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력 후보 사법리스크 조기 판단, 불확실성 제거 뜻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성남에프씨(FC) 뇌물 등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을 예상보다 훨씬 이른 5월1일에 선고하기로 한 배경에는 정치적 파장을 최소화하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볼 수 있다. 6·3 대선의 후보 등록 기간은 다음달 10~11일이고 12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다. 이 때문에 대법원의 선고가 일러도 다음달 8~9일쯤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실제 선고기일은 이보다 1주일 더 앞당겨졌다. 이 후보 상고심 심리에 참여한 대법관 전원이 적어도 ‘조기 선고’에는 의견 일치를 본 것이다.

이 후보의 선거법 위반 상고심 심리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었던 ‘속도전’이었다. 대법원 소부에 사건이 배당된 지난 22일 전원합의체 회부와 동시에 1회 합의기일이 열렸고 이틀 뒤 2회 합의가 진행됐다. 통상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합의기일은 매달 셋째 주 목요일에 열리고 4월 합의기일도 이미 지나간 상황이었지만, 대법원은 이 후보 사건 심리를 위한 합의기일을 이틀 간격으로 따로 열었다. 전원합의체는 법원행정처장을 제외한 대법관 전원이 참여해 결론을 내기 때문에 의견 조율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이 후보 사건에는 예외가 적용된 셈이다. 이로써 대법원은 이 후보 사건을 항소심 선고로부터 36일 만에 결론을 내게 됐다. 대법원 관계자는 29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선거 사건 상고심은 세달 안에 처리한다는 공직선거법 원칙에 따라 조희대 대법원장 취임 뒤 선거 사건은 대법원 접수 후 평균 90일 안에 결론이 나왔다. 이번 사건은 평균보다 결론이 빨리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고법의 한 부장판사는 “대법원이 유력한 대선 후보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최고법원으로서 빨리 판단해줘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것”이라고 짚었다. 또 다른 부장판사는 “대법관들이 이 사건 쟁점을 간단하다고 본 것이다. 만장일치 결과를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오래 걸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전합에서는 표결을 통해 과반수로 결론을 낸다. 이번 사건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장으로서 회피 신청을 한 노태악 대법관과,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을 제외한 대법관 11명, 그리고 재판장인 조 대법원장까지 12명이 참여했다.

대법관 7명 이상이 상고를 기각하면 이 후보는 무죄가 확정된다. 반대로 항소심 판결에 문제가 있다는 게 다수의견이면 대법원은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게 된다. 이럴 경우 이 후보는 파기환송심을 거쳐 다시 대법원의 최종 판결을 받아야 한다.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이나 징역형이 확정되면 이 후보는 이번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대법원에서 아예 유죄 판결을 하고 형량까지 확정하는 파기자판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수도권 법원의 한 부장판사는 “이 사건은 항소심에서의 공소장 변경 등의 사정변경이 있었기 때문에 (1심의 판단을 따라) 자신감 있게 파기자판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대법원이 사건을 파기환송하고 최종 결론이 대선 전까지 나오지 않았는데 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이 후보 선거법 사건의 재판이 중단돼야 하는지를 두고 논란이 생길 수 있다. 현직 대통령에게는 불소추 특권(헌법 84조)이 있는데, 이 조항이 기존 재판에까지 적용되는지를 두고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다.

선거법 위반 사건에서 이 후보의 무죄가 확정된다고 해도 이 후보에게는 아직 4개 사건의 재판이 남는다. 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돼도 논란이 여전할 수 있는 상황인 셈이다. 이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이 후보 선거법 위반 상고심 심리를 신속하게 진행한 대법원이 판결문에 보충의견 등의 형태로 헌법 84조에 대한 해석을 담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00 투표까지 한 달…오늘 오후 3시,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 선출 랭크뉴스 2025.05.03
47499 [길따라 멋따라] 한국행 동남아 관광객 관심 저조…K-뷰티로 될까? 랭크뉴스 2025.05.03
47498 "내가 이런 데서 일해야 하나"... 백화점 지하 3층 노동자의 울분 랭크뉴스 2025.05.03
47497 中부자들, 그렇게 좋아하더니…한 달간 70t 샀다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5.03
47496 연휴 첫날 전국에 비…전라·경남엔 돌풍에 천둥·번개 랭크뉴스 2025.05.03
47495 '건진법사 비리' 사건에 등장하는 통일교… 尹 정부와 얽힌 5가지 의혹들 랭크뉴스 2025.05.03
47494 5개월 만에 1300원대…환율 급락 배경은 [긴급 전문가 진단] 랭크뉴스 2025.05.03
47493 기억을 잃은 자리···존재가 남다[오마주] 랭크뉴스 2025.05.03
47492 총리의 대권 도전 잔혹사…한덕수는 다를까 랭크뉴스 2025.05.03
47491 후보 선출 오늘인데‥정작 관심은 '다른 곳'에 랭크뉴스 2025.05.03
47490 토스, 쿠팡 1000억 퇴짜놨다…치과의사 이승건 ‘미친 베팅’ 랭크뉴스 2025.05.03
47489 배당된 날 첫 재판일 지정‥이번에도 '초고속' 랭크뉴스 2025.05.03
47488 트럼프 취임 후 ‘뚝뚝’ 떨어지는 서학개미 수익률 랭크뉴스 2025.05.03
47487 한국서 확 늘어난 피부암…얼굴에 '이런 점' 생기면 의심하세요 랭크뉴스 2025.05.03
47486 연휴 앞두고 SKT 유심 교체 수요 몰리나…로밍 이용자들도 걱정 ‘한가득’ 랭크뉴스 2025.05.03
47485 우리 집 주인은 모건스탠리?… 치솟는 월세에 韓 임대시장 찾는 글로벌 큰손들 랭크뉴스 2025.05.03
47484 대통령에 국무총리, 장관 역할까지... '대대대행' 이주호의 가시밭길 한 달은 랭크뉴스 2025.05.03
47483 [시승기] 제로백 4초에 다양한 편의사양… 제네시스 전기차 ‘GV60’ 랭크뉴스 2025.05.03
47482 출마 첫날 ‘통합과 동행’ 취지 무색···한덕수, 광주서 “내란 주범, 돌아가라” 문전박대 랭크뉴스 2025.05.03
47481 순창의 빨간 맛, 변했다…가볍게, 힙하게…순창 고추장 변신은 무죄 랭크뉴스 2025.05.03