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6조 원 상당 늘린 13.8조 원 규모
정부안보다 적자 국채 1.4조 원 추가
정부 재정 총지출 규모 687.1조 원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3.3%
'2차 추경 가능성' 재정 악화 불가피
기획재정부 전경. 세종=이유지 기자


국회가 당초 정부가 제출한 추가경정예산안(추경)보다 1조6,000억 원 상당을 순증하면서 국채 발행 규모가 10조 원에 육박하게 됐다. 산불·통상·민생 등 급한 불을 끄기 위한 조치이나, 적자성 채무 증가에 따른 재정 건전성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증액분에 대한 재원 마련을 위해 정부는 1조4,000억 원 규모의 국채를 추가로 발행한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된 추경안과 관련해 총 9조5,000억 원의 국채를 발행해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애초 12조1,565억 원 수준의 추경안을 제출했는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친 결과 1조6,205억 원(증액 1조8,843억 원·감액 2,639억 원)이 늘어난 13조7,770억 원대로 확정됐다. 이에 따라 정부 재정의 총지출은 본예산에서 계획했던 것보다 늘어 687조1,000억 원에 달한다.

앞서 기재부는 자체 추경안 재원 마련을 위해 예산에서 쓰고 남은 돈인 세계잉여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기금·주택도시기금 등을 활용해 4조1,000억 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족한 예산은 8조1,000억 원의 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계획이었다. 국회에서 늘어난 1조6,000억 원 상당은 기금 여유자금 약 1,000억 원, 국채 1조4,000억 원어치 추가 발행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결국 이번 추경을 위해 총 9조5,000억 원어치 국채를 찍어내게 된다. 다만 기재부 관계자는 "결산에서 지난해 예정보다 2조 원 이상 덜 발행된 것으로 나타나 최종 늘어나는 국채 규모는 7조4,000억 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국가채무는 본예산 대비 7조4,000억 원 늘어 1,280조8,000억 원이 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8.1%에서 48.4%로 증가한다.

향후 국민 세금 등으로 상환해야 하는 빚인 적자성 채무는 지난해 792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는데, 올해 886조7,000억 원 상당으로 12%가량 늘어난다. 나라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본예산에서 73조9,000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2.8% 상당 규모에 해당했으나 추경 후엔 각각 86조4,000억 원, 3.3%로 폭이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추경이 한 번으로 마무리 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문제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69%에 육박한다. 경기 악화에 3년 연속 세수결손이 발생할 우려도 제기돼 재정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그러나 내수 부진, 대내외 불확실성에 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대선 후 '2차 추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10 "요란한 소수가 다수 지배하면…" 김장하, 문형배에 던진 묵직한 질문 랭크뉴스 2025.05.05
48409 한덕수 “오늘 중 만나자”에 김문수 측 “정식 제안 아니었다” 단일화 신경전 랭크뉴스 2025.05.05
48408 봉축법요식 참석‥한덕수, 김문수에 회동 제안 랭크뉴스 2025.05.05
48407 데이터센터·물류센터 필수인 ‘이것’…가전회사 먹여살린다 랭크뉴스 2025.05.05
48406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했나‥가짜뉴스 퇴치해야" 랭크뉴스 2025.05.05
48405 부처님 오신날 봉축 법요식…“자비·복덕으로 맑은 정치, 따뜻한 행정 펼쳐야” 랭크뉴스 2025.05.05
48404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랭크뉴스 2025.05.05
48403 "IMF 때만큼 심각하다"...위기의 건설업 랭크뉴스 2025.05.05
48402 민주 "李 재판, 대선뒤로 미뤄라…연기않으면 고법재판 막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401 트럼프, 헌법 지킬거냐 물음에 "모르겠다" 답변 논란 랭크뉴스 2025.05.05
48400 골육종 치료차 한국에 온 10대 몽골 청년의 간절한 바람 랭크뉴스 2025.05.05
48399 완도 리조트서 일산화탄소 추정 가스 누출… 14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5.05
48398 민주당 “대선 이후로 재판 미뤄야… 거부 시 조희대 탄핵” 랭크뉴스 2025.05.05
48397 "한국 진짜 망하겠다"...일본 제치고 세계 ‘꼴찌’ 랭크뉴스 2025.05.05
48396 홍준표 "당이 날 버렸다…미국 다녀올 것" 랭크뉴스 2025.05.05
48395 한덕수 "만나자고 세 번 말해" 김문수 "그냥 말씀만 들어" 랭크뉴스 2025.05.05
48394 한국 어린이 인구 비율 10.6%…인구 4천만 이상 국가 중 최저 랭크뉴스 2025.05.05
48393 이재명 46.5%·한덕수 34.3%·이준석 5.9%…보수 단일후보 韓 30%·金 21.9% 랭크뉴스 2025.05.05
48392 국민의힘, 김문수에 ‘한덕수와 단일화’ 압박… 긴급 의총 소집 예고 랭크뉴스 2025.05.05
48391 ‘대선후보’ 첫 대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신경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