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둘레길의 나무가지 아래로 두 번째 외나무다리가 보인다.
경북 영주시의 무섬마을에는 마을 상징인 'S'자 외나무다리 외에도 외나무다리가 또 있다. S자 외나무다리 끝 내성천 물길을 따라 250m가량 걸으면 살짝 삐뚤빼뚤한 직선형 다리가 있다. 길이는 S자 외나무다리보다 짧다.
무섬마을에는 한때 최대 3개의 외나무다리가 있었다. 다리는 용도에 따라 달리 불렸다. 농사짓는 다리, 장보러 가는 다리, 학교 가는 다리. 1979년 현대식 교량 건립 이후 사라졌던 외나무다리들은 2005년 이후 복원됐다. 가장 먼저 복원된 S자 외나무다리는 가장 하류에 있던 농사짓는 다리였다.
2010년대 후반에는 내성천을 따라 외나무다리가 하나 더 생겼다. 이 직선형 다리를 건너면 무섬마을 외곽의 둘레길로 이어진다. 마을에서 출발해 직선형 다리를 건너면 숲을 우회해 바로 둘레길로 갈 수 있다.
무섬마을로 이어지는 외나무다리를 따라 서서히 해가 지고 있다.
익히 알려진 S자 외나무다리에 이어 감성적인 외나무다리 샷을 얻을 수 있는 명소다. 우선 둘레길 초입에서 다리를 돌아보면 나무가 액자처럼 시야를 가린다. 우회한 숲의 끝에 자라는 나무가 완만하게 가지를 늘어뜨리고, 그 사이로 외나무다리가 모습을 드러낸다. 자연이 둘러준 액자 덕에 서정적인 느낌이 한껏 증폭된다. 북서향을 바라보는 각도라 일몰 시간에 맞추면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노을빛도 담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늦게 복원됐고, 마을 외곽에 있다보니 S자 외나무다리에 비해 인지도가 낮다. 덕분에 북적이는 인파를 피해 나만의 외나무다리 샷을 건질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손을 잡은 두 사람이 경북 영주시 무섬마을 인근 모래사장을 걷고 있다.
무섬마을의 상징인 'S'자 외나무다리에서 여행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