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직접 참여한 영상이 공개되면서 국제 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타스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 접경지 쿠르스크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합류했다며 실전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 타스
훈련 중인 북한군(왼쪽)과 러시아군이 함께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 타스
러시아 타스 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 접경지 쿠르스크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합류했다며 실전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사격하거나 옛 소련을 상징하는 붉은 깃발을 러시아 국기 옆에 꽂는 장면 등이 담겼다. 양측 군은 노획한 우크라이나 전차를 둘러싸고 연구하거나 추모 벽에 헌화하고 거수경례하는 모습도 보였다.

북한군이 붉은 낫과 망치 깃발을 러시아 국기 옆에 꽂으려 하고 있다. 사진 타스
추모벽에 헌화하는 북한군들. 사진 타스
미국은 즉각 반발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의 파병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전쟁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북한과 같은 제3국의 개입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러시아가 북한군을 훈련하는 행위도 안보리 결의 1718호, 1874호, 2270호를 위반한 것이라며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 협력은 모두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전날 노동신문 등에 보낸 서면 입장문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병력이 파병된 점을 공식 확인했다. 러시아 정부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6일 성명을 통해 처음으로 파병 사실을 공식 인정한 뒤, 북한 지도부에 사의를 표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사상자는 600여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모두 4700여명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6월 19일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서명한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EPA=연합뉴스
북한이 전쟁 참전을 공식 인정한 배경에는 국제적 위상 강화와 선전 효과, 러시아와의 동맹 부각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일연구원 홍민 선임연구위원은 “러시아는 쿠르스크 승리를 통해 교착 상태였던 협상 국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고 매체에 말했다. 특히 북한이 미국에 대한 직접 비난을 자제하면서 트럼프 정부와의 외교 가능성도 염두에 뒀다는 풀이도 나온다. 러시아도 이번 일을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의 지렛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라고 NK뉴스가 짚었다.

이 와중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전쟁을 공정한 방식으로 끝내되 “푸틴에게 어떤 보상도 없어야 하고 특히 영토는 절대 안 된다”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러시아가 휴전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점령지 4곳의 통제권 인정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북러의 파병 인정 이후 처음 열린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 국제사회는 “(파병은) 안보리 결의 명백한 위반”(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이자 “범죄”(마리야나베차 우크라이나 외교 차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반면 바실리네벤자 주유엔 러시아 대사는 “형제들(북한군)이 용맹하게 싸워줘서 감사하다”고 말한 뒤 파병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북한 측 대표는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2024년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타스=연합뉴스
북한과 연일 밀착 중인 푸틴 대통령은 다음 달 9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 열병식에 북한군의 참가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여러 국가를 대표하는 군부대가 붉은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열병식에 러시아 군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행진할 것을 매우 소중하게 여긴다”며 “기념행사에 여러 국가 지도자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고 타스 통신이 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북한에 열병식 참가를 초청한 바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중앙일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북한 대표단이 파견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28 "전당대회 직후 한덕수와 단일화" 김문수 전략에… 한동훈 "후보 양보할 건가" 반격 랭크뉴스 2025.05.01
46427 인도, 미국과 무역협상 ‘첫 타결국’ 될 듯…트럼프 “성사될 것” 랭크뉴스 2025.05.01
46426 대정전 원인 규명 착수…“아날로그로 살아봤어요” 랭크뉴스 2025.05.01
46425 결선 토론서 한동훈 “한덕수에 후보 양보하나” 공세에···김문수 “명분 있어야” 맞받아쳐 랭크뉴스 2025.05.01
46424 美상원의원 "韓日과 조선업 협력, 반도체법 모델로 발전시켜야" 랭크뉴스 2025.05.01
46423 트럼프는 자화자찬 했지만... 미국 1분기 성장률 -0.3% 랭크뉴스 2025.05.01
46422 [속보] 한국, 체코 새 원전 2기 건설 따냈다... 7일 본계약 랭크뉴스 2025.05.01
46421 한동훈 “후보 되면 한덕수에 양보?” 김문수 “질문 자체 납득 안돼” 랭크뉴스 2025.05.01
46420 무비자 중국행 늘었는데…여행서 ‘종교 활동’하면 처벌 랭크뉴스 2025.05.01
46419 대구 함지산 산불 주불 진화…주민 대피 명령 랭크뉴스 2025.04.30
46418 체코 원전 수주 확정, 7일 계약… K-원전 2호 수출 현실로 랭크뉴스 2025.04.30
46417 K-원전, 중동 거쳐 유럽 첫 진출…수출 지형 넓혔다 랭크뉴스 2025.04.30
46416 金 “미국과 핵추진 잠수함 공동 건조” 韓 “우리가 핵무장하면 안 돼” 랭크뉴스 2025.04.30
46415 트럼프, 3년만의 역성장에 “바이든 탓… 관세와 무관" 랭크뉴스 2025.04.30
46414 체코 “한수원, 신규 원전 사업자 선정…내달 7일 본계약” 랭크뉴스 2025.04.30
46413 '코로나 영웅'도, '보수인사'도‥한목소리로 "내란 종식" 랭크뉴스 2025.04.30
46412 [속보] 한국, 체코 새 원전 2기 건설 따냈다...7일 본 계약 랭크뉴스 2025.04.30
46411 한덕수 단일화 '당원권 침해 논란'‥비용·기호 등 현실적 문제도 랭크뉴스 2025.04.30
46410 [속보] "사업비 26조 추정"…체코 "한수원과 7일 신규 원전 계약 체결" 랭크뉴스 2025.04.30
46409 한덕수 내일 사퇴 유력‥'관권 선거' 논란에 국정원 출신으로 대선 상황실?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