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국 40개 의대 재학생 중 복귀율 25% 안팎
비수도권 대학선 복귀 움직임 이어져
대학 총장·의대 학장 막판까지 복귀 요청
24·25·26학번 동시 교육 가능성에
“의대생 스스로 의대교육 여건 악화” 지적도
27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수업을 듣지 않는 의대생들이 유급 시한인 30일 오후까지 뚜렷한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면서 재학 중인 절반 이상이 유급되는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0명 증원에 따라 수업이 어려워졌다며 ‘의대교육을 정상화해달라’고 주장했던 의대생들이 명분 없는 수업 거부로 의대교육 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까지 전국 40개 의대의 재학생 중 수업 복귀 비율은 25% 안팎으로 알려졌다. 지난 16일 기준 의대생 전 학년 수업 참여율은 25.9%였으나, 온라인 강의 이후 실습 수업에 참여하지 않아 수업 참여율이 오히려 낮아진 학교가 있다.

이날 밤 늦게까지 이어질 개별 의대의 논의 상황에 따라 유급 처분을 받을 의대생 비율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비수도권 대학에선 수업 복귀 움직임이 감지됐다. 비수도권의 한 의대에선 본과 4학년이 100% 수업 복귀하기로 했고, 이후 본과 3학년 학생들도 수업 복귀 논의를 시작했다. 대학마다 유급 시점이 학기말, 학년말 등으로 차이가 있지만 각 대학은 이날까지 수업복귀하지 않은 의대생에게 일괄 유급을 적용할 방침이다.

정부와 각 대학은 의대생 수업 복귀가 늦어지는 이유로 협상에 나선 의대생 단체가 강경파 위주로 구성돼 있는 데다 의료계의 수직적 문화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날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만난 의대생들도 수업 복귀가 더딘 이유로 “위계적이고 공동체 문화 속에서 수업복귀 시 낙인찍힐까 우려스럽다” “졸업 이후 전공의 선발 과정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일부 의대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교육부가 결국엔 학사 유연화 조치를 해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도 의대생 복귀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정부를 상대로 ‘버티면 이긴다’는 경험을 한 의대생 단체는 6월 이후 새 정부와 협상을 이어가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정부와 대학은 “더 이상 특혜는 없다”며 “30일 자정까지 미복귀시 유급”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의대생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는 전공의 단체와 소통하며 오는 7월 이후 복귀를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 내부에선 동맹휴학에 나섰다 지난해 7월 실습수업에 복귀한 일부 본과 4학년의 사례를 들어 ‘7월에 복귀해도 수업이 가능하다’ 논리를 공유했다고 한다.

대학 총장들과 의대 학장들은 막판까지 의대생들에게 수업 복귀를 요청했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는 “7월이나 8월에 복귀하면 이미 1학기가 끝난 뒤이고 2학기에 별도의 교육과정을 만들 순 없다”고 했다. 이들은 또 “오늘 자정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되고 유급 대상자를 확정해 교육부에 제출할 것”이라며 “유급이 확정시 학사 유연화 조치로는 복귀할 수 없고 유급을 구제할 방법도 없다”고 했다.

의대생들이 의대교육 여건을 스스로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대생들은 당초 지난해 1학기 동맹휴학에 들어가며 의대 2000명 증원에 따른 교육여건 악화를 집단행동의 명분으로 삼았다. 올해 24·25학번이 대량 유급되면 내년에는 26학번까지 1만명 가량이 1학년 수업을 함께 들어야 한다. 향후 본과 실습이나 인턴, 레지던트 선발시 24·25·26학번의 선택권은 더 좁아진다. 정승준 한양대 의대 교수는 “24·25학번이 (본과생이 돼) 실습을 도는 4년 뒤가 큰 문제”라며 “병원은 그렇게 많은 실습생이 출입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정부와 대학은 제적 의대생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편입학 규정 완화, 복귀 의대생 보호조치 강화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이종태 의대협회 이사장은 “(학사유연화는 없는 것으로) 정부와 대학이 오늘 명확하게 정리했다”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오늘(30일) 복귀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없다”며 “수업에 복귀한 학생들이라도 제대로 수업을 받고, 진급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94 中 종교활동 강력 제동?…교회언론회 ‘위협적 탄압’ 경고 랭크뉴스 2025.05.04
47893 기자 30년→‘막노동’ 3년차…“날 받아주는 곳이 있단 게 행복해요” 랭크뉴스 2025.05.04
47892 안철수 "김문수, 계엄·탄핵에 대해 국민에 사과해 달라" 랭크뉴스 2025.05.04
47891 이재명 “내란 피해 자영업자 임대료·인건비 지원” 공약 랭크뉴스 2025.05.04
47890 “가게 내놔도 안 팔려” 가맹점주의 호소…더본코리아, 특단 대책 내놨다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5.04
47889 “내란으로 직격탄”…이재명, 자영업자 7개 공약 발표 랭크뉴스 2025.05.04
47888 대법원 앞 시민 10만명 “대선개입 말라…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랭크뉴스 2025.05.04
47887 버핏의 후계자 에이블은 누구?…버핏 “나보다 더 성공할 인물” 랭크뉴스 2025.05.04
47886 김문수 “이재명 후안무치…민주당, 히틀러·김정은보다 더해” 랭크뉴스 2025.05.04
47885 이재명,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공약 발표 “지역화폐 발행 규모 확대” 랭크뉴스 2025.05.04
47884 [속보] 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유심 교체 95만여명" 랭크뉴스 2025.05.04
47883 워런 버핏 “올해 말 은퇴” 깜짝 선언… 트럼프 관세전쟁엔 쓴소리 랭크뉴스 2025.05.04
47882 노동운동 전설→의원·경기지사→아스팔트→꼿꼿문수→대선 후보... 김문수는 누구 랭크뉴스 2025.05.04
47881 증거 확보 난항에 다가온 대선까지…김건희 수사, 결국 특검이 맡나[안현덕의 LawStory] 랭크뉴스 2025.05.04
47880 싱가포르 여당 '압승’…트럼프발 무역전쟁에 안정 선택 랭크뉴스 2025.05.04
47879 저출산·온라인에…추억 속으로 사라져가는 문방구 랭크뉴스 2025.05.04
47878 고장 난 장난감 들고 와 마음을 고쳐 갑니다…추억도 함께 랭크뉴스 2025.05.04
47877 [샷!] "심리적 마지노선 무너진 것 같다" 랭크뉴스 2025.05.04
47876 '윤석열 계엄'처럼 비상권한 꺼내든 트럼프‥법원은 "위법·위헌" [World Now] 랭크뉴스 2025.05.04
47875 IAEA 파견 직후 사직한 직원…기술원 “파견비용 돌려달라”소송 패소 확정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