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초음속순항미사일 등 무기체계 시험
레이더 등 장비 러시아가 이전 가능성
김정은 “해군 핵무장화를 가속화” 언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다목적 구축함’인 최현함에서 진행된 첫 무장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북한판 이지스 구축함’으로 평가되는 최현함에서 각종 미사일 등의 첫 시험발사를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북한이 최현함 건조 과정에서 러시아로부터 기술을 이전 받았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북한이 최현함 실전 배치 이후 러시아 등과 해상에서 연합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8~29일 처음으로 최현함에 탑재된 무기체계의 시험이 진행됐다고 30일 보도했다. 28일에는 초음속순항미사일과 전략순항미사일, 반항공(대공)미사일 등의 시험발사와 127mm 함상자동포 시험사격이 이뤄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사일총국,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의 지도 간부들과 이를 참관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5일 남포조선소에서 최현함의 진수식을 열었다. 북한은 최현함을 “5000t급 신형 구축함”이라고 소개했다. 기존 압록강급 호위함(약 1500t급)보다 크다. 북한이 공개한 규모와 성능을 보면, 한국 구축함인 충무공이순신급(4400t)과 세종대왕급(7600t)의 중간급 정도로 보인다.

최현함에는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한 ‘위상배열 레이더’가 탑재된 것으로 보여 ‘북한판 이지스 구축함’으로 평가된다. 이지스 구축함은 특히 탄도미사일 등 공중 표적도 포착할 수 있다. 북한이 최현함을 통해 해상 능력 강화와 함께 취약한 방공망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핵 탄도미사일을 실으면 해상에서도 핵 공격이 가능하게 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초음속순항미사일 및 전략순항미사일과 함께 전술탄도미사일을 언급하며 “가장 강력한 타격수단들과 함의 통상적인 방어 수단들을 효과적으로 배합 탑재한 우리 식의 함상화력 체계가 정말로 훌륭하다”고 말했다.

북한은 앞선 진수식에서 최현함을 내년 초에 해군에 인도할 계획이고 최현함급의 구축함을 계속 건조할 계획이라고 했다. 작전능력이 향상된 순양함과 호위함도 함선 총설계 마감 단계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그러면서 원양작전 능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근해에 머물러 있는 해군력을 먼 바다까지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당시 원양작전 능력 보유가 “유사시 적 해외 무력의 조선반도(한반도) 무력증강 기도를 구속하고 차단하는 데 제일 믿음직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유사시 미군을 비롯한 유엔군사령부의 병력이 한반도에 들어오는 걸 사전에 막겠다는 뜻이다.

북한이 원양작전을 강조하는 건 해상에서 러시아나 중국과의 연합훈련을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과 러시아는 남중국해 등에서 연합훈련을 하고 있다”라며 “중·러가 대미 견제의 방어선으로 보고 있는 해상 지역을 지키는 데 북한도 동조할 수 있다는 뜻이 내포된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의 최현함 건조에 러시아가 기술을 지원했을 가능성도 있다. 최현함에 장착된 레이더 등 주요 장비의 외형이 러시아 함정에 탑재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군 당국은 보고 있다. 북한은 앞서 “순수 우리의 힘과 기술로 불과 400여일 만에 현대적인 구축함”을 만들었다고 밝혔으나, 단기간에 이런 수준의 함정을 건조하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가방위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해 해군의 핵무장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책임적인 선택을 할 때가 됐다”라며 이를 위한 제반 과업들을 제시했다고 통신은 밝혔다. 과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핵추진잠수함 사업과 관련한 내용일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앞서 진수식에서 최현함이 해군 강화의 첫번째 신호탄이라며 “두번째 신호탄은 바로 핵동력잠수함(핵추진잠수함) 건조 사업으로 될 것”이라고 했다.

북한 매체는 지난 3월 김 위원장이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실태를 파악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은 핵연료로 엔진을 가동하면서, 핵탄두가 탑재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쏠 수 있는 ‘전략핵잠수함’(SSBN)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핵추진잠수함은 고도의 기술과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최근 북·러가 북한군 파병을 공식 확인하면서, 앞으로 러시아가 파병의 대가로 북한에 최첨단 군사기술 등을 이전할 개연성이 커졌다는 견해도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29 디올백·도이치 땐 철옹성‥검찰 태세 전환? 랭크뉴스 2025.04.30
46328 말끝마다 “종합적 검토” SKT 임원…최민희 “가스라이팅 하러 왔냐” 랭크뉴스 2025.04.30
46327 민주 정책수장 이한주·진성준·김성환 3톱… ‘감세 러시’ 바뀔까 랭크뉴스 2025.04.30
46326 "큰 그림 만들어보자"‥통일교 캄보디아 사업 청탁·특혜 본격 수사 랭크뉴스 2025.04.30
46325 '건진법사 의혹' 김 여사 압수수색‥휴대전화 등 확보 랭크뉴스 2025.04.30
46324 SK이노베이션 1분기 적자 전환…정유·석유화학 부진 여파 랭크뉴스 2025.04.30
46323 차 빼달란 말에…전직 보디빌더 남편과 여성 때린 아내, 결국 랭크뉴스 2025.04.30
46322 "민가 피해 막아라"…대구산불 재발화 속 확산 저지 안간힘 랭크뉴스 2025.04.30
46321 촛불행동, 조희대 대법원장 공수처에 고발‥"대선 개입" 랭크뉴스 2025.04.30
46320 대구 함지 산불 재발화…주민 대피 명령 랭크뉴스 2025.04.30
46319 “황금연휴에 떠나신다고요? 이날은 서두르세요!”…공항 붐비는 날 언젠지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30
46318 대구 함지산 산불 다시 번져…서변동 인근 주민 3천명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30
46317 "썩은 과일을 먹으라고 줬다"…'尹 처가 운영' 요양원서 노인학대 신고 랭크뉴스 2025.04.30
46316 [속보] 당국 "야간진화에 위력 발휘 수리온헬기 2대 대구산불에 투입" 랭크뉴스 2025.04.30
46315 러 점령지 4번 잠입 우크라 기자, 장기 적출·고문 흔적 시신으로 돌아와 랭크뉴스 2025.04.30
46314 ‘임장크루’ 몰려들자… 공인중개사협회 ‘임장비’ 추진 논란 가열 랭크뉴스 2025.04.30
46313 "자정 넘기면 학칙대로 확정"…의대생 1만여명 유급 현실화 랭크뉴스 2025.04.30
46312 경선 발표 뒤 ‘우당탕탕’…한동훈·홍준표 지지자들 충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30
46311 이상민, 비연예인 연하 여친과 '깜짝 재혼'…"시기는 초여름" 랭크뉴스 2025.04.30
46310 이준석 "묻지마 단일화 안돼…한덕수, 투표용지 이름 못 올릴 것"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