상목 사표…최악의 국정 공백 맞았다 랭크뉴스 2025.05.02
46984 '대행의 대행의 대행'…돌고돌아 이번엔 사회부총리가 '1인 3역' 랭크뉴스 2025.05.02
46983 이주호 권한대행 “공무원 정치적 중립 유지…軍 최고 수준 준비태세” 랭크뉴스 2025.05.02
46982 “시그널게이트 연루, 백악관 월츠 안보보좌관 사임 예정” 랭크뉴스 2025.05.02
46981 美 車관세 부과 시행 속 4월 현대차 판매 19%↑·기아 14%↑ 랭크뉴스 2025.05.02
46980 “이 심장은 천사가 준 거예요”… 심장이식 아동들, 기증인 가족과 눈물의 만남 랭크뉴스 2025.05.02
46979 트럼프 “한국과의 통상협상 타결 가능성” 거듭 압박 랭크뉴스 2025.05.02
46978 결정 못내린 보수의 심장… TK 민심은 랭크뉴스 2025.05.02
46977 이돈호 변호사 "나도 SKT 가입자, 집단소송 시작"…유출 데이터 '책 9000권 분량' 랭크뉴스 2025.05.02
46976 13.8조 추경 통과…지역화폐 4000억 반영, 검찰특경비 되살려 랭크뉴스 2025.05.02
46975 [뉴욕유가] 트럼프 "이란산 원유 사지 마라" 경고에 급등…WTI, 1.8%↑ 랭크뉴스 2025.05.02
46974 성탄절 사천 여고생 살해 10대 '소년법 최고형' 징역 20년 선고 랭크뉴스 2025.05.02
46973 파마머리와 "언니" 소리에 식당 女주인들 다 속았다…'황당 범죄자' 정체가 랭크뉴스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