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직접 참여한 영상이 공개되면서 국제 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타스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 접경지 쿠르스크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합류했다며 실전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 타스
훈련 중인 북한군(왼쪽)과 러시아군이 함께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 타스
러시아 타스 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 접경지 쿠르스크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합류했다며 실전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사격하거나 옛 소련을 상징하는 붉은 깃발을 러시아 국기 옆에 꽂는 장면 등이 담겼다. 양측 군은 노획한 우크라이나 전차를 둘러싸고 연구하거나 추모 벽에 헌화하고 거수경례하는 모습도 보였다.

북한군이 붉은 낫과 망치 깃발을 러시아 국기 옆에 꽂으려 하고 있다. 사진 타스
추모벽에 헌화하는 북한군들. 사진 타스
미국은 즉각 반발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파병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전쟁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북한과 같은 제3국의 개입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러시아가 북한군을 훈련하는 행위도 안보리 결의 1718호, 1874호, 2270호를 위반한 것이라며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 협력은 모두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전날 노동신문 등에 보낸 서면 입장문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병력이 파병된 점을 공식 확인했다. 러시아 정부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6일 성명을 통해 처음으로 파병 사실을 공식 인정한 뒤, 북한 지도부에 사의를 표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사상자는 600여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모두 4700여명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6월 19일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서명한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EPA=연합뉴스
북한이 전쟁 참전을 공식 인정한 배경에는 국제적 위상 강화와 선전 효과, 러시아와의 동맹 부각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일연구원 홍민 선임연구위원은 “러시아는 쿠르스크 승리를 통해 교착 상태였던 협상 국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고 매체에 말했다. 특히 북한이 미국에 대한 직접 비난을 자제하면서 트럼프 정부와의 외교 가능성도 염두에 뒀다는 풀이도 나온다. 러시아도 이번 일을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의 지렛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라고 NK뉴스가 짚었다.

이 와중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전쟁을 공정한 방식으로 끝내되 “푸틴에게 어떤 보상도 없어야 하고 특히 영토는 절대 안 된다”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러시아가 휴전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점령지 4곳의 통제권 인정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북러의 파병 인정 이후 처음 열린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 국제사회는 “(파병은) 안보리 결의 명백한 위반”(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이자 “범죄”(마리야나베차 우크라이나 외교 차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반면 바실리네벤자 주유엔 러시아 대사는 “형제들(북한군)이 용맹하게 싸워줘서 감사하다”고 말한 뒤 파병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북한 측 대표는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2024년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타스=연합뉴스
북한과 연일 밀착 중인 푸틴 대통령은 다음 달 9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 열병식에 북한군의 참가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여러 국가를 대표하는 군부대가 붉은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열병식에 러시아 군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행진할 것을 매우 소중하게 여긴다”며 “기념행사에 여러 국가 지도자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고 타스 통신이 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북한에 열병식 참가를 초청한 바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중앙일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북한 대표단이 파견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7 트럼프 "교황 되고 싶어" 진심이었나…SNS에 합성 사진 올렸다 랭크뉴스 2025.05.03
47726 “임시공휴일 빨리 발표하면 안 되나요?”…열흘 쉬는 10월 황금연휴는? 랭크뉴스 2025.05.03
47725 김문수, 공동선대위원장에 한동훈·안철수·나경원·양향자 임명 랭크뉴스 2025.05.03
47724 김문수 "이재명 집권하면 끔찍한 독재"…'反明 빅텐트' 통할까 랭크뉴스 2025.05.03
47723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심 결과, 대선 전이냐 후냐…송달 관건 랭크뉴스 2025.05.03
47722 김문수 선출에 민주 “빈말로도 축하 못해… 국민에 대한 배신” 랭크뉴스 2025.05.03
47721 김문수 선대위 인선…위원장에 한동훈·나경원·안철수·양향자 랭크뉴스 2025.05.03
47720 “대법원이 생중계로 낙선운동”…시민들, 사법부 분노·불안 표출 랭크뉴스 2025.05.03
47719 "둘이서 삼겹살 먹었더니 10만 원"…밖에서 밥 사 먹기가 무서워졌다 랭크뉴스 2025.05.03
47718 김문수 "한덕수가 축하 전화… 단일화 방안, 숨 돌리고 생각할 것" 랭크뉴스 2025.05.03
47717 김문수, 일본과의 관계 묻는 일본 기자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3
47716 조희대 대법원장 공수처에 고발…시민단체 “직권남용, 선거법 위반” 랭크뉴스 2025.05.03
47715 김문수, 사무총장에 장동혁 임명…비서실장엔 김재원 랭크뉴스 2025.05.03
47714 김문수, 당심 22%p·민심 3%p차 승리…'한덕수 단일화' 기대 반영 랭크뉴스 2025.05.03
47713 中 서해 구조물, 국제법상 '문제 투성이'인 이유 랭크뉴스 2025.05.03
47712 "여행 가기 이리도 힘들어서야"…연휴 첫날 고속도로 곳곳 정체 랭크뉴스 2025.05.03
47711 한동훈 깔끔한 승복 선언, 홍준표는 불참... 지지자들 "어대문수" [현장 스케치] 랭크뉴스 2025.05.03
47710 한덕수 측 "단일화 최대한 빨라야"…김문수와 '빅텐트 공감대' 랭크뉴스 2025.05.03
47709 한덕수측 “김문수 후보에 축하…국가 미래 위해 함께 협력 기대” 랭크뉴스 2025.05.03
47708 "법률 해석, 범죄자가 아니라 판검사가 하는 것" 9년 만에 이재명에게 돌아온 글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