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장직 사퇴 따른 시정공백엔 함구
“갈 때 박정희 동상도 가져가라”
2024년 12월23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박정희 동상 제막식\\\'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탈락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서울시민으로 돌아가고자 한다”며 ‘정계 은퇴’의 변을 밝혔다. 불과 18일 전까지 그가 대구시장이었기 때문에, 마지막에 그의 입에서 나온 ‘서울시민’이란 단어가 화제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 페이스북 갈무리

홍 전 시장은 29일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에서 떨어진 뒤 “이제 갈등의 현장에서 벗어나 서울시민으로 돌아가겠다. 시장통에서, 거리에서 부담 없이 만날 수 있는 일개 시민으로 남았으면 한다”며 90도로 허리를 숙여 인사한 뒤 자리를 떠났다. 그는 같은 날 페이스북에도 “이제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서울시민으로 돌아가고자 한다”고 적었다.

홍 전 시장은 지난 11일 대선 출마를 위해 대구시장직에서 중도 사퇴했다. 이로 인해 시정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그가 대구시민에 대한 언급 없이 ‘서울시민으로 복귀’만을 언급한 데 대해 일각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에서 대구경북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았던 김현권 전 민주당 의원은 30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정계은퇴를 하고 서울시민으로 돌아간단다. 왜 서울시민이지? 대구시민이 아니고?”라고 물었다. 그는 “티케이(TK)에 살다 보니 이런 일을 부지기수로 겪는다. 오히려 지역을 지키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며 “어느 날 불쑥 공천 받고 내려와 국회의원하고 시장 삼선까지 하고 또 간다. 그래도 찍어주고 그걸 보수의 ‘정체성’이라 포장하고 지역의 ‘정서’라 설명한다”고 꼬집었다.

민주당에서 대구광역시당 위원장 등을 지냈던 강민구 민주연구원 부원장도 이날 페이스북에 “며칠 전까지 대구시장한 분이 ‘서울시민’으로 돌아간다고 당당히 말한다”며 “그래도 대구시민들이 압도적으로 지지해서 시장까지 했으면 대구시민에게 감사 또는 ‘송구하다’란 메시지 정도는 남겨야 되지 않냐”고 적었다.

지난해 12월23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박정희 동상 제막식\'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누리꾼들도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비슷한 의견을 올리고 있다. 한 누리꾼은 “대구는요? 대구시민에게 미안함 1도 없어요?”라고 올렸고 다른 누리꾼은 “이래도 대구 오면 또 뽑아주니까 1도 안 미안할 듯. 웃프다(웃기고 슬프다)”고 했다. “동대구역 (박정희) 동상이나 뽑아가라”, “동대구역 동상도 가져가요. 본인이랑 똑같이 생겼던데 왜 그걸 계속 꽂아놔” 등의 댓글도 잇따랐다.

시장직이 공석이지만,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는 대구시장 보궐선거를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선거를 또 할 경우 190억원가량의 비용이 드는 점과 잔여 임기가 9개월로 짧은 점 등이 그 이유다.

공직선거법 제201조(보궐선거등에 관한 특례) 제1항은 ‘보궐선거 등은 그 선거일부터 임기만료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대구시 북구 함지산에서 산불이 발생하자 홍 전 시장은 28일 페이스북에 “대구 소방대장님, 제가 있을 때처럼 조속히 출동해 진화해 주시고 밤에는 재난 특공대원들이 밤새 진화에 나서서 확산을 막아주시길 바란다. 시장 직무대행님도 전 직원 동원해 조속히 잔화에 나서주시길 바란다”고 올렸다.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에서 경선에 탈락한 홍준표 후보가 당사를 나서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1996년 15대 국회의원(서울 송파구갑)에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한 홍 전 시장은 이후 16대·17대·18대까지 서울 동대문구을을 지역구로 국회의원을 지내다 2012년 경남도지사에 당선됐다. 이후 경남도지사를 한 번 더 역임한 뒤 2020년 대구 수성구을에서 무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2022년 7월부턴 대구시장을 맡아오다 지난 11일 사퇴했다. 대선엔 지금까지 3번 도전했다. 3월27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 공개 자료를 보면, 부동산으론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시아선수촌아파트 한 채를 가지고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80 "평당 '2억' 아파트에 '샴푸도둑'이라니"…원베일리 공용품 지급 중단 랭크뉴스 2025.04.30
46379 SKT "전체 이용자 정보 유출 가능성" 유심 재고 바닥에 가입자 이탈 랭크뉴스 2025.04.30
46378 라이브 토크쇼로 2040 직장인 만난 이재명 “첨단 시대, 노동시간 줄여야” 랭크뉴스 2025.04.30
46377 깊어지는 침체의 그늘…美 3년 만에 역성장 랭크뉴스 2025.04.30
46376 [속보] 관세폭탄 미국이 맞았나…미 1분기 GDP 성장률 ‘-0.3%’ 3년 만에 역성장 랭크뉴스 2025.04.30
46375 "국회 가면 누굴 체포?" "누구겠냐"‥'한숨' 통화 랭크뉴스 2025.04.30
46374 ‘빗장’ 풀린 윤석열 부부 강제수사···압수수색 이후, 검·경·공 칼끝 어디까지 랭크뉴스 2025.04.30
46373 [속보] ‘관세여파’ 美 1분기 경제성장률 -0.3%… 3년만에 역성장 랭크뉴스 2025.04.30
46372 이재명 상고심 선고 TV 생중계‥'초고속 선고' 배경은? 랭크뉴스 2025.04.30
46371 “SKT 유심 바꿨더니 티머니가 0원 됐다?”…교체 전 ‘이것’ 주의하세요 랭크뉴스 2025.04.30
46370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아파트 밀집지역 확산 차단 총력 랭크뉴스 2025.04.30
46369 [속보] 美성장률, 트럼프 관세 역풍…1분기 -0.3% '역성장 쇼크' 랭크뉴스 2025.04.30
46368 ‘취임 100일’ 트럼프, 미시간 집회서 “역대 가장 성공적 출발” 자평 랭크뉴스 2025.04.30
46367 [단독] 최태원 지배구조 핵심 SK C&C, 의문의 ‘V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4.30
46366 SKT 휴대폰 먹통·계좌서 5000만원 인출…경찰 “해킹 연관성 낮아” 랭크뉴스 2025.04.30
46365 트럼프, AI 반도체 수출제한 시스템도 ‘관세협상 도구’로 쓰나 랭크뉴스 2025.04.30
46364 [속보]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 -0.3%…3년만에 역성장 랭크뉴스 2025.04.30
46363 한덕수, 모레 출마선언 유력…민주 “대선 단꿈 빠져 국정 팽개쳐” 랭크뉴스 2025.04.30
46362 검찰, 이재명 위증교사 혐의 항소심서 공소장 변경... "허위 증언 유도 확인" 랭크뉴스 2025.04.30
46361 '미우새' 이상민, 비연예인과 '깜짝 재혼'…"시기는 초여름"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