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둘레길의 나무가지 아래로 두 번째 외나무다리가 보인다.


경북 영주시의 무섬마을에는 마을 상징인 'S'자 외나무다리 외에도 외나무다리가 또 있다. S자 외나무다리 끝 내성천 물길을 따라 250m가량 걸으면 살짝 삐뚤빼뚤한 직선형 다리가 있다. 길이는 S자 외나무다리보다 짧다.

무섬마을에는 한때 최대 3개의 외나무다리가 있었다. 다리는 용도에 따라 달리 불렸다. 농사짓는 다리, 장보러 가는 다리, 학교 가는 다리. 1979년 현대식 교량 건립 이후 사라졌던 외나무다리들은 2005년 이후 복원됐다. 가장 먼저 복원된 S자 외나무다리는 가장 하류에 있던 농사짓는 다리였다.

2010년대 후반에는 내성천을 따라 외나무다리가 하나 더 생겼다. 이 직선형 다리를 건너면 무섬마을 외곽의 둘레길로 이어진다. 마을에서 출발해 직선형 다리를 건너면 숲을 우회해 바로 둘레길로 갈 수 있다.

무섬마을로 이어지는 외나무다리를 따라 서서히 해가 지고 있다.


익히 알려진 S자 외나무다리에 이어 감성적인 외나무다리 샷을 얻을 수 있는 명소다. 우선 둘레길 초입에서 다리를 돌아보면 나무가 액자처럼 시야를 가린다. 우회한 숲의 끝에 자라는 나무가 완만하게 가지를 늘어뜨리고, 그 사이로 외나무다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자연이 둘러준 액자 덕에 서정적인 느낌이 한껏 증폭된다. 북서향을 바라보는 각도라 일몰 시간에 맞추면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노을빛도 담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늦게 복원됐고, 마을 외곽에 있다보니 S자 외나무다리에 비해 인지도가 낮다. 덕분에 북적이는 인파를 피해 나만의 외나무다리 샷을 건질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손을 잡은 두 사람이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인근 모래사장을 걷고 있다.


무섬마을의 상징인 'S'자 외나무다리에서 여행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15 李 ‘차기 대통령 적합도’ 최대치 경신…보수는 한덕수 '1위' 랭크뉴스 2025.05.01
46614 ‘차기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42%, 한덕수 13%, 한동훈 9%[NBS] 랭크뉴스 2025.05.01
46613 [속보] 민주·국힘, 13.8조 추경안 합의…이재명표 지역화폐 4000억 편성 랭크뉴스 2025.05.01
46612 그라프 목걸이·샤넬 가방·인삼주…검찰, 김건희 압수영장에 100여개 적시 랭크뉴스 2025.05.01
46611 "난 순한 사람" 웃던 박성재, '그 이름' 나오자 표정 돌연‥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01
46610 민주·국민의힘, 13.8조원 추경안 합의… 지역화폐·특경비 등 증액(종합) 랭크뉴스 2025.05.01
46609 '한덕수 대망론' 창시자 최초 공개 [이슈전파사] 랭크뉴스 2025.05.01
46608 3000원→2500원 거꾸로 가는 배달료···"라이더가 '플랫폼 노예'인가요" 랭크뉴스 2025.05.01
46607 [속보] 이재명 “노조법 2·3조 개정할 것”…노란봉투법 재추진 시사 랭크뉴스 2025.05.01
46606 아내 일터 부수고, 입사 동기 스토킹…"여성폭력 20%, 일 연관" 랭크뉴스 2025.05.01
46605 [속보] 민주·국힘, 13.8조원 추경 합의...정부안서 1.6조원 증액 랭크뉴스 2025.05.01
46604 국민의힘 "어떤 판결 나오든 이재명은 정치 무자격자"‥"국민 통합은 정치쇼" 랭크뉴스 2025.05.01
46603 경기도, 전국 최초로 전세사기 피해주택 긴급공사비 지원 랭크뉴스 2025.05.01
46602 NBS "'차기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42%‥한덕수 13%·한동훈 9%·김문수 6%" 랭크뉴스 2025.05.01
46601 [단독]검찰 조사 마친 명태균, 윤상현과 한밤의 술자리···무슨 얘기 나눴나 랭크뉴스 2025.05.01
46600 이번에는 민간 국방장관 시대 열자... 이재명 캠프에 줄서는 예비역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5.01
46599 명태균, 검찰조사 뒤 ‘친윤’ 윤상현과 강남서 술자리 랭크뉴스 2025.05.01
46598 [속보] 국민의힘·민주, 13.8조원 추경안 합의… 정부안서 1.6조원↑ 랭크뉴스 2025.05.01
46597 [속보] 민주·국힘, 13조8000억 추경 합의···산불 피해 지원 2000억 증액 랭크뉴스 2025.05.01
46596 민주·국힘, 13.8조원 추경안 합의…정부안서 1.6조원 증액 랭크뉴스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