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월 24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로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가운데 한 시민이 주변을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인해 한국에서 대형 산불을 일으킬 수 있는 기상 조건의 출현 가능성이 두 배로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달 경북 산불처럼 최악의 산불을 촉발할 수 있는 고온 건조하고 강풍이 부는 날이 잦아졌다는 뜻이다.

국제 기후 연구단체인 세계기상특성(WWA)은 1일 ‘한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산불에 대한 긴급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여러 국가의 기후 과학자들이 참여해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기후변화가 한국에서 치명적인 산불 발생에 유리한 기상 조건을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화재를 촉발한 덥고, 건조하며 바람 많은 조건의 발생 가능성이 3월에 두 배로 증가했으며, 강도는 15% 더 강해졌다”고 밝혔다. 더 높은 온도로 인해 건조하고 불에 잘 타는 나무가 증가한 게 산불이 대형화하는 원인으로 꼽혔다.

연구팀은 한국 산불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기상 데이터와 기후 모델을 분석했다. 산업화 이전 대비 1.3도 온난화한 현재 기후와 산업화 이전의 기후 사이에서 기상 조건 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비교했다.

연구에 참여한 클레어 반스 박사(WWA 연구원)는 “낮은 강우량과 고온으로 인해 나무가 건조해지며 폭발적인 산불이 발생할 조건이 조성됐고, 이는 한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 시즌보다 약 4배 더 넓은 지역을 태웠다”며 “믿기 어려운 증가”라고 말했다.



경북 산불, 300년 빈도 최악 기상 조건
지난 4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촬영한 경북 지역의 모습. NASA는 빛의 대역폭 설정을 통해 불에 탄 산림과 그렇지 않은 곳을 선명하게 구분했다. 사진 NASA
특히 지난달 22일에 발생한 경북 산불은 고온·건조·강풍 등 대형산불을 일으키는 기상 조건이 이례적으로 위험한 수준에 도달했다.

연구팀이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남동부 지역의 기상 조건을 분석한 결과, 300년에 한번 꼴로 나타날 정도로 극심한 고온, 강풍, 건조 현상이 겹쳤다. 양영민 전북대 교수는 “이례적으로 높은 기온과 낮은 습도는 식물을 건조시켜 산불 위험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2~26일 경북 산불 당시 기상 조건을 분석한 결과. WWA
문제는 대형 산불 과정에서 대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면서 기후변화가 더 가속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형 산불을 유발하는 기상 조건이 더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지난달 말에 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총 366만t(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중형차 3436만 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할 때 배출하는 양이다.

연구팀은 지금 추세로 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2.6도가 상승하는 2100년이 되면 산불 위험 기상 조건이 지금보다 두 배로 증가하고, 강도 역시 5%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산불 위험의 심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조기 경보 시스템 확대 등 여러 부문의 적응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8 검찰, 건진법사 소환 조사…尹 사저 압수수색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5.03
47727 트럼프 "교황 되고 싶어" 진심이었나…SNS에 합성 사진 올렸다 랭크뉴스 2025.05.03
47726 “임시공휴일 빨리 발표하면 안 되나요?”…열흘 쉬는 10월 황금연휴는? 랭크뉴스 2025.05.03
47725 김문수, 공동선대위원장에 한동훈·안철수·나경원·양향자 임명 랭크뉴스 2025.05.03
47724 김문수 "이재명 집권하면 끔찍한 독재"…'反明 빅텐트' 통할까 랭크뉴스 2025.05.03
47723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심 결과, 대선 전이냐 후냐…송달 관건 랭크뉴스 2025.05.03
47722 김문수 선출에 민주 “빈말로도 축하 못해… 국민에 대한 배신” 랭크뉴스 2025.05.03
47721 김문수 선대위 인선…위원장에 한동훈·나경원·안철수·양향자 랭크뉴스 2025.05.03
47720 “대법원이 생중계로 낙선운동”…시민들, 사법부 분노·불안 표출 랭크뉴스 2025.05.03
47719 "둘이서 삼겹살 먹었더니 10만 원"…밖에서 밥 사 먹기가 무서워졌다 랭크뉴스 2025.05.03
47718 김문수 "한덕수가 축하 전화… 단일화 방안, 숨 돌리고 생각할 것" 랭크뉴스 2025.05.03
47717 김문수, 일본과의 관계 묻는 일본 기자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3
47716 조희대 대법원장 공수처에 고발…시민단체 “직권남용, 선거법 위반” 랭크뉴스 2025.05.03
47715 김문수, 사무총장에 장동혁 임명…비서실장엔 김재원 랭크뉴스 2025.05.03
47714 김문수, 당심 22%p·민심 3%p차 승리…'한덕수 단일화' 기대 반영 랭크뉴스 2025.05.03
47713 中 서해 구조물, 국제법상 '문제 투성이'인 이유 랭크뉴스 2025.05.03
47712 "여행 가기 이리도 힘들어서야"…연휴 첫날 고속도로 곳곳 정체 랭크뉴스 2025.05.03
47711 한동훈 깔끔한 승복 선언, 홍준표는 불참... 지지자들 "어대문수" [현장 스케치] 랭크뉴스 2025.05.03
47710 한덕수 측 "단일화 최대한 빨라야"…김문수와 '빅텐트 공감대' 랭크뉴스 2025.05.03
47709 한덕수측 “김문수 후보에 축하…국가 미래 위해 함께 협력 기대”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